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역억제제+항암제 함께 투여했더니…생쥐 수명 30% 길어져"

獨 연구팀 "라파마이신+트라메티닙 병용, 새 노화 억제제 가능성 확인"

 미국 식품의약품청(FDA) 승인을 받은 면역억제제 라파마이신(Rapamycin)과 항암제 트라메티닙(Trametinib)을 생쥐에 함께 투여하면 수명이 30% 길어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독일 막스 플랑크 노화 생물학 연구소(MPIBA) 세바스티안 그뢴케 박사팀은 30일 과학 저널 네이처 노화(Nature Aging)에서 라파마이신과 트라메티닙을 생쥐에 함께 투여하면 각각 투여할 때보다 효과가 더 커져 수명이 30% 연장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라파마이신은 이전에도 수명을 연장하는 강력한 노화 억제제로 알려져 있었으나 트라메티닙은 초파리 연구에서 그 가능성이 제시됐지만 생쥐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들은 이 연구에서 암수 생쥐에 트라메니팁과 라파마이신을 단독 또는 함께 경구로 단일 약물 치료와 같은 용량을 투여하면서 수명 연장 및 노년기 건강 개선 효과를 관찰했다.

라파마이신과 트라메티닙 단독 및 병용 요법의 수명 연장 효과

 그 결과 트라메티닙과 라파마이신을 단독 투여할 때 암컷과 수컷의 수명이 모두 유의미하게 증가했으나, 두 약물을 함께 투여하면 효과가 더욱 커져 수명이 약 30%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약물 병용 요법은 생쥐의 노년기 건강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

 두 약물이 투여된 생쥐는 암수 모두에서 간 종양과 수컷의 비장 종양이 크게 줄었고, 노화와 관련된 뇌 포도당 흡수 증가도 완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 뇌와 신장, 비장 및 근육의 노화 관련 염증이 현저하게 감소했으며, 순환하는 전 염증성 사이토카인(pro-inflammatory cytokine) 수치가 줄면서 암의 발병과 진행도 지연됐다.

 연구팀은 라파마이신과 트라메티닙 병용은 단순 용량 증가 효과뿐 아니라 새로운 효과를 보였다며 다양한 조직의 유전자 발현을 분석한 결과 두 약물 병용 시 개별 투여와는 다른 방식으로 유전자 활성이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이어 트라메티닙은 이미 사람에 대한 사용이 승인돼 있어 임상시험이 가능하다며 트라메티닙의 건강 및 수명 연장 효과를 극대화하고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최적 용량과 투여 경로를 규명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뢴케 박사는 "트라메티닙은 특히 라파마이신과 병용할 때 노화 억제제로 테스트해볼 수 있는 좋은 후보로 밝혀졌다"며 "이 연구가 다른 연구자들에게 이어져 사람을 대상으로 한 시험으로 확장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 출처 : Nature Aging, Sebastian Grönke et al., 'The geroprotectors Trametinib and Rapamycin combine additively to extend mouse healthspan and lifespan', https://www.nature.com/articles/s43587-025-00876-4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 4개 보훈병원, '포괄 2차 종합병원' 선정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은 보건복지부로부터 '포괄 2차 종합병원' 지원사업 대상 병원에 중앙·부산·광주·대구보훈병원이 공식 지정됐다고 1일 밝혔다. 이 사업은 지역의 필수 의료를 책임지는 종합병원의 기능을 강화하는 것으로, 정부는 필수 의료 기능 강화 지원과 기능 혁신에 대한 성과평가를 통해 성과지원금 등 재정적 지원을 추진할 계획이다. 사업 주요 내용은 ▲ 적정진료 ▲ 진료 효과성 강화 ▲ 지역의료 문제 해결 ▲ 진료 협력 강화의 4대 기능 혁신 추진이다. 이를 통해 지역 주민이 수도권 상급종합병원에 가지 않더라도 안심하고 진료받는 여건을 조성한다. 이번 선정은 보건복지부가 구성한 평가 자문단의 심사를 통해 이뤄졌으며, 4개 보훈병원은 ▲ 급성기병원 의료기관 인증 ▲ 지역응급의료기관 지정 ▲ 350개 이상의 수술 및 시술 항목 보유 등 모든 선정 기준을 충족해 서울, 부산, 광주, 대구 지역의 필수 의료를 담당할 종합병원으로 인정받게 됐다. 각 지역 보훈병원은 이달부터 포괄 진료 역량 강화를 위한 행정·재정적 지원을 받게 된다. 이번 지정을 계기로 지역거점 공공의료기관으로서 필수 의료 제공 기능 강화, 응급의료 및 중증질환 치료를 포함한 예방·재활·만성질환 관리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