지올, 새 탁상용 주사전자현미경 JCM-7000시리즈 네오스콥 출시

광학 이미징에서 SEM 이미징으로 순조롭게 전환, 요소 분석 가능

(미디어온) 지올이 새로운 탁상용 주사전자현미경인 JCM-7000시리즈 네오스콥을 2019년 3월 중 출시한다고 발표했다.

제품 개발 배경

탁상용 주사전자현미경은 전기, 전자, 자동차, 기계, 화학, 제약 업계 등 광범위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SEM애플리케이션은 연구 및 개발뿐만 아니라 제조 현장의 품질 관리와 제품 검사 부문으로 적용 범위를 넓히고 있다. 이 때문에 더욱 향상된 작업 효율성, 더 빠르고 용이한 작동, 더 높은 수준의 분석 및 계측 성능 등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회사는 이처럼 높아지는 시장의 요구에 부응하여 매우 성공적이고 수상 경력이 있는 기존의 인터치스코프시리즈SEM을 바탕으로 새로운 탁상용 SEM인 JCM-7000을 개발했다. JCM-7000시리즈는 인터치스코프 시리즈의 기능에 비교될 만큼 혁신적인 기능이 통합돼 있다. JCM-7000시리즈의 특징은 1) 고도의 작동성을 위한 단순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2) 작은 밑바닥 면적, 3)’제로맥’ 기능을 통한 광학 현미경 이미징에서 SEM이미징으로의 순조로운 전환, 4) ‘라이브 어낼리시스’ 기능을 통해 이미지를 관찰하면서 실시간 요소 분석, 5) 2축 모터라이즈 스테이지를 통한 순조로운 작동 등이다.

뿐만 아니라 JCM-7000에는 실시간 SEM이미지와 재구성된 실시간 3D표면 이미지를 동시에 보여주는 ‘라이브3D’ 기능이 있다. 또 이러한 새로운 기능은 표본에서 도형 및 심층적 정보와 함께 표본 표면에서 SEM 이미지 정보를 얻을 수 있게 한다.

주요 특징

1. ‘제로맥’ 기능이 있어서 과거보다 더 쉽게 표본을 탐색할 수 있다. ‘제로맥’은 컬러 정보가 있는 전하결합소자 이미지를 표면 상세 정보에 있는 SEM이미지와 연결시켜 영상화하고 분석할 부분을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게 한다.
2. 2축 모터라이즈 스테이지의 도움으로 작업 효율성이 향상되어 대면적 표본의 몽타주 이미지를 쉽게 수집할 수 있다.
3. 분석 시리즈를 통해 내장형 EDS시스템이 이미지를 관찰하는 동안 EDS범위를 실시간으로 나타내 빠르고 효율적으로 요소를 분석할 수 있다.
4. 새로운 ‘라이브3D’ 기능이 있어서SEM이미지와 재구성된 3D표면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관찰하면서 도형 및 심층적 정보를 동시에 확보할 수 있다.

연간 판매 목표량은 400유닛이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심장 내 승모판 역류증, 성별 따라 수술 시점 달라져야"
퇴행성 승모판 역류증은 노화로 인해 심장의 좌심방에서 좌심실로 가는 입구에 위치한 승모판이 완전히 닫히지 않아 혈액이 좌심방으로 역류하는 심장 판막 질환이다. 역류 현상이 지속되면 심장에 과부하가 걸리면서 심부전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치료가 필요한데, 특히 여성이 남성보다 질환 발생 초기부터 사망 위험이 더 높아 성별에 따라 수술 시점을 달리 해야 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서울아산병원 심장내과 김대희 교수, 서울대병원 순환기내과 곽순구·이승표 교수 연구팀은 2006∼2020년 중증 퇴행성 승모판 역류증으로 수술받은 환자 1천686명을 8년간 추적 관찰해 이런 사실을 확인했다고 최근 밝혔다. 현재 중증 퇴행성 승모판 역류증의 표준 치료는 판막 성형술이나 인공 판막치환술과 같은 수술이다. 수술은 좌심실에 들어온 혈액이 대동맥으로 빠져나간 비율을 뜻하는 '좌심실 박출률'을 토대로 좌심실 기능 저하 여부를 판단해 결정한다. 환자에게 뚜렷한 증상이 없더라도 좌심실 박출률이 60% 이하이면 수술을 고려하도록 권고된다. 연구팀이 성별에 따른 좌심실 기능과 사망률 간의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남성은 좌심실 박출률이 55% 이하로 떨어졌을 때만 사망률이 유의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