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치의 폐섬유증, 생명 위협하는 '급성 악화' 원인 알아냈다"

호염성 포도상구균 분비 물질, 짧은 시간에 폐 세포 괴사 유발
미 일리노이대 연구진, 저널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 논문

 폐섬유증(pulmonary fibrosis)은 폐에 상처가 생기면서 폐 조직이 딱딱해지는 병이다. 일단 진단을 받으면 3년 내지 5년 안에 목숨을 잃는 불치병이다.

 환경적 요인, 감염, 약물 복용 등의 연관성이 거론되기도 하지만, 대다수는 원인불명이다.

 이렇게 원인을 알 수 없는 사례를 '특발성 폐섬유증(IPF)'이라고 하는데 미국에선 한해 약 5만명이 IPF로 사망한다. 이는 유방암 사망자 수보다 많은 것이다.

 폐섬유증은 서서히 진행되다가 급격히 악화하는 특징이 있다. '급성 악화(acute exacerbation)' 단계로 진행된 환자는 갑작스러운 호흡 곤란과 폐 기능 상실로 사망에 이른다.

 IPF 환자의 50% 이상은 급성 악화로 목숨을 잃는다. 이 단계를 무사히 넘긴 환자도 50%는 4개월 안에 사망한다.

 천천히 진행되던 IPF가 왜 갑자기 악화하는지는 알지 못했는데 마침내 그 이유가 밝혀졌다.

 폐에 침투한 호염성(salt-loving) 세균이 특정 화학물질을 분비해 폐 세포의 급속한 괴사를 유발한다는 것이다.

 과학자들은 이 화학물질을 차단하면 IPF의 급성 악화를 막을 수 있다는 것도 동물 실험에서 확인했다.

 미국 일리노이대 어버너-섐페인 캠퍼스의 아이작 칸 미생물학 교수팀은 관련 논문을 저널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Nature Communications)'에 발표했다.

  24일(현지시간) 온라인(www.eurekalert.org)에 공개된 논문 개요 등에 따르면 IPF 환자의 폐에 포도상구균, 연쇄상구균 등의 박테리아가 많이 증식한다는 건 이전의 연구에서 드러났다. 폐의 내벽에 다량의 염분이 침착하는 것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됐다.

 그런데 빠른 속도로 폐 세포를 죽이는 건, 호염성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nepalensis)이 분비하는 펩타이드였다.

 연구팀이 코리신(corisin)으로 명명한 이 화학물질은 IPF의 호흡 곤란 등 증상을 급격히 악화시키는 주범으로 드러났다.

 코리신을 투여하거나, 코리신을 분비하는 포도상구균에 감염된 생쥐는 '급성 악화' 조짐이 훨씬 더 심하게 나타났다.

 급성 악화를 경험한 IPF 환자의 폐 조직 샘플에서도 높은 수위의 코리신이 검출됐다.

 연구팀은 또한 호염성 포도상구균의 유전체 염기서열을 분석해, 이 박테리아가 폴리펩타이드(다중 아미노산 결합체)를 잘게 쪼개 코리신을 생성한다는 걸 확인했다.

 칸 교수는 "트로이 목마가 그렇듯이, 큰 단백질을 아무리 관찰해도 그 안에 파괴적 요소가 숨겨져 있는 건 알 수 없다"라면서 "이 미생물(포도상구균)은 폴리펩타이드를 만든 다음 그것을 잘게 조각내 치명적인 물질이 되게 한다"라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큰 단백질에서 코리신 조각을 만들어내는 효소를 확인하는 걸 다음 목표로 정했다.

 아울러 코리신이나 비슷한 화학물질을 생성하는 세균이 더 있는지, 그리고 코리신 같은 박테리아 생성 물질이 신장과 간 등의 섬유증에 작용하는지도 연구할 계획이다.

 칸 교수는 "환자 입장에서 이 발견은, 정체불명의 침입자와 싸우는 정신적 스트레스를 줄여 줄 수 있다"라면서 "의사에겐 당연히 치료 약 발견과 치료법 개발의 자극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유전자가위 동시에 켜고 끈다…이중모드 크리스퍼 가위 개발
한국과학기술원(KAIST) 이주영 교수와 한국화학연구원 노명현 박사 공동 연구팀은 대장균(박테리아의 일종)에서 원하는 유전자를 동시에 켜고 끌 수 있는 '이중모드 크리스퍼(CRISPR) 유전자 가위'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2일 밝혔다. 유전자 가위는 인간·동식물 세포의 특정 염기서열을 찾아내 해당 부위 데옥시리보핵산(DNA)을 절단함으로써 유전체를 교정하는 기술이다. 대표적으로 '크리스퍼 카스9 유전자가위'(CRISPR-Cas9)가 널리 활용되고 있는데, 절단 효소인 카스9(Cas9) 단백질과 교정할 유전자 부위를 찾아주는 '가이드 리보핵산(RNA)'이 결합해 유전체를 편집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다만 '끄기'(억제) 기능에 특화돼 유전자 발현을 막는 데는 뛰어나지만, 유전자를 켜 활성화하는 기능은 제한적이다. 그나마 사람·식물·동물 등 다세포 생물의 기본 단위인 진핵세포에서는 켜는 것이 가능하지만, 박테리아에게서는 유전자 켜기가 되지 않는다는 한계가 있다. 박테리아는 구조가 단순하고 빠르게 증식하면서도 다양한 유용 물질을 생산할 수 있어, 합성생물학(미생물을 살아있는 공장처럼 만들어 의약품과 화학물질 등을 생산할 수 있는 핵심 기술)의 기반이 된다. 합성생물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