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림프구 혈중 수치, 사망 위험 예고 지표"

  백혈구의 일종인 림프구(lymphocyte)의 혈중 수치가 사망 위험을 예고하는 지표가 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덴마크 헤르레프-겐토프테 병원(Herlev-Gentofte Hospital)의 스티 보예센 임상학 교수 연구팀은 림프구의 혈중 수치가 낮은 림프구 감소증(lymphopenia)이 사망 위험 증가와 연관이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고 헬스데이 뉴스가 13일 보도했다.

 연구팀은 2003~2015년 사이에 '코펜하겐 인구조사'에 등록된 10만8천135명(20~100세)의 건강자료를 분석했다. 이 기간에 1만372명이 각종 원인으로 사망했다.

 그 결과 혈중 림프구 수치가 표준 이하인 사람은 모든 원인에 의한 사망 위험이 60%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암, 심혈관질환, 호흡기질환, 감염 등의 원인으로 사망할 위험은 1.5~2.8배나 높았다.

 나이가 많을수록 림프구의 수가 줄어든다는 사실도 밝혀졌다.

 림프구 감소증과 사망 위험 사이에 이 같은 연관성이 있는 이유는 심각한 질병에 저항하는 면역력이 줄어들기 때문으로 생각된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림프구 감소증은 정규 건강검진 혈액검사에서 흔히 발견되지만, 지금까지는 미래의 건강 예고지표로서의 유용성이 알려지지 않았기 때문에 후속 의료조치가 취해지지 않고 있다.

 이 연구결과는 캐나다 의학협회 저널(Canadian Medical Association Journal) 최신호(1월 13일 자)에 실렸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효소는 유전자가 설계한 기계처럼 작동한다"
우리 몸의 생화학 반응을 조율하는 효소가 실제로는 유전자가 설계한 나노 기계처럼 작동한다는 사실을 국내외 공동 연구진이 입증했다. 4일 울산과학기술원(UNIST)에 따르면 이 대학 물리학과 츠비 틀루스티 특훈교수팀은 이스라엘 와이즈만 연구소의 일라이셔 모지스 박사팀과 함께 효소 내부의 점탄성이 효소의 생물학적 기능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실험적으로 밝혀냈다. 효소는 음식물 소화, 에너지 생성, DNA 복사, 노폐물 처리 등 화학 과정을 활성화하는 생체 단백질이다. 효소는 작동할 때 구조가 열리고 닫히는 움직임을 반복하는데, 이때 단백질 전체가 단단하지도 흐물흐물하지도 않고 마치 스프링처럼 탄력 있게 움직이며 충격을 흡수하는 성질인 점탄성을 보인다. 효소는 점탄성을 통해 구조적 유연성과 안정성을 유지한다. 연구팀은 효소의 기계적 특성이라고 할 수 있는 점탄성이 망가지면 화학적 기능인 활성도 크게 떨어지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첨단 측정 기술을 통해 효소에서 기계의 완충 장치인 '쇼크 옵서버'와 같은 역할을 하는 '고변형 영역'을 찾아내 이 영역의 아미노산 1개를 바꿔 돌연변이를 만드는 실험으로 이 같은 사실을 밝혀냈다. 고변형 영역은 효소 안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