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방암 조직검사 대신 영상촬영으로치료 결정

서울아산병원, PET 검사로 '여성호르몬 수용체' 진단 유효성 확인

 암 조직을 직접 채취하는 조직검사 대신 영상검사로 유방암 치료 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는 국내 연구 결과가 나왔다.

 유방암 환자들의 치료 방법을 결정짓기 위해서는 여성호르몬 수용체가 양성인지 음성인지 진단해야 하는데 이를 양전자방출단층촬영(PET) 영상 검사로 판단할 수 있다는 점이 확인된 것이다.

 서울아산병원 핵의학과 문대혁·오승준·채선영 교수팀은 재발 혹은 전이된 유방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18F-FES' 의약품을 이용한 양전자방출단층촬영'(PET) 영상검사를 통해 여성호르몬 수용체를 정확히 진단했다고 10일 밝혔다.

 여성호르몬 수용체 진단이 중요한 이유는 유방암 환자들의 향후 치료방법을 결정짓는 필수 검사이기 때문이다.

 유방암 환자 중 70%를 차지하는 여성호르몬 수용체 양성은 호르몬에 의해 암세포가 성장하기 때문에 항호르몬 치료를 하지만, 음성인 경우 다른 방법으로 치료한다.

 지금까지는 조직검사가 여성호르몬 수용체를 진단하는 유일한 방법이었다.

 하지만 조직검사는 전이된 부위가 여러 군데일 경우 모든 곳을 검사하기 어렵고, 뼈와 같이 전이된 위치에 따라 조직 채취가 불가능하다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연구팀은 PET검사용 의약품인 18F-FES(Fluoroestradiol)가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 수용체의 생물학적 활성을 측정할 수 있다는 점에 착안했다.

 연구팀은 2013년 11월부터 2016년 11월까지 서울아산병원에서 재발 혹은 전이된 유방암으로 진단받은 환자 85명을 대상으로 지금까지 국제암학회 표준 검사방법이었던 조직검사와 새로운 영상진단법인 18F-FES PET 검사의 결과를 비교했다.

 그 결과, 18F-FES PET검사에서 양성으로 진단된 환자는 조직검사 결과 역시 100% 여성호르몬 수용체 양성으로 진단됐다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문대혁 서울아산병원 핵의학과 교수는 "조직검사가 어렵거나, 불가능했던 재발 혹은 전이된 유방암 환자들도 이제는 더욱 안전하고 정확하게 여성호르몬 수용체 진단결과를 알 수 있게 됐다"며 "새로운 검사법은 15분 내외로 아주 짧고 통증도 없어, 환자들이 조직검사에 대한 부담을 덜 수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보건복지부 과제인 선도형특성화연구개발사업과 연구중심병원 육성 연구개발사업 지원을 받아 진행됐다. 연구팀은 최근 임상3상을 마치고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품목 허가도 받았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란셋 온콜로지'에 게재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전염병이 쓴 지구의 역사…'균은 어떻게 세상을 만들어 가는가'
"정복자들이 중남미를 그토록 단호하게 정복할 수 있었던 이유가 총과 쇠로 설명되지 않는다면, 그 이유는 무엇일까? 답은 간단하다. 균, 균, 균이다." 영국의 저명한 사회학자인 조너선 케네디 런던퀸메리대 교수는 신간 '균은 어떻게 세상을 만들어 가는가'(아카넷)에서 인류 문명의 흥망성쇠를 이끈 진정한 주역은 '균'이었다고 단언한다. 저자는 자신의 주장을 입증하기 위해 호모사피엔스가 어떤 이유로 다른 인류 종을 밀어내고 지구를 지배하게 됐는지부터 설명한다. 그는 호모사피엔스의 승리가 단순히 더 뛰어난 지능이나 우월한 문화 때문이 아니라, 아프리카에서의 오랜 진화 과정에서 얻은 강력한 면역 체계 덕분이라고 주장한다. 반면 네안데르탈인과 데니소바인 같은 다른 인류 종은 호모사피엔스가 옮긴 병원균에 취약해 결국 멸종의 길을 걸었다고 말한다. 호모사피엔스의 승리는 수만 년 뒤 아메리카 대륙에서 그대로 재현된다. 1492년 콜럼버스가 대서양을 건너 신대륙에 도착하면서 유럽의 병원균이 아메리카 대륙에 상륙했고, 이는 아즈텍과 잉카제국의 몰락을 불러왔다. 스페인 정복자들의 총이나 말보다 훨씬 더 치명적이었던 것은 천연두와 홍역 같은 질병이었다. 500명 남짓한 병력을 이끌

메디칼산업

더보기
복지부, 新의료기기 '시장 즉시 진입' 기준·절차 마련
식품의약품안전처 허가를 받은 새로운 의료기기가 곧바로 시장에 진입할 수 있는 '시장 즉시 진입 의료기술' 제도 도입을 앞두고 정부가 그 기준과 신청 절차 등을 마련했다. 보건복지부는 별도의 신의료기술평가 없이 시장에 즉시 진입할 수 있는 의료기기 대상과 신청 절차 등이 담긴 '신의료기술평가에 관한 규칙' 일부 개정안을 최근 입법 예고했다. 신의료기술평가는 새로운 의료기술이 시장에 진입하기 위해 거쳐야 하는 절차다. 안전성·유효성을 검증받은 뒤 의료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를 신설, 올 하반기에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이번에 입법예고된 개정안에서는 해당 제도의 대상과 신청 절차를 규정했다. 개정안에 따르면 국제적 수준의 임상 평가를 거친 의료기기를 사용하는 의료기술은 시장에 즉시 진입할 수 있는 대상이 된다. 식약처의 의료기기 허가 단계에서 복지부와의 협의를 거쳐 새로운 의료기기 품목으로도 공고된다. 신의료기술평가 유예를 원하는 기업 등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이미 등재된 의료기술인지를 확인해달라고 신청하고, 아닌 것으로 확인되면 즉시 시장에 사용 가능케 한다는 내용도 개정안에 담겼다. 해당 의료기기가 비급여로 시장에 진입한 후에도 환자 부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