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미코스메틱, ‘윈터체리뿌리·산뽕나무 및 보이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등 특허 2건 등록 결정

(미디어온) 글로벌 화장품 전문 기업 ㈜아미코스메틱은 자체 R&D센터를 통해 연구 개발한 소재 2건에 대해 최근 특허 등록이 결정되었다고 지난 23일 밝혔다.

아미코스메틱에 따르면 국내 특허 ‘윈터 체리 뿌리, 산뽕나무 및 보이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옥수수 오일, 귀리, 보리 또는 밀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특허로 등록이 결정된 것이다.

현대인들은 바쁜 일상에 쫓겨 잠을 제대로 자지 못해서 불면증, 과면증 등 수면장애를 겪고 있으며, 숙면을 취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요인들에 단순히 잠을 자는 것이 아닌 수면의 질을 높이고자 관리에 도움을 주는 제품들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아미코스메틱 연구개발팀은 숙면 장애 개선 또는 숙면 유지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의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등록 결정된 2건의 특허가 숙면에 도움을 주는 효과가 뛰어나다는 것이 인정되어 특허 등록이 결정되었다.

등록 결정된 2건의 특허는 신경세포 내 염화 이온의 양을 측정하였을 때, 본 발명의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 대조군에 비해 세포 내 염화 이온의 양이 증가한 것을 확인하여 이로부터 수면 유도 시간이 단축되고, 수면 유지 시간이 유의하게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들은 천연물 유래의 물질로서 독성이 없으며, 인체에 적용하여도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아 화장료 조성물로의 활용도가 높고, 모든 원료가 EWG 등급상 1등급에 해당하는 것으로, 안정성 또한 우수한 것이 입증되어 등록 결정되었다.

아미코스메틱 연구개발팀은 소비자의 니즈를 빠르게 파악하여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추가적으로 소재를 발굴하고 아미코스메틱의 차별화된 제품 기술력을 바탕으로 세계 우수 기업과 경쟁할 수 있는 제품 연구개발로 2020년까지 아시아 TOP10 진입할 수 있도록 연구에 매진할 것이라며 특허 등록 결정에 대한 소감을 밝혔다.

한편 아미코스메틱은 기업 소유 R&D 센터를 통해 자체적으로 ICID 등재 및 다양한 특허 성분 개발과 글로벌 특허 인증을 진행하고 있으며 서울국제발명대전, 대한민국 발명대전 수상을 통해 보유특허 기술의 우수성을 인정받고 있다.

또한 중국 현지 법인 운영 및 중국 3500개 왓슨스, 프랑스 마리오노, 스페인 엘코르떼잉글레스, 독일 데엠, 스웨덴 아포테크, 더글라스, 미국 얼타, 벨크, 로스, 메이시, 얼반아웃피터즈등 국내외 1만1000여개 이상의 뷰티 리테일 매장에 진입하는 등 전 세계 17개국 글로벌 유통 체인을 통해 공격적으로 브랜드를 전개하고 있으며 주력 브랜드로는 BRTC, CLIV, PureHeal's, EssenHerb, Jeju:en등이 있다.

현재 아미코스메틱은 중국위생허가323건, 유럽화장품200건, 독일더마테스트 등급획득 197건, 싱가포르 인증 22건, 베트남 인증 24건, 인도네시아 인증 57건, 말레이시아 인증 57건, 국제화장품원료집 84건, 국내외 특허 출원/등록/수상 182건, 국내외 상표 및 디자인 등록/수상 732건을 보유하고 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삼성서울병원 선정
최중증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를 진료할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과 삼성서울병원이 선정됐다고 보건복지부가 1일 밝혔다. 이번에 새롭게 도입되는 중증 모자의료센터는 최종 전원기관으로서 모자의료 전달체계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간 정부는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 진료를 위해 신생아 집중치료 지역센터와 고위험 산모·신생아 통합치료센터를 지정해 운영해왔는데, 센터간 역량 차이와 지역별 인프라 연계 부족 등으로 중증 환자 진료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있었다. 이에 정부는 중증도에 따라 진료가 이뤄지도록 중증 모자의료센터와 권역 모자의료센터, 지역 모자의료센터 등으로 모자의료 전달체계를 개편했다. 이번에 선정된 2곳은 산과, 신생아과뿐 아니라 소아청소년과 세부 분과 및 소아 협진진료과 진료역량도 갖춰 고위험 산모·신생아와 다학제적 치료가 필요한 중환자에게 전국 최고 수준의 치료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복지부는 설명했다. 이들 의료기관은 24시간 진료체계 유지와 예비병상 운영 등을 통해 다른 병원들에서 응급환자 치료가 어려운 경우 최대한 환자를 수용·치료하게 된다. 정부는 이를 위해 두 병원에 시설·장비비 10억원과 운영비 12억원을 지원한다. 정통령 복지부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