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필드 하남, 빠샤메카드 첫 팝업스토어 오픈

올봄 어린이들 사로잡을 캐릭터 세상이 되다

(미디어온) 쇼핑테마파크 스타필드 하남이 올봄 어린이들의 마음을 사로잡을 인기 캐릭터들을 가장 먼저 선보인다.

먼저 센트럴아트리움에는 3월 24일까지 초이락컨텐츠팩토리가 새롭게 선보이는 인기 시리즈 장난감인 ‘빠샤메카드’를 TV 보다 먼저 만나볼 수 있는 빠샤메카드 팝업존을 설치한다.

빠샤메카드·헬로카봇·요괴메카드 등 인기 캐릭터를 체험할 수 있는 체험존을 비롯해 다양한 제품을 한 눈에 볼 수 있는 쇼 케이스, 놀이 공간들이 설치될 예정이다.

주말에는 빠샤메카드를 활용한 다양한 참여 이벤트가 펼쳐진다.

16일과 17일에는 빠샤메카드를 활용한 레크레이션과 퀴즈 등의 프로그램이 진행되며, 23일과 24일에는 새로 방영되는 빠샤메카드 오프닝, 엔딩곡이 공연되는 ‘애니메이션 주제가 미니 콘서트’가 진행될 예정이다.

또 오후 1시부터 7시까지 매시간 요괴메카드의 십이지정령 캐릭터들이 매장을 돌아다니면서 어린이들과 포토 타임을 가진다.

스타필드 하남 미디어타워에 초이락팝업스토어 영상이 나오는 순간을 사진 찍어 개인 SNS에 올리면 한정판 빠샤메카드 카드도 증정하는 ‘빠샤메카드를 찾아라’ 이벤트도 행사기간 동안 진행한다.

하남점 사우스아트리움에서는 세계적으로 사랑받는 프리미엄 수집 완구 ‘실바니안 패밀리’ 팝업스토어를 24일까지 만나볼 수 있다.

실바니안 패밀리 제품을 활용한 대형 디오라마 전시를 비롯해 사진 전시, 특가 판매리미트드 에디션 판매 등 실바니안 관련 다양한 이벤트를 진행한다.

주말에는 실바니안 마스코트 행사와 방문 고객 대상 선착순 풍선 증정 등 다양한 체험 행사를 진행한다. 특히 팝업 행사 기간에는 행사 상품 할인 판매를 진행하며, 한국에는 론칭하지 않았던 리미티드 상품도 선보일 예정이다.

스타필드 하남점 이성 팀장은 “다가오는 주말에 나들이 장소를 고민하는 분들을 위해 자녀와 함께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다양하게 마련했다”며 “스타필드 하남에 방문해 온 가족이 즐거운 시간을 보내며 잊지 못할 추억도 쌓길 바란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간협, PA 시행규칙에 거듭 반대…"신고제 교육, 안전 담보 못해"
오는 21일 간호법 시행을 앞두고 대한간호협회(간협)가 하위법령인 진료지원(PA) 업무 수행 규칙에 대한 반대 의사를 거듭 밝혔다. 간협은 2일 보건복지부 세종청사 앞에서 2차 집회를 열고 "진료지원 간호사 교육을 '신고제'로 하겠다는 정부의 주장은 안전과 숙련도를 담보할 수 없는 위험한 발상"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신고제 교육에는 표준 교육 방식이 없다"며 "수천 개의 교육기관에서 수만 명의 진료지원 간호사가 수백 가지 방법으로 교육돼 배출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진료지원 업무의 질을 유지하고 관리 감독할 체계적인 콘트롤타워를 구축해야 한다"며 "의료 신뢰성 확보를 위해 진료지원 인력에 대한 공신력 있는 자격증을 도입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협회에 따르면 이날 집회에 전국에서 1만여 명의 간호사가 참여했다. 간호사들은 '교육 이수증 찢기' 등의 퍼포먼스를 했다. 정부 안에 따르면 진료지원 인력에 대한 교육은 이론 및 실기교육, 소속 의료기관에서의 현장실습으로 구성된다. 교육기관은 간협과 대한의사협회, 대한병원협회 등 유관 협회, 300병상 이상 병원급 의료기관, 전문간호사 교육기관, 공공보건의료 지원센터, 그밖에 복지부 장관이 전담간호사 교육과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고지방 식단, 비만뿐 아니라 불안·인지장애 위험도 높여"
고지방 식단으로 인해 유발된 비만이 뇌 신호와 장내 미생물군에 변화를 일으켜 불안증과 인지장애 위험도 높일 수 있다는 동물 실험 결과가 나왔다. 미국 조지아주립대 데지리 원더스 교수팀은 2일 플로리다주 올랜도에서 열린 미국영양학회(ASN) 학술대회(NUTRITION 2025)에서 생쥐에게 15주 동안 고지방 먹이와 저지방 먹이를 먹이며 변화를 관찰한 실험에서 고지방 먹이로 인한 비만과 불안증 및 인지장애 위험 사이의 연관성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이 결과는 먹이로 인한 비만과 불안 증상, 뇌신호 변화, 뇌기능 손상에 기여할 수 있는 장내 미생물 변화 등 사이의 연관성을 보여준다며 이는 비만과 불안증이 장과 뇌의 상호작용으로 연결돼 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원더스 교수는 "여러 연구가 비만과 불안의 연관성을 시사해 왔지만 비만이 불안을 직접 유발하는지 또는 그 연관성이 (비만에 대한) 사회적 압박의 영향인지 등은 불분명하다"고 지적했다. 비만이 제2형 당뇨병과 심혈관 질환 등을 유발할 수 있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지만 뇌 건강에 미지는 잠재적 영향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연구팀은 이 연구에서 비만과 인지 기능 및 불안의 연관성을 조사하기 위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