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가족성 전립선암 유병률 8.4%…서구와 비슷"

분당서울대병원, 1천102명 분석…"가족력 땐 45세부터 검진해야"

 서양에서 흔한 전립선암이 국내에서도 증가하는 가운데 한국인의 가족성 전립선암 유병률은 8.4%로 서구와 비슷한 수준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분당서울대병원 비뇨의학과 변석수 교수팀과 이대서울병원 비뇨의학과 김명 교수팀은 2018년 9월부터 2019년 3월까지 분당서울대병원을 찾은 1천102명의 전립선암 환자를 분석해 이러한 사실을 확인했다고 18일 밝혔다.

 서양인을 대상으로 한 기존 연구에서 약 9~13%의 전립선암이 가족력을 가진 유전적 성향이 있다고 보고됐으나, 한국인 환자의 유전성 전립선암 유병률에 대한 대규모 연구 결과가 발표된 건 이번이 처음이다.

 연구 결과 가족성 전립선암 유병률은 8.4%(93명)였다. 그중에서도 아버지 및 형제에서 발병해 내려오는 직계 가족성 전립선암의 유병률은 6.7%(74명)로 확인됐다.

 변 교수는 "한국인들도 서양인과 유사한 수준으로 유전적 원인이 전립선암 발병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이번 연구로 입증됐다"며 "전립선암 가족력이 있다면 일반적으로 권장하는 50세보다 이른 45세부터 조기 검진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전립선암은 서양에서 남성암 중 가장 흔하다고 알려져 있다. 국내에서도 고령화가 가속하며 늘어나는 추세다. 국가암등록통계에 따르면 2006년 전립선암은 4천527건에서 2016년 1만1천800건으로 10년간 두 배 이상 증가했다.

 연구 결과는 비뇨의학 분야 국제학술지인 '전립선'(The Prostate) 최신호에 게재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면역항암제 키트루다, 건보 급여 확대 청신호…"적정성 인정"
대표적인 면역항암제 '키트루다'가 건강보험 급여 적용 확대에 한 발 더 다가섰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지난 4일 약제급여평가위원회(약평위)를 열고 키트루다에 대한 급여 범위 확대에 적정성이 있다고 인정했다. 이날 급여 확대가 심의된 적응증은 위 또는 위식도접합부 선암, 식도암, 자궁내막암, 직결장암, 두경부 편평상피세포암, 자궁경부암, 삼중음성 유방암, 소장암, 담도암 등이다. 이에 따라 키트루다는 앞으로 국민건강보험공단과의 약가 협상, 보건복지부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 심의를 거쳐 급여 적용 확대 여부가 최종 결정된다. 키트루다는 미국 제약사 MSD(머크)가 개발한 면역항암제로, 2023년 전 세계 매출 1위 의약품에 오르기도 한 '블록버스터 의약품'이다. 면역항암제는 암세포를 직접 공격하는 기존 항암제와 달리 면역세포가 암세포를 공격하도록 돕는 방식의 항암제다. 키트루다는 2014년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승인을 받은 데 이어 우리나라에서도 2015년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승인을 받았다. 최초 허가받은 적응증은 수술이 불가능하거나 전이성인 흑색종으로, 이후 적응증이 확대돼 16개 암에서 총 34개의 적응증이 승인됐다. 그러나 이 가운데 비소세포폐암, 호지킨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대웅제약 펙수클루, 중국 품목허가 획득…내년 하반기 발매
대웅제약은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펙수클루'(성분명 펙수프라잔)가 중국 국가약품감독관리국(NMPA)으로부터 품목 허가를 받았다고 6일 밝혔다. 적응증은 역류성식도염의 치료다. 펙수클루는 대웅제약이 2022년 출시한 P-CAB(칼륨 경쟁적 위산분비 억제제) 계열의 3세대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IMS 데이터에 따르면 중국의 항궤양제 시장 규모는 지난해 기준 약 3조원으로 세계 최대 수준이고, 최근 서구화된 식습관의 변화 등으로 위식도역류질환 환자가 빠르게 늘고 있다고 회사는 밝혔다. 대웅제약은 내년 하반기 펙수클루를 발매해 중국 현지의 특성과 수요를 반영한 진출 전략을 펼쳐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펙수클루는 지난해 기준 출시 3년 만에 국내외에서 연매출 1천억원을 넘어섰다. 현재 인도와 멕시코, 칠레, 에콰도르, 필리핀 등 6개국에 출시됐다. 현재 총 30여개국에 진출했으며, 2027년까지 100개국 진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회사는 밝혔다. 박성수 대웅제약 대표는 "이번 중국 품목 허가는 펙수클루가 글로벌 블록버스터 의약품으로 도약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세계 최대 항궤양제 시장인 중국에서 펙수클루가 환자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