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대 이후 인지 능력 저하 늦추면 신체 능력도 따라온다"

만 50~90세 유럽인 10만5천여 명, 12년간 2년 주기 측정치 분석
스위스 제네바대 연구진, 저널 '건강 심리학'에 논문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신체활동 부족으로 목숨을 잃는 사람이 한해 320만 명에 달한다고 한다. 세계 어느 곳이 됐든 10초당 1명꼴로 사망하는 셈이다.

 일반적으로 만 50세부터는 신체활동이 서서히 줄고 뇌의 인지 능력도 감퇴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신체활동과 인지능력은 서로 맞물려 있다고 봐야 한다.

 그런데 신체활동이 뇌에 더 큰 영향을 미칠까 아니면 그 반대일까?

 스위스 제네바대(UNIGE)가, 스위스 국립과학재단 산하 'NCCR LIVES'와의 공동 연구를 통해 그 해답을 내놨다.

 결론은 지금까지 인식됐던 것과 정반대였다.

 뇌의 인지 능력이 신체의 비활동성을 막는 정도가, 신체활동이 인지 능력 저하를 막는 정도보다 훨씬 더 크다는 것이다.

 제네바대는 24일(현지시간) 관련 논문 개요를 온라인(www.eurekalert.org)에 공개했다. 본 논문은 저널 '건강 심리학(Health Psychology)'에 실렸다.

 고령자의 신체기능 저하는 심각하다.호주 모내시대 연구진은 작년 8월, 해마다 60세 이상의 4.3%가 '쇠약 상태'로 떨어진다고 보고한 바 있다.

 스포츠 심리학자로서 이 연구를 주도한 UNIGE의 보리스 헤발 박사는 "신체활동과 인지능력은 기억력 측면에서, 나아가 새로운 뉴런(신경세포)의 성장과 생존이라는 관점에서 서로 연관된 것으로 보고됐다"라면서 "하지만 어느 쪽을 먼저 생각해야 하는지는 아직 공식적으로 시험한 적이 없다"라고 말했다.

 연구팀은 유럽 25개국이 참여한 'SHARE 서베이'의 사회·경제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해, 만 50세부터 90세까지 10만5천206 명을 대상으로 총 12년간 2년 주기로 신체 및 인지 능력을 측정한 결과를 분석했다.

 인지 능력은 60초 동안 동물의 이름을 대는 어휘 구사력과 10개의 단어를 읽고 기억을 되살려 나열하는 능력으로 측정했다. 신체 활동은 1단계(전혀 없음)부터 4단계(매주 한 번 이상)로 나눠 검사했다.

 그 결과 인지능력은 신체활동에 영향을 미치지만, 그 반대는 별로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신체활동도 인지능력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일종의 선순환이 이뤄질 것으로 본다"라면서 "하지만 이번 연구 결과만 보면 신체활동이 인지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인 것 같다"라고 지적했다.

 따라서 50대 이후의 신체 및 인지 능력 감퇴를 선순환 구도로 늦추려면 먼저 인지 기능에 신경을 써야 한다는 게 결론이다.

 헤발 박사는 "뇌가 좌식 생활을 탈피하는 건 정말 힘들고, 인지 능력을 기르면 신체 능력이 그 뒤를 따른다는 우리의 가설이 이번 연구로 입증됐다"라고 강조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美FDA, 코로나19 백신접종 대상 '65세 이상·고위험군' 제한 추진
미국 보건·의약당국이 코로나19 백신 접종 대상을 65세 이상 노령층과 고위험군으로 제한하는 방안을 추진한다고 미 언론이 21일(현지시간) 전했다. 블룸버그 통신과 미 ABC 방송 등에 따르면 식품의약청(FDA)은 향후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65세 이상 또는 기저 질환을 가진 사람들로 제한하기로 하는 계획을 전날 발표했다. 또 FDA의 마틴 마카리 청장과 백신 책임자 비나이 프라사드 박사는 '뉴잉글랜드 의학 저널'에 발표한 글에서 건강한 성인과 어린이·청소년에 대한 코로나19 백신은 제약사들이 장기 위약 대조군에 대한 대규모 임상시험을 하지 않을 경우 승인하지 않을 방침이라고 밝혔다. 미 언론은 이런 백신 규제 방침이 제약사들의 비용 부담을 크게 늘려 새로운 백신 개발에 장벽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지난 몇 년간 코로나19 백신은 변종을 거듭해 왔기 때문에 제약사들은 호흡기 바이러스에 취약한 겨울철을 앞두고 변이 바이러스에 대응하기 위해 백신을 업데이트해왔다. 하지만 FDA 측은 젊고 건강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백신 접종의 경우 위험 대비 효과가 떨어진다고 주장했다. 화이자와 모더나 등 제약사들은 코로나19 백신에 관해 FDA와 논의를 진행 중이라면서 젊

메디칼산업

더보기
중기부, 제약바이오벤처 자문단 출범…"급변하는 시장 대응"
중소벤처기업부는 제약바이오 산업 특성을 고려한 실효성 있는 정책 추진을 위해 '제약바이오벤처 자문단'을 출범했다고 밝혔다. 자문단은 제약바이오 기업인과 유관 협회·단체, 중견 제약사, 벤처캐피탈(VC) 등 제약바이오 생태계 핵심 주체들 12명으로 구성했다. 자문단은 급변하는 세계 시장 환경과 기술 트렌드에 대응해 국내 제약바이오 벤처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책 방향을 논의하고, 현장 수요에 맞게 전문적인 정책제언을 담당한다. 분기별로 자문위원이 제약바이오벤처 육성정책 방향을 설정하면 월별로 자문위원들이 추천한 실무위원들이 정책기획 방향에 따른 지원정책을 구체화할 계획이다. 구체화한 방안은 다음번 자문단 회의에서 점검해 정책을 빈틈없이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중기부는 지난 19일 대전 한국생명공학연구원에서 자문단 첫 회의를 열고 자문단 운영계획과 제약바이오 중소벤처 육성정책 추진현황, 현장 애로사항 등에 대해 논의했다. 오영주 중기부 장관은 "제약바이오 분야는 개별 기업의 자금 지원만으로는 부족하고 다양한 생태계 구성원 간 협력이 필요하다"며 "자문단의 다양한 제언을 바탕으로 제약바이오벤처 육성정책을 고도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