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남 최초 조선대 간호학과 6일 50주년 기념행사

 호남 최초로 전문직 간호사를 양성해온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가 개설 반세기를 맞는다.

 4일 조선대에 따르면 6일 오후 3시 서석홀 4층 대호전기홀에서 간호학과 50주년 기념행사가 열린다.

 조선대 간호학과는 1969년 12월 27일 정원 30명으로 신설했다.

 4년제 정규대학 과정으로 전국에서 여섯번째며 호남지역에서는 처음이다.

 1973년 대학원 석사과정을, 1999년 야간 편입학 특별과정을, 2004년 대학원 박사과정을 개설해 지금은 정원 80명으로 운영 중이다.

 50년간 학부 졸업생 3천117명, 대학원생 250여명을 배출했다.

 조선대 간호학과는 각종 평가에서 우수한 역량을 인정받으며 다양한 국책사업을 수행하고 국내 연구 발전에 기여했다.

 50주년 기념행사에서는 간호학과 위상을 높이고 후배에게 귀감이 된 동문이 특별 강연을 펼친다.

이혜옥 미국 매사추세츠대학교 보스턴캠퍼스 교수, 황영자 광주 남구 주월 노인의 집 원장, 명지원  광주트라우마센터장, 손정실 곡성군 홍복보건진료소장, 안지영 서울아산병원 차장 등이 연단에 선다.

 민영돈 총장, 전제열 의과대학장, 서현주 간호학과장, 류화라 동창회장의 축사가 이어진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지방의료 붕괴 현실로…수도권-지방 '수명 격차' 13년
사는 곳이 어디냐에 따라 기대수명이 13년이나 차이 나는 현실이 수치로 드러났다. 이는 단순히 통계적 차이를 넘어 수도권과 지방 간에 깊어진 의료 불균형이 국민의 생명권마저 위협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명백한 경고등이다. 서울 서초구의 기대수명은 90.11세에 달하지만, 경북 영덕군은 77.12세에 그친다. 이런 '수명 격차'의 근본 원인으로 의료 인프라의 극심한 지역 편중이 지목된다. 의사와 대형병원이 수도권에 집중되면서 지방의 필수의료 체계는 붕괴 직전으로 내몰리고 있으며, 이는 곧 지역 소멸을 앞당기는 악순환의 고리가 되고 있다. 3일 국회입법조사처의 분석에 따르면 의료자원의 불균형은 통계로도 명확히 드러난다. 인구 10만 명당 의사 수는 수도권이 211.5명인 데 반해 비수도권은 169.1명에 불과하다. 300병상 이상의 대형병원 역시 수도권과 대도시에 몰려있고, 의료인력의 연평균 증가율마저 수도권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어 격차는 시간이 갈수록 벌어지는 추세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지방에 거주하는 주민들은 중증 질환 발생 시 KTX를 타고 '원정 진료'를 떠나는 것이 당연한 일이 돼버렸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지역 의료의 마지막 보루 역할을 하던 공중보건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