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껍질만 있는 유사 바이러스로, 진짜 독감 바이러스 잡는다"

박테리오파지 캡시드에 포도당 입혀 바이러스 결합 유인
독일 '연구그룹 베를린' 협회, 저널 '네이처 나노테크놀러지'에 논문

  약칭 '플루(flu)'로 통하는 인플루엔자(독감) 바이러스는 여전히 인류의 건강을 심각하게 위협하는 존재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해마다 전 세계에서 약 65만명이 이 바이러스 감염으로 목숨을 잃는다.

 요즘 의료 현장에서 쓰이는 항바이러스제는 폐 세포에 감염된 이후의 플루 바이러스만 공격해 치료 효과가 제한적이다.

 플루 바이러스의 폐 세포 감염을 먼저 차단하면 훨씬 더 효과적일 테지만, 과학자들은 여태껏 그 방법을 알지 못했다.

 마침내 독일 과학자들이 플루 바이러스의 폐 세포 감염을 사전 차단하는 획기적인 치료법을 개발했다.

 화학적으로 처리된 박테리오파지(세균 먹는 바이러스)의 캡시드(단백질 껍질)로 플루 바이러스를 포박해, 폐 세포 감염과 증식을 억제하는 것이다.

 과학자들은 플루 바이러스와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전 임상 시험에서 효과를 확인한 데 이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해서도 이 치료법을 시험할 계획이다.

 이 연구 결과를 담은 논문은 저널 '네이처 나노테크놀러지(Nature Nanotechnology)'에 실렸고, 별도의 논문 개요는 30일(현지시간) 온라인(www.eurekalert.org)에 공개됐다.

 이 연구는 '연구 그룹 베를린(FVB)' 협회의 주도로, 라이프니츠 분자 약물학 연구소((FMP), 베를린 자유대, 베를린 공대(TU), 훔볼트대(HU), 로버트 코흐 연구소(RKI), 베를린 샤리테 의대 등이 공동 수행했다.

  연구팀이 실험에 활용한 건, 장에 서식하는 Q-beta 박테리오파지(약칭 파지)다.

 이 파지는, 포도당 분자를 리간드(수용체 결합 분자)로 처리하면, 플루 바이러스 표면의 3원자가 수용체(trivalent receptor)와 잘 들어맞는 표면 특성을 가졌다고 한다.

 바이러스 표면에는 예외 없이 3원자가 헤마글루티닌 수용체가 있다. 바이러스의 감염은, 이 수용체가 숙주의 폐 조직 세포 표면에 존재하는 포도당 분자(시알산)와 결합하면서 이뤄진다.

 연구팀이 만든 구형의 파지 캡시드는, 껍질만 있는 유사 바이러스 입자로서 일종의 미끼 역할을 한다.

 HU의 분자 생체물리학 그룹에서 연구에 참여한 다니엘 라우스터 박사후연구원은 "이 파지 캡시드는, 바이러스 표면의 3가 헤마글루티닌 수용체에 간격을 맞춰 결합하는 180종의 단백질로 구성돼 있다"라면서 "이상적인 바이러스 유인 조건을 갖춘 캡시드를 이용해 바이러스를 무력화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Q-beta 파지의 구형 캡시드가 이런 기능을 하기 위해선 화학적 조작이 필요한데, 연구팀은 합성화학 기술로 캡시드의 정해진 위치에 포도당 분자를 붙였다.

 연구팀은 동물 모델과 배양세포 실험에서, 이 파지 캡시드가 플루 바이러스에 대해 강한 결합력과 억제력을 모두 갖췄다는 걸 확인했다.

 플루 바이러스에 감염된 인간의 폐 조직 세포에 이 파지 캡시드를 투여하면 바이러스는 증식을 멈췄다.

 연구팀은 생분해성과 비독성, 비면역성 등이 확인된 파지 캡시드 치료법을, 다른 종의 바이러스와 세균, 특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에도 적용할 수 있을 거로 기대한다.

 예컨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가 숙주의 목이나 기도 세포에 침투하지 못하게 차단하는 치료제를, 같은 원리로 개발할 수 있다는 게 연구팀의 구상이다.

 FMP의 화학 생물학과장인 크리스티안 하켄베르거 교수는 "혁신적인 항바이러스제 개발을 위해 완 전히 새로운 통찰을 제시한 성공적인 연구 결과"라고 자평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복지장관 "연내 공공의대 설립 근거 마련…설립까지 이르면 3년"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은 새 정부 보건의료정책의 핵심으로 '지·필·공(지역·필수·공공의료)'을 내세우고 의료 인력 양성을 위해 올해 안에 공공의료사관학교(공공의대) 설립을 위한 법적 근거를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은 지난 22일 서울 영등포구 FKI타워에서 취임 후 첫 기자간담회를 열고 "의료서비스의 지역 격차 해소, 필수의료 확충, 공공의료 강화에 힘쓰겠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정 장관은 "공공의료사관학교는 전국 단위의 공공의료기관이나 공공 분야에서 필요한 의사 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공공의대 개념"이라며 "법을 새롭게 제정하고 준비 과정을 거쳐야 하므로 구체적인 설립 시기를 언급하기는 어려우나, 올해 안에 법안 근거를 만드는 걸 목표로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내년도 예산에 공공의대 설계가 반영돼 있다"면서 "대학을 설립하고 준비하는 과정이 몇 년이 될지 말하기는 어렵지만 3∼5년 정도이고, 정책 실행 속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의대 졸업 후 지역에서 일정 기간 의무 복무케 하는 지역의사제 도입에 속도를 내겠다고 강조했다. 의료계가 지적하는 지역의사제의 위헌 소지나 실효성 논란에 대해서는 반박했다. 대

학회.학술.건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