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 줄기세포', 표적 공격 가능해졌다"

미 휴스턴대 연구진, 암 줄기세포 생물표지 발견

 모든 암성 종양(cancerous tumors)에는, 치료제에 저항하고 스스로 재생하며 전이성이 높은 암 줄기세포(cancer stem cells)가 있다. 전체 암 사망의 약 90%가 암 줄기세포에서 기인한다.

 미국 휴스턴대 약대의 고미카 우두가마수리야 의료 화학 부교수팀이 암세포의 생존과 확산을 좌우하는 암 줄기세포에서 새로운 생물표지를 발견해 저널 '네이처 사이언티픽 리포츠(Nature Scientific Reports)'에 논문을 발표했다.

 이 대학이 14일(현지시간) 온라인(www.eurekalert.org)에 공개한 논문 개요 등에 따르면 암 줄기세포에서 처음 발견된 이 생물표지는 플렉틴(plectin)이라는 단백질이다.

 우두가마수리야 교수는 "구조 단백질인 플렉틴은 주로 세포 내에서 발현하지만, 세포 표면으로 위치를 바꾸면 종양의 침습과 전이에 관여한다"라면서 "신약 개발에 폭넓게 적용할 수 있는, 더 일반적인 생물표지일 수도 있다"라고 말했다.

 생물표지는 체내에서 비정상적인 일이 벌어지고 있음을 알리는 분자(molecules)를 말한다.

 호르몬, 효소, 신호전달 물질 등 단백질 복합체의 궤도 이탈 형태로 나타날 수 있지만, 환자마다 다른 특성을 보여 생물지표를 표적으로 하는 치료 약은 아직 개발되지 않았다.

 이번 연구 결과가 주목받는 건, 플렉틴의 발견 과정을 되짚어 따라가면 암 줄기세포를 죽이는 치료 약을 개발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우두가마수리야 교수는 생물표지 탐색과 치료 약 개발 작업을 동시에 진행했다.

 무려 40만 종의 펩타이드를 합성한 뒤 자체 개발한 검사법으로 일일이 테스트해, 암세포는 그냥 두고 암 줄기세포만 표적으로 삼는 후보 물질 3종을 가려냈다.

 이들 3종의 펩타이드로 암 줄기세포를 공격하는 실험을 진행해 최종적으로 확인한 게 바로 플렉틴이다. 이렇게 어렵고 복잡한 과정을 거쳐 플렉틴은 암 줄기세포 특유의 생물표지로 입증됐다.

 우두가마수리야 교수는 "플렉틴의 발현도가 높으면 폐 선암종 환자의 생존율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폐암 줄기세포와 플렉틴 사이의 유전형 상관관계와 표현형 상관관계도 드러났다"라면서 "이는 플렉틴이 폐암 줄기세포의 잠정적 생물표지라는 의미"라고 강조했다.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상처 부위 염증 수준 실시간 모니터링 '전자봉합사' 개발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은 상처 부위의 염증 수준 변화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전자봉합사를 개발했다고 최근 밝혔다. 연구에는 DGIST 로봇및기계전자공학과 이재홍 교수팀이 성균관대 글로벌바이오메디컬공학과 이정승 교수팀이 공동으로 참여했다. 지금까지 개발된 상처 관리 소자들은 대부분 밴드나 패치 형태로 피부 표면의 상처만 진단할 수 있어 체내에 난 상처 치유 및 염증 상태를 정확하게 평가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팀은 인체 내부와 외부 상처의 염증 상태를 장기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섬유 형태의 생체 전자봉합사를 개발했다. 동물 모델 실험 결과 이 전자봉합사는 일반 의료봉합사처럼 상처를 닫는 역할을 하면서도 동시에 인체삽입형 전자 소자로서 상처 부위의 염증 상태 변화를 실시간 감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자봉합사가 의료 현장에서 더 효과적인 상처 관리를 가능하게 하고 감염 상태를 조기에 감지해 치료 시기를 놓치지 않도록 함으로써 상처 회복을 촉진할 수 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이재홍 교수는 "이번 연구로 봉합사형 체내 삽입 전자소자 기술이 실제 의료 현장에서 활용될 가능성이 커졌다"며 "향후에도 생체 신호를 측정할 수 있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