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류 암세포 내부 정보, 금 나노입자로 가로챈다"

암세포 DNA 조각 등 담긴 '세포외 소포' 추적 성공
호주 퀸즐랜드대 연구진, 저널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논문

 암세포는 '세포외 소포(EVs : extracellular vesicles)라는 나노 입자를 분비해 인체의 면역체계를 억제하고 주변 세포를 조작한다. 끊임없이 EVs를 분비하는 건 건강한 정상 세포도 마찬가지다.

 미세한 거품 형태인 EVs는, 세포 안에서 무슨 일이 벌어지는지 보여주는 DNA나 단백질 등을 세포들 사이에 실어나른다. 세포와 세포 사이의 정보 교환은 EVs가 있어야 가능한 것이다.

 혈액에 들어 있는 암세포 유래 EVs를 실시간으로 포착해, 암의 진행 정도와 치료 반응 등을 알아내는 나노 검진 기술을, 호주 퀸즐랜드대 과학자들이 개발했다.

 퀸즐랜드대에 개설된 '호주 생명공학 나노기술 연구소(AIBN)'의 왕 징 교수팀은 관련 논문을 과학 저널 '사이언스 어드밴시스(Science Advances)'에 발표했다.

 26일(현지시간) 온라인(www.eurekalert.org)에 공개된 논문 개요 등에 따르면 EVs는 차세대 혈액 생물지표가 될 가능성으로 과학자들의 관심을 모은다.

 왕 교수팀은 '올리비아 뉴턴 존 암 연구소(ONJCRI)'의 종양학자들과 함께 흑색종 환자 23명의 혈액 샘플에 시험해, 암세포 유래 EVs의 존재를 확인하고, 치료 약 투여 전후에 EVs가 어떤 변화를 보이는지 추적하는 데 성공했다.

 혈액에는 건강한 세포에서 분비된 EVs가 더 많은데, 암세포 EVs와 구분하는 게 매우 어렵다.

 연구팀은 암세포 EVs만 포착하는 걸 돕는 전기 활성 나노유체 칩과 특별한 형태의 금 나노입자를 결합해 사용했다.

 이 금 나노입자는, 암세포 EVs의 표면 분자와 결합하는 항체에 달라붙는 성질을 가졌고, 레이저 빛과 충돌하면 독특한 신호를 내보낸다고 한다.

 왕 교수는 "암세포 EVs의 지문(특징)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알아내면, 적용한 치료법이 잘 듣는지 아니면 내성을 일으키는지를 신속히 판단할 수 있다"라면서 "이 기술은 어떤 암 치료법을 써야 하는지를 실시간으로 알려준다"라고 말했다.

 AIBN의 매트 트라우 교수팀은 앞서, 순환 종양 세포(CTCs)와 암세포 특유의 DNA 조각을 탐지하는 데 금 나노입자가 유용하다는 걸 입증했다.

 이번에 암세포 EVs까지 추적하는 데 성공함으로써 향후 이 검진 기술이 현재의 고비용 암 영상 진단술을 대체하게 될 것으로 연구팀은 기대한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KAIST, 사용할수록 더 강해지는 인체 뼈 닮은 신소재 개발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신소재공학과 강성훈 교수 연구팀이 미국 존스홉킨스대학, 조지아 공과대학 연구팀과 공동으로 인체 뼈의 원리를 모사해 사용할수록 오히려 더 강해지는 신소재를 개발했다고 최근 밝혔다. 아파트 건물, 차량 등을 구성하는 재료는 반복적으로 하중을 받으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성능이 저하된다. 한미 공동 연구팀은 우리 몸속 뼈가 하중을 받으면 세포 작용으로 미네랄을 합성해 골밀도를 증가시키는 원리에서 영감을 얻어 사용할수록 단단해지는 신소재를 개발했다. 힘을 많이 가할수록 전하를 더 많이 생성하는 다공성 압전 소재(힘을 전기로 변환하는 소재)로 바탕재를 만든 뒤 미네랄 성분을 갖는 전해질을 넣어 복합재료를 합성했다. 재료에 주기적인 힘을 가한 후 물성 변화를 측정한 결과, 응력(외력에 의해 변형된 물체 안에서 발생하는 힘)의 빈도와 크기에 비례해 재료의 강성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마이크로 CT 촬영을 통해 반복적인 응력에 의해 다공성 재료 안에 미네랄이 형성되고, 힘이 가해지면 미네랄이 파괴되면서 에너지를 흩어지게 하는 모습을 확인했다. 다시 응력을 가하면 미네랄이 형성되는 과정이 반복된다. 기존 재료들이 반복적으로 사용할수록

메디칼산업

더보기
셀트리온, 충남 예산에 바이오의약품 생산공장 2028년까지 신설
셀트리온이 2028년까지 3천억원을 투자해 충남 예산에 바이오의약품 생산 공장을 신설한다. 김태흠 충남지사와 서정진 셀트리온그룹 회장, 최재구 예산군수, 김병곤 충남개발공사 사장은 27일 예산군청 추사홀에서 이런 내용이 담긴 투자합의각서(MOA)를 체결했다. 2023년 11월 도와 예산군, 셀트리온이 투자협약(MOU)을 체결한 지 1년 2개월여 만이다. MOA는 비구속적인 MOU와 달리 특정한 조건과 세부적인 사항을 담은 법적 구속력이 담긴 합의서다. 이날 MOA를 체결한 것은 셀트리온의 도내 투자가 구체적으로 확정돼 본격적으로 추진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도는 설명했다. 이에 따라 셀트리온과 예산군은 셀트리온 신규 공장이 들어설 내포신도시 농생명 융복합산업 클러스터 산업단지 가운데 일부 사업의 공동 시행자로 함께 산업단지 계획을 수립해 올해 안에 승인받기로 했다. 산단 계획 승인이 완료되면, 셀트리온은 2028년까지 3천억원을 투자해 바이오의약품 생산 공장을 새로 짓는다. 도와 예산군은 신속하게 산단 개발과 공장 신설이 이뤄지도록 인허가 등 행정·재정적 지원에 나선다. 충남개발공사는 산단 조성을 위한 토지 매입과 기반 시설 공사를 2027년 상반기까지 마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