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진료 지역협력체계 20개 선정…이달부터 시행

복지부, "소아환자 적기치료"

 보건복지부는 이달부터 시행하는 '소아진료 지역협력체계 구축 시범사업'을 수행할 20개 협력체계를 선정했다고 5일 밝혔다.

 이 시범사업은 지역 내 소아진료 협력체계를 구축해 중등증(경증과 중증 사이) 이상의 소아환자가 발생할 경우 협력체계 내 병·의원간 원활한 연계를 통해 적기 치료를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이다.

 지난달 시범사업 참여 협력체계 공모 결과 13개 지역(세종·전남·강원·제주 미신청) 28개 협력체계가 신청했다.

 최종적으로 경기 6개, 서울·대구·인천·대전 각 2개, 부산·광주·충북·충남·전북·경남 1개 등 11개 지역 20개 협력체계가 선정됐다.

 각 협력체계에는 운영금 명목으로 연간 2억원 상당의 지원금을 지급하며, 사전에 70%을 지급하고 운영 성과 등에 따라 사후에 최대 30%까지 차등 지급한다. 사업 기간은 이달부터 2026년 12월까지다.

 권병기 복지부 필수의료지원관은 "최근 소아진료 기반이 약화하면서 개별 의료기관의 대응만으로는 지역에서 야간·공휴일과 신속한 소아진료 체계를 상시 유지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며 "시범사업을 수행하면서 의료현장 및 전문가 등과 소통해 참여 지역 및 협력체계를 확산해 나갈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필수의약품 공급망 강화…민관 협력 네트워크 출범
식품의약품안전처는 국정과제인 '국가필수의약품 공급 안정화·지원'을 이행하기 위해 한국희귀·필수의약품센터와 '필수의약품 공공생산·유통 네트워크'를 구성했다고 26일 밝혔다. 국정과제 32-4는 메신저 리보핵산(mRNA) 백신 등 차세대 백신 플랫폼 기술 개발, 국가필수의약품·의료기기 공급 안정화 및 지원, 국산 원료 의약품 인센티브 확대 등 필수의약품 공급 안정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필수의약품 공공생산·유통 네트워크는 필수의약품 제조가 개시되는 단계부터 유통에 이르는 공급망 단계를 포괄해 지원한다. 향후 주문생산 제도를 활성화하기 위한 대상 선정 및 행정적·기술적 지원 사항을 체계적으로 논의하고, 제약사에 필요한 인센티브를 제도에 반영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정부, 제약 분야 협회 및 국가필수의약품 주문생산·유통 참여 업체 등이 참여하고 있다. 식약처와 한국희귀·필수의약품센터는 해당 네트워크 개시를 기념해 열린 간담회에서 필수의약품 주문생산 사업 현황과 향후 네트워크 운영 방향을 논의했다. 업계는 주문생산 사업에 참여하면서 느낀 애로사항을 공유하고, 향후 주문생산 사업을 활성화하기 위한 제도개선과 지원 필요 사항을 건의했다. 식약처는 "필수의약품 공공생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