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세포만 골라 죽이는 나노입자 개발…항암제 부작용 해소

IBS "세포실험서 암세포 사멸 효과 입증…동물실험 추진"

 기초과학연구원(IBS)은 첨단연성물질 연구단 바르토슈 그쥐보프스키 그룹리더 연구팀이 암세포만 골라 제거하는 금속 나노입자를 개발했다고 13일 밝혔다.

 나노입자가 정상 세포와 암세포의 리소좀 내부에 침투한 뒤 암세포의 리소좀만 망가뜨려 세포를 죽이는 원리이다.

 리소좀은 세포에서 못 쓰게 된 다른 기관을 분해해 단백질로 만들거나 바이러스 등 외부 물질을 파괴하는 역할을 한다.

 항암 치료 분야에서 리소좀을 파괴해 세포 사멸을 유도하기 위한 연구가 시도되고 있지만, 정상 세포도 공격한다는 문제가 있다.

 연구팀은 암세포 주변이 산성이라는 점에 착안, 산성 환경에서만 결정이 커지는 금속 나노입자를 설계했다.

 나노입자 표면에 각각 양전하와 음전하를 띠는 리간드(중심 원자와 결합하는 분자나 이온)를 특정 비율로 붙인 뒤 정상 세포와 암세포에 주입하자 암세포에서만 덩어리를 이뤄 리소좀을 파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정이 커지면 나노입자를 배출하지 못하게 되면서 암세포가 사멸하게 된다.

 세포 내 리소좀으로 나노입자가 들어가려면 세포 내 섭취작용(세포가 세포 밖 물질을 세포막을 이용해 삼키는 작용)이 잘 일어나야 하는데, 나노입자 표면에 양이온과 음이온을 각각 8대 2로 붙이면 섭취작용을 극대화할 수 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바르토슈 그쥐보프스키 그룹리더는 "고장 난 암세포는 이물질 배출이 어렵다는 점을 활용해 암세포를 죽일 수 있다는 것을 세포 실험을 통해 증명했다"며 "앞으로 동물실험을 통해 항암제로서의 가능성을 연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네이처 나노테크놀로지'(Nature Nanotechnology) 지난달 16일 자에 실렸다.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복지장관 "신종 포함 모든 담배 규제…더 강력한 금연정책 추진"
정부가 액상형 등의 신종을 포함한 모든 담배의 규제를 위해 법 개정을 지원하는 등 더 강력한 금연 정책을 펼치기로 했다.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은 28일 미리 배포한 제38회 세계 금연의날 기념식 축사에서 "어린이와 청소년을 담배의 유혹으로부터 보호해 담배 없는 건강한 일상을 누리도록 모두가 더욱 힘써야 할 때"라며 "정부는 신종 담배를 포함한 모든 담배를 규제하기 위한 관련법 개정을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세계 금연의날 기념식은 29일 서울 여의도 전국경제인연합회회관에서 열린다. 매년 5월 31일은 세계보건기구(WHO)가 지정한 세계 금연의 날이다. 국내에서는 14회째이던 2001년부터 매년 기념식을 열고 있다. 올해 금연의 날은 담배 제품으로부터 아동과 청소년을 보호한다는 취지에서 '화려한 유혹, 그 가면을 벗기자'를 주제로 삼았다. 조 장관은 또 "담배의 유해성분을 국민께 알리기 위해 담배유해성관리법 시행을 철저히 준비하는 등 더욱 강력한 금연 정책을 추진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올해 11월 시행되는 담배유해성관리법은 정부가 5년마다 담배 유해성관리 기본계획을 수립·시행하고, 담배를 제조하거나 수입·판매하는 자는 2년마다 품목별로 유해 성분 검사를 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