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선량 흉부 CT, DNA 손상 없어"<日 연구팀>

 저선량 흉부 CT(low-dose chest CT)는 DNA를 손상시키지 않는 것 같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일본 히로시마대학 방사선 생물의학연구소장 다시로 사토시 박사 연구팀은 폐암 진단을 위한 CT 검사 때 1.5밀리시버트(mSv)의 저선량을 사용하면 DNA 손상을 피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고 메디컬 익스프레스(MedicalXpress)가 11일 보도했다.

 저선량 흉부 CT를 찍은 107명과 표준 선량(5.0mSv) 흉부 CT를 찍은 102명을 대상으로 검사 전과 검사 15분 후 채취한 혈액 샘플을 비교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확인됐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표준 선량 CT 그룹은 DNA 손상과 염색체 이상이 뚜렷하게 나타났으나 저선량 그룹은 검사 전과 비교해 DNA와 염색체에 특별한 차이가 없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연구팀은 세포에서 이중나선(double helix) 구조를 이루고 있는 DNA 가닥인 염색체 이상을 잡아낼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했으며 이번 연구에서 이 시스템을 이용했다.

 담배를 오래 피운 폐암 고위험군은 흉부 X선 검사보다 저선량 흉부 CT 검사가 폐암을 치료 가능한 초기 단계에 진단할 수 있다는 사실이 미국 폐암 선별검사 임상시험(NLST: National Lung Screening Trial)에서 밝혀지면서 저선량 흉부 CT 검사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다.

 물론 폐암 진단에는 표준 선량 CT 검사가 효과적이지만 실보다 득이 클 경우이다.

 이 연구결과는 북미 영상의학회(Radiological Society of North America) 학술지 '영상의학'(Radiology) 최신호에 실렸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전립선암 방사선 치료 환자, 내달부터 치료비 부담 던다
오는 9월 1일부터 전립선암 방사선 치료의 정확도를 높이고 부작용을 줄이는 데 필수적인 '방사선치료 체내고정용 재료'에 건강보험 필수급여가 적용된다. 이에 따라 그간 비용의 50%를 짊어져야 했던 환자들의 경제적 부담이 크게 완화될 전망이다. 보건복지부는 이런 내용의 '요양급여의 적용기준 및 방법에 관한 세부사항' 일부개정안을 최근 행정 예고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개정은 해당 치료재료가 임상적 유용성과 필요성을 인정받아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 심의를 통과한 데 따른 후속 조치다. '방사선치료 체내 고정용 재료'는 체외 방사선 조사 시 치료 부위의 움직임을 최소화하기 위해 직장 내에 삽입하는 일회용 재료다. 전립선은 남성의 방광 바로 아래, 직장 앞에 위치한 작은 기관이다. 해부학적으로 직장과 매우 인접해 있어, 방사선 치료 시 미세한 움직임에도 방사선이 직장에 영향을 미쳐 직장 출혈, 통증 등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다. 이 재료는 전립선과 직장 사이에 물리적 공간을 확보해 방사선이 전립선암 조직에만 정확히 조사되도록 돕는 '방어벽' 역할을 수행한다. 지금까지 해당 재료는 환자가 비용의 50%를 부담하는 '선별급여' 항목이었다. 치료 효과와 안전성을 높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