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범위 독감 바이러스에 듣는 '범용 백신' 임상시험서 효과 입증

 광범위한 독감 바이러스에 듣고 면역이 오래 지속될 수 있는 '범용'(universal) 독감 백신이 개발돼 임상시험에서 효과가 입증됐다.

 영국의 시크어큐어(SEEKacure) 제약회사가 개발한 이 범용 독감백신(FLU-v)은 건강한 성인 175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2상 임상시험에서 항체 형성과 면역 반응을 유발하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헬스데이 뉴스(HealthDay News)가 9일 보도했다.

 이 독감 백신은 독감 바이러스가 지니고 있는 단백질 중에서 돌연변이 진화 압력을 받지 않는 4가지를 합성해 만들어졌기 때문에 설사 이 중 1가지가 변이를 일으킨다 해도 다른 3가지가 면역반응을 일으키게 된다고 시크어큐어 사의 올가 플레게수엘로스 연구실장은 밝혔다.

 컴퓨터 알고리즘을 통해 독감 바이러스의 어떤 단백질 영역(protein region)이 강력한 면역반응을 일으킬 가능성이 큰지를 우선 알아내고 이어서 어떤 단백질 영역이 잘 변이되는지를 분석하는 방법으로 이 4가지 표적 단백질을 찾아냈다고 그는 설명했다.

 임상시험에서는 이 백신이 투여된 그룹이 투여되지 않은 대조군보다 항체 형성과 면역 반응이 촉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매년 만들어지는 독감 백신은 독감 바이러스 표면에 있는 단백질을 공격하는 항체의 생성을 촉발한다.

 그러나 이 표적 단백질은 자주 변이를 일으키기 때문에 그때마다 새로운 백신을 만들어야 한다.

 새로 개발된 이 범용 백신이 표적으로 하는 단백질들은 독감 바이러스 변종들 사이에 별 차이가 없어 바이러스가 인간의 면역체계를 속이기 위해 스스로 변신할 가능성도 적다고 플레게수엘로스 연구실장은 강조했다.

 임상시험에서는 백신 주사를 맞은 부위의 국소 반응 외엔 다른 부작용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 범용 백신이 시장에 나오려면 앞으로 많은 사람을 대상으로 효과와 안전성을 입증해야 하는 가장 중요한 3상 임상시험을 거쳐야 한다.

 시크어큐어 사는 3상 임상시험 진행에 소요되는 적지 않은 비용을 마련할 방법과 함께 규제 당국과의 협의를 진행 중이다.

 2상 임상시험 결과에 대해 존스 홉킨스대학 건강안전센터의 아메시 아달리야 박사는 이 법용 백신이 면역반응을 유발하는 성질인 면역원성(immunogenicity)이 상당함을 보여주고 있다면서 "매우 고무적"이라고 평가했다.

 이 연구결과는 미국 내과학회 학술지 '내과학 회보'(Annals of Internal Medicine) 최신호(3월 9일 자)에 발표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깜깜이' 병원평가…"'데이터 통합'으로 기준 바로 세워야"
A병원의 '의사 1인당 병상수'는 1.5명, B병원은 2.0명. 언뜻 B병원의 인력이 더 우수해 보이지만, 이는 착시일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의료기관 평가 지표는 이름만 같을 뿐, 20개에 달하는 평가 제도마다 계산 방식이 제각각이기 때문이다. 이처럼 기준이 통일되지 않은 평가는 결국 국민이 내는 건강보험 재정이 진정으로 의료의 질이 높은 병원에 보상으로 가지 못하게 하는 '깜깜이 평가'라는 지적이 나왔다. 보건복지부 의뢰로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이 최근 수행한 '건강보험 성과보상 근거 마련을 위한 의료기관 평가체계 개편 기반 연구'보고서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파편화된 현재의 평가 방식을 버리고 '표준화된 원자료(raw data)'를 기반으로 한 통합 평가체계 구축을 시급한 과제로 제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국내 의료기관은 상급종합병원 지정, 의료 질 평가, 적정성 평가 등 20개의 각기 다른 평가를 받고 있으며, 여기에 사용되는 지표만 1천개가 넘는다. 이로 인해 병원들은 유사한 자료를 평가 기관마다 다른 양식으로 반복 제출해야 하는 행정 낭비에 시달리고 있다. 하지만 더 큰 문제는 평가 결과의 신뢰성이다. 보고서는 평가지표 이름이 동일하거나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국립산림과학원 '산양삼 추출물, 근력개선 효과' 확인…특허출원
국내 대표적인 숲푸드인 산양삼 추출물이 근력 개선에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최근 특별관리 임산물인 산양삼에 대한 기능성 평가 연구를 수행한 결과 산양삼 추출물이 근력 개선에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했다. 이번 연구는 산양삼 추출물을 활용해 근위축증과 근감소증 등 다양한 근육질환을 효과적으로 예방하고 치료할 수 있는 천연물 식의약 소재로서의 잠재적 가능성을 입증하기 위해 수행됐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산양삼 추출물의 처리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근육세포 생성을 촉진하고, 근위축증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양삼은 철저한 생산관리를 통해 농약과 화학비료 사용이 금지되며, 품질검사를 통과해 합격증을 받은 제품만 유통이 가능하다. 엄격한 관리 기준 덕분에 안심하고 섭취할 수 있어 우리나라 대표 숲푸드로 주목받고 있다.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약용자원연구소는 이번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최근 특허를 출원했다. 앞으로 기술이전을 통해 산양삼 추출물의 산업화를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희문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약용자원연구소장은 "그린 바이오산업 육성과 더불어 산양삼의 다양한 약리 효능을 밝혀 산업계와 국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메디칼산업

더보기
국내 연구진, 고가 장비 없이도 2시간내 식중독균 검출기술 개발
국내 연구진이 기존보다 간소화한 절차로 신속하게 식중독균을 검출할 수 있는 유전자 진단 기술을 개발했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건국대 생물공학과 박기수 교수 연구팀이 최근 대장균(O157:H7)과 리스테리아균을 감별하는 '엠플래시'(M-FLASH)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대장균(O157:H7)과 리스테리아균은 감염 시 위장염, 패혈증 등을 유발할 수 있는 식중독의 주요 원인균이다. 기존의 검출법은 정확도는 높지만, 오랜 분석 시간과 고가의 장비가 필요하다는 한계가 있었다. 반면 이번에 개발한 엠플래시는 복잡한 전처리 없이 대장균과 리스테리아균을 고감도로 신속하게 검출하는 것이 주요 특징이다. 2시간 이내로 고가의 장비 없이 현장에서 즉각 병원균을 검출할 수 있다는 게 연구진의 설명이다. 연구진은 고가의 형광 탐지기를 사용하거나 시료 변형이 필요한 기존 진단법과 달리 등온핵산증폭기술과 금나노입자 탐침 기술 등을 활용해 간소화된 절차로 식중독균 검출 기술을 구현했다. 등온핵산증폭기술이란 온도 변화를 위한 장비 없이도 일정한 온도에서 핵산을 증폭시키는 분자생물학 기술을 뜻한다. 금나노입자탐침은 특정 물질을 검출하거나 이미지 처리(imaging)하는 데 사용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