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상인 당뇨병 예측 AI 개발…정확도 95%

 지금은 건강해 보이는 사람이 장차 2형(성인) 당뇨병이 발생할 것인지를 예측할 수 있는 AI(인공지능)이 개발됐다.

 일본 가나자와(金沢) 대학 의학대학원 심장 전문의 노무라 아키히로 교수 연구팀은 당뇨병 발병을 95%의 정확도로 예측할 수 있는 AI를 개발했다고 메디컬 익스프레스(MedicalXpress)가 31일 보도했다.

연구팀은 당뇨병이 없는 6만5천505명이 포함된 13만9천225명이 2008~2018년 사이에 받은 총 50만9천153건의 연례 건강검진 기록을 컴퓨터에 기계 학습(machine learning)시키는 방법으로 당뇨병 예측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이 기간에 당뇨병이 없었던 사람 중에서 새로이 4천696명이 당뇨병 진단을 받았다.

건강검진 기록에는 신체검사, 혈액검사, 소변검사 결과와 함께 문진(questionnaires) 자료가 포함됐다.

이 모든 자료를 기계 학습시킨 결과 앞으로 어떤 사람이 당뇨병이 발생할 것인지를 94.9%의 정확도를 예측할 수 있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이는 당뇨병이 발병할 고위험군을 가려내는 기존의 위험요인 평가 방식보다 더 정확하다고 연구팀은 강조했다.

기계 학습이란 어떤 명확한 프로그램 없이 새로운 자료에 노출될 때마다 스스로 배우면서 어떤 특정한 패턴을 포착해 내는 것이다.

연구팀은 이 AI 시스템에 의해 당뇨병 고위험군으로 분류된 사람들을 대상으로 혈중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는 스타틴 계열의 고지혈증약이 당뇨병 발병을 막는 데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내기 위한 임상시험을 진행할 계획이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 내분비학회 저널(Journal of Endocrine Society) 특집(3월 31일 자)에 발표됐다.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국내 혁신의료기기 100개 돌파…지정제도 도입 5년만
정부로부터 혁신의료기기로 지정받은 제품 수가 100개를 돌파했다. 30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디지털 헬스케어 전문기업 메디팜소프트의 심혈관 위험 평가 소프트웨어(PAPS)가 28일 제100호 혁신의료기기로 지정됐다. 2020년 5월 혁신의료기기군(첨단기술군·의료혁신군·기술혁신군·공익의료군) 특성별로 지정 가치가 높은 제품을 혁신의료기기로 지정하는 일반심사 지정제도가 시행된 지 5년 만에 100개를 넘어섰다. 혁신의료기기는 정보통신·로봇 기술 등 기술 집약도가 높고 혁신 속도가 빠른 분야의 첨단 기술을 적용하거나 사용 방법을 개선해 기존 의료기기나 치료법에 비해 안전성과 유효성을 현저히 개선한 의료기기다. 식약처는 혁신의료기기를 다른 의료기기보다 먼저 심사하는 '우선심사'와 허가 전 심사받고 싶은 자료를 개발 단계별로 나눠서 심사하는 '단계별 심사' 등을 통해 우대하고 있다. 혁신의료기기 지정부터 제품화 및 시장 진출까지 단계별 1대 1 맞춤 지원도 하고 있다. 5년간 지정된 일반심사 혁신의료기기는 84개였으며, 요양급여대상·비급여대상 여부 확인, 혁신의료기술 평가를 식약처와 보건복지부가 동시에 통합 심사하는 일종의 패스트트랙(신속처리안건)으로 2022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