젬백스 "GV1001, 중증 치매 억제효과 확인"…치료제 개발 청신호

 

 젬백스앤카엘(이하 젬백스[082270])는 펩타이드 조성물 'GV1001'의 알츠하이머병 임상 2상 시험에서 안전성과 유효성을 확인했다고 5일 밝혔다.

 임상시험 탑 라인(Top Line) 결과는 4일(현지시간) 미국 샌디에이고에서 열린 알츠하이머병 임상시험 컨퍼런스(CTAD, Clinical trials of Alzheimer's Disease)에서 공식 발표됐다.

 젬백스는 2017년 8월부터 지난 9월까지 한양대 구리병원을 포함한 국내 12개 의료기관에서 대표적인 치매 치료제인 '도네페질'을 3개월 이상 복용한 중등도(Moderate)에서 중증(Severe)의 알츠하이머병 환자를 대상으로 GV1001을 0.56mg 또는 1.12mg을 투여하는 임상시험을 진행한 바 있다.

 그 결과 GV1001을 투여한 두 환자군에서 모두 유의미한 효과를 확인했다.

 중등도 이상의 알츠하이머병 임상시험에서 보편적으로 쓰이는 중증장애점수(SIB; Severe Impairment Battery) 결과도 고무적이었다. SIB란 중증 치매 환자에서 인지기능과 행동 양상을 평가하기 위해 개발된 51문항, 총점 100점의 치매 평가다.

 고성호 한양대 의과대학 신경과 교수는 "도네페질을 단독으로 투여한 대조군에서는 SIB 점수가 7.23점 감소했지만 GV1001 1.12mg을 투여한 시험군에서는 0.12점 줄어드는 데 그쳤다"며 "시험군에서는 치료 기간 중 병의 진행이 거의 없는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고 교수는 "중등도 이상의 치매 환자에서 진행을 억제하는 신약이 전무한 상황에서 새로운 치료제의 가능성을 확인했다"며 "이번 연구 결과가 다음 단계(임상3상)의 대규모 임상시험의 결과를 예측할 수 있는 청신호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젬백스에 따르면 GV1001은 텔로머라아제(telomerase)에서 유래한 16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펩타이드 조성물이다. 텔로머라아제는 염색체 말단에 존재하는 텔로미어의 길이를 유지하는 기능 외에 면역과 항염, 항산화 등 기능을 가진 것으로 알려진다. 국내에서는 2014년 췌장암 치료제로 조건부 허가받았다.

 젬백스는 GV1001의 치료 범위를 알츠하이머병 등으로 확대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 중이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서울대병원 "단일공 로봇 생체 신장이식 아시아 최초 성공"
서울대병원은 수술 부위의 한 곳만 절개하는 '단일공'(single) 로봇을 이용해 아시아에서 처음으로 생체 신장이식 수술에 성공했다고 15일 밝혔다. 이 병원 이식혈관외과 하종원 교수팀은 지난 2월 단일공 로봇으로 기증자 신장 적출 수술에 성공한 데 이어 3월에는 수혜자에게도 단일공 로봇으로 신장을 이식했다. 단일공 로봇 생체 신장이식은 미국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이자 아시아에선 처음이라고 병원 측은 설명했다. 이를 포함해 현재까지 총 10건의 단일공 로봇 신장이식을 시행했으며, 현재까지 모두 안정적인 신장 기능을 유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기존 신장이식 수술은 개복 방식이나 복강경 '다공' 로봇 방식 등으로 진행돼 왔다. 개복수술은 20㎝ 이상 절개가 필요해 회복이 오래 걸리고 흉터가 크며, 복강경과 다공 로봇 수술은 절개 범위는 줄지만, 복부 여러 부위 절개가 필요하다. 단일공 로봇 수술의 경우 기증자는 배꼽 3∼4㎝, 수혜자는 하복부 6㎝의 최소 절개로 절개 범위를 획기적으로 줄이면서도 수술 정밀도를 유지할 수 있다는 게 서울대병원의 설명이다. 하종원 교수는 "단일공 로봇 생체 신장이식은 개복과 동일한 안전성을 유지하면서도 통증을 줄이고 회복을 빠르게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여름철 물놀이…콘택트렌즈 감염 주의보
식품의약품안전처는 15일 여름철 물놀이 중 콘택트렌즈를 착용하지 말고 렌즈 종류에 맞는 관리용품을 사용할 것을 당부했다. 식약처에 따르면 콘택트렌즈가 수영장 물, 수돗물, 바닷물과 접촉하는 경우 세균과 곰팡이 등 감염 위험이 크다. 물놀이 시 콘택트렌즈를 착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부득이한 경우 물안경을 잘 눌러 써 외부에서 물이 새에 들어오지 않도록 착용할 것을 식약처는 권장했다. 물놀이 후에는 반드시 콘택트렌즈를 새 제품으로 교체하고, 눈이 불편하거나 충혈, 통증 등 이상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제거하고 안과 전문의 진료를 받아야 한다. 또 콘택트렌즈는 식약처가 의약외품으로 허가한 '콘택트렌즈관리용품'으로 세척·소독하고 정해진 보관 용기에 보존액과 함께 넣어 보관해야 한다. 관리용품은 눈에 직접 쓰거나 코안을 세척하는 등 다른 목적으로 쓰면 안 된다. 렌즈 착용 후 보관 용기 안 보존액은 즉시 버리고 용기를 깨끗이 세척·건조해 보관해야 하고, 제품 오염을 막기 위해 용기 마개 부분을 만지지 말아야 한다. 렌즈 종류에 따라 렌즈에 흡착되는 이물질이 달라지는 만큼 하드·소프트 렌즈별 전용 세정액을 써야 한다. 식약처는 의료기기인 콘택트렌즈와 의약외품인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