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TP, 새로운 DDR3 8기가비트 부품과 모듈 자체생산으로 DDR3 공급 부족 해소

DDR3 및 기타 구형 메모리 모듈의 지속 가능한 공급을 보장하는 장기적 약속

(미디어온) ‘산업용’ 메모리 및 스토리지 솔루션 제조 분야를 선도하고 있는 ATP 일렉트로닉스가 DDR3 메모리의 안정적인 공급을 보장하기 위해 고밀도 DDR3 8 기가비트 부품을 제공하겠다는 약속을 발표했다.

이는 특히 아직은 최신 세대의 플랫폼으로 즉시 업그레이드 할 수 없는 네트워킹 및 임베디드 산업 분야의 고객들을 위한 조치이다.

DRAM 시장이 DDR4 메모리로 옮겨감에 따라 몇몇 주요 제조업체들은 부품의 단종을 공지하는 등 고밀도 DDR3 8 Gbit 부품을 기반으로 한 DDR3 모듈의 생산 중단을 발표했다. ATP의 글로벌 마케팅 담당 부사장인 마르코 메츠거는 “ATP는 DDR3 메모리의 공급 부족은 소중한 우리 고객들의 비즈니스 운영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며 “ATP는 현재 VLP RDIMM이나 고밀도 SO-DIMM과 같은 특정 DDR3 메모리 요구를 지속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이들 모듈에 사용되는 DDR3 8 Gbit 부품을 자체적으로 생산, 보급하기로 결정했다”고 말했다.

ATP가 IC로 제작해 특성화하고 시험을 거친 모듈

ATP의 자체 제작 DDR3 모듈은 정밀하게 특성화되고 테스트를 거친 고품질 IC로 이루어져 있다. 이 부품은 2x nm 제조 공정 기술을 사용하는 ATP의 엄격한 기준에 따라 제조되며 광범위한 부품 테스트 프로그램을 통해 시험이 이루어져 전반적인 메모리 모듈 성능이 향상되었다.

ATP의 DDR3 8 Gbit 부품은 열 해머 효과가 없어 인접한 셀로 누출 된 셀의 전하 때문에 발생되어 피해를 주는 임의의 비트 플립을 방지하고 연속적으로 데이터를 기록한다. 또한 ATP는 고품질 모듈을 보장하기 위해 생산 공정에서 100% 완전한 TDBI 테스트를 실행하고 있다.

이용 가능한 DDR3 구성

ATP의 DDR3 부품은 이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메모리 모듈에 적용되는 단일 구조의 8Gb 원칩 제품이나 DDP 투칩 제품으로 제공된다. 1CS 패키지의 DIMM, SO-DIMM 및 Mini-DIMM은 16GB 용량 및 초 당 1600 MT의 전송 속도로 제공된다. ATP는 16 ~ 32GB 용량과 초 당 1333 또는 1600 MT 속도의 2CS DIMM을 공급하고 있으며 2CS Mini-DIMM은 8GB 용량과 초 당 1600 MT를 제공한다. ECC 및 비 ECC 옵션은 다양한 폼 팩터에서 사용할 수 있다.

기타 구형 DRAM 모듈을 위한 장기적 지원

ATP는 아직은 새로운 세대의 플랫폼으로 업그레이드 할 수 없는 고객의 구형 메모리 요구를 지원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

지난 2018년 9월, ATP는 마이크론의 단종 발표 이후에도 마이크론의 DDR2 SO-DIMM, UDIMM 및 RDIMM을 계속 사용할 수 있도록 마이크론 테크놀로지와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했다. 이 계약에 따라 ATP는 이 메모리 유형을 지원하는 플랫폼을 계속 사용하는 고객들을 위해 DDR2 DRAM 모듈을 제조하게 된다.

또한 ATP는 마이그레이션이 불가능한 마이크론 고객을 위한 SDR/DDR DRAM 모듈뿐만 아니라 특별히 AMD의 임베디드/지오드 플랫폼을 사용하는 고객을 위한 일부 구형 DRAM 모듈을 제조할 수 있는 권한도 부여 받았다.

APT는 DDR3 메모리 모듈에 사용되는 8기가비트 부품을 제공하는 한편, 고객의 인프라 투자 수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구형 메모리의 요건을 지속적으로 지원하겠다는 의지를 재확인하고 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삼성서울병원 선정
최중증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를 진료할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과 삼성서울병원이 선정됐다고 보건복지부가 1일 밝혔다. 이번에 새롭게 도입되는 중증 모자의료센터는 최종 전원기관으로서 모자의료 전달체계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간 정부는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 진료를 위해 신생아 집중치료 지역센터와 고위험 산모·신생아 통합치료센터를 지정해 운영해왔는데, 센터간 역량 차이와 지역별 인프라 연계 부족 등으로 중증 환자 진료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있었다. 이에 정부는 중증도에 따라 진료가 이뤄지도록 중증 모자의료센터와 권역 모자의료센터, 지역 모자의료센터 등으로 모자의료 전달체계를 개편했다. 이번에 선정된 2곳은 산과, 신생아과뿐 아니라 소아청소년과 세부 분과 및 소아 협진진료과 진료역량도 갖춰 고위험 산모·신생아와 다학제적 치료가 필요한 중환자에게 전국 최고 수준의 치료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복지부는 설명했다. 이들 의료기관은 24시간 진료체계 유지와 예비병상 운영 등을 통해 다른 병원들에서 응급환자 치료가 어려운 경우 최대한 환자를 수용·치료하게 된다. 정부는 이를 위해 두 병원에 시설·장비비 10억원과 운영비 12억원을 지원한다. 정통령 복지부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