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S25, 맛과 영양 강화한 콘셉트로 퀴노아미숫가루우유·피넛크림우유 선봬

최근 곡물음료 분류 인기몰이로 2019년 1월부터 3월 매출 전년 동기간 대비 202% 신장해
1인가구 및 맞벌이 증가로 더 간편한 끼니대용식 선호, 맛과 건강 고려한 소비 트렌드 강세

(미디어온) 인가구, 맞벌이 증가 등 인구구조 변화로 조리없이 바로 취식이 가능한 CMR이 인기를 끌고있다.

CMR 상품은 초기 곡물을 주재료로한 시리얼 타입으로 출시돼 아이들 간식거리로 인식됐으나 최근 바 타입, 분말 타입에 이어 개봉 후 바로 취식이 가능한 음료 타입으로 다각화돼 바쁜 현대인의 한끼 대용식이 되고 있다.

CMR상품 중 특히 주목을 받고 있는 분류는 취식이 가장 간편한 곡물음료 타입이다.

GS리테일이 운영하는 편의점 GS25는 2019년 1월부터 3월 판매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곡물음료 매출이 전년 동기간 대비 202% 신장했다고 밝혔다.

간편한 식사 대용이 목적이지만, 최소한의 영양을 고려해 곡물이 함유된 상품을 구매하려는 소비 심리가 반영된 결과다.

이에 GS25는 곡물음료 선호 트렌드에 맞춰 2有(맛과 영양)를 강화한 콘셉트로 PB상품인 유어스퀴노아미숫가루우유250ml(이하 퀴노아미숫가루우유), 유어스피넛크림우유250ml(이하 피넛크림우유) 2종을 출시했다고 22일 밝혔다.

퀴노아미숫가루우유는 기존 가공유의 원유 함유량(30%) 대비 2배 수준인 원유65%에 오곡미숫가루 (현미, 보리, 찹쌀, 조, 수수)를 더해 진한 고소함과 깊은 곡물의 향을 느낄 수 있는 곡물음료로, 퀴노아 분말까지 첨가돼 영양을 한층 강화했다.

퀴노아는 ‘곡물의어머니’란 뜻의 대표적인 슈퍼푸드로 양질의 식물성 단백질이 포함돼 있으며 필수 아미노산 9가지가 균형적으로 조성돼 있어 인체의 영양공급에도 탁월한 효과를 낸다.

피넛크림우유 또한 원유 65%에 대표적인 고지방, 고단백질 곡물인 땅콩 분말과 식물성 크림을 더해 진한 고소함과 부드러운 목 넘김을 구현한 상품으로, 1병이면 든든한 포만감이 느껴진다.

땅콩은 100g당 밥 두 공기의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대표적인 에너지 곡물로 피로 회복 효과에 탁월하며, 13종의 비타민과 26종의 무기질이 함유돼 천연 건강 곡물로 꼽힌다. 가격은 각각 1800원이다.

한편 GS25는 이번에 출시된 퀴노아미숫가루우유와 피넛크림우유 용기에 최근 트렌드인 뉴트로에 맞춰 복고스러움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디자인을 입혀 매력을 더했다.

또한 용기 측면에 에코 절취선을 만들어 취식 후 포장을 간편히 제거해 텀블러등으로 재활용 할 수 있게 제작했다.

유재형 GS리테일 유제품 MD는 “인구구조 변화에 따라 찌개와 밥으로 구성됐던 한국인의 식문화가 간편한 끼니대용식으로 대체되고있다”며”GS25는 간편하지만 맛과 영양을 잡아 고객의 든든한 한끼를 책임질 수 있는 상품을 만들기 위해 지속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삼성서울병원 선정
최중증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를 진료할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과 삼성서울병원이 선정됐다고 보건복지부가 1일 밝혔다. 이번에 새롭게 도입되는 중증 모자의료센터는 최종 전원기관으로서 모자의료 전달체계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간 정부는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 진료를 위해 신생아 집중치료 지역센터와 고위험 산모·신생아 통합치료센터를 지정해 운영해왔는데, 센터간 역량 차이와 지역별 인프라 연계 부족 등으로 중증 환자 진료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있었다. 이에 정부는 중증도에 따라 진료가 이뤄지도록 중증 모자의료센터와 권역 모자의료센터, 지역 모자의료센터 등으로 모자의료 전달체계를 개편했다. 이번에 선정된 2곳은 산과, 신생아과뿐 아니라 소아청소년과 세부 분과 및 소아 협진진료과 진료역량도 갖춰 고위험 산모·신생아와 다학제적 치료가 필요한 중환자에게 전국 최고 수준의 치료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복지부는 설명했다. 이들 의료기관은 24시간 진료체계 유지와 예비병상 운영 등을 통해 다른 병원들에서 응급환자 치료가 어려운 경우 최대한 환자를 수용·치료하게 된다. 정부는 이를 위해 두 병원에 시설·장비비 10억원과 운영비 12억원을 지원한다. 정통령 복지부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