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태 의료인 200여명 대구로 모인다…연수 프로그램 운영

 아시아, 태평양 지역 해외 의료진을 상대로 한 의료연수 프로그램인 '2019 아·태 안티에이징코스'가 오는 29일부터 다음 달 1일까지 대구 엑스코와 지역 의료기관에서 열린다.

피부과, 성형외과, 모발이식, 치과 4개 전공별로 강의와 라이브 서저리 참관, 현장실습 등 프로그램을 마련한다.

행사에는 아·태지역 15개국 해외 의료인 200여명이 참가한다.

고령사회를 맞아 안티에이징(항노화) 산업은 의학, 의약품, 의료기기, 화장품, 식품을 아우르는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성장하는 추세다.

대구시는 올해로 2회째를 맞는 이번 행사가 우수 의료기술을 전파하고 해외 의료인과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자리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행사 기간 32개 기업이 참가하는 의료제품 전시회도 열린다.

이승호 대구시 경제부시장은 "대구가 아시아·태평양 지역 안티에이징 산업 중심도시로 성장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바이오시밀러 개발 간소화로 최대 3천억원 절감…韓 기업 수혜"
바이오시밀러(바이오의약품 복제약) 개발 과정이 간소화되면 미국에서만 최대 2억2천500만달러(약 3천300억원)가 절감되고 개발 기간도 1∼2년 단축할 수 있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5년 2분기 바이오시밀러 시장 보고서'를 발간했다. 최근 미국과 유럽 등 주요 국가 규제 기관은 바이오시밀러 개발 절차를 간소화하는 추세다. 대표적 사례가 '비교 임상 효능연구'(CES) 필요성에 대한 재검토에 나선 것이다. CES는 2개 이상 치료제의 임상적 효능 등을 비교해 치료제 간 효과, 안전성 등이 비슷한지 평가하는 과정이다. 분석 및 약동학 데이터를 통해 대조약과의 생물학적 동등성이 충분히 확립된 데다 작용 기전이 잘 알려진 바이오시밀러의 경우 CES를 거칠 필요가 없다고 규제 기관은 보고 있다. 약동학은 약물의 흡수·분포·대사 등을 다루는 분야다. 예컨대 미국 식품의약품청(FDA)은 지난해 발표한 지침에서 경우에 따라 분석 및 약동학 데이터가 비교 임상 연구 없이도 충분한 동등성 근거를 제공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이달 FDA에 바이오시밀러 승인을 간소화하도록 장려하는 내용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