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발성 경화증·시신경 척수염, 다른 자가면역 질환도 부른다

삼성서울병원·인하대병원 공동연구…"염증반응 세포 활성화로 면역 불균형

  다발성 경화증과 시신경 척수염 등 자가면역질환을 앓는 환자는 다른 자가면역질환이 새롭게 발생할 위험이 수십 배 높아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삼성서울병원 신경과 민주홍 교수와 가정의학과 신동욱 교수, 인하대병원 신경과 권순욱 교수, 숭실대 한경도 교수 연구팀은 다발성 경화증 및 시신경 척수염 질환 환자의 추가 자가면역질환이 발병 위험을 분석해 이런 사실을 확인했다고 28일 밝혔다.

 연구팀은 2010∼2017년 국민건강보험공단 데이터를 토대로 다발성 경화증 환자 1천987명과 시신경 척수염 범주 질환 환자 2천71명을 진단 1년 뒤부터 각각 추적 관찰했다.

 그 결과 다발성 경화증 환자는 추적 관찰을 시작한 지 평균 4.5년, 시신경 척수염 범주 질환 환자는 평균 4.3년 이내에 다른 자가면역질환을 새로 진단받았다.

 다발성 경화증 환자는 베체트병을 진단받을 위험이 17.2배 높았다.

 시신경 척수염 범주 질환 환자는 쇼그렌 증후군을 앓을 위험이 82.6배, 전신 홍반 루푸스를 앓을 위험이 30.8배 증가했다.

 연구팀은 이러한 결과에 대해 자가면역질환 발병과 진행 과정의 공통된 특성 때문이라고 추정한다.

 정상적으로 면역을 조절하는 세포 대신 염증반응을 일으키는 세포가 활성화되고, 염증 유발 물질이 분비되는 면역 불균형이 나타나면서 또 다른 자가면역질환이 발병했다는 것이다.

 민주홍 교수는 "다발성 경화증과 시신경 척수염 범주질환을 진단받은 후에도 다른 자가면역질환이 발병할 수 있다는 사실에 대비해야 한다"며 "환자를 진료할 때 관련 질환이 함께 발병할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장기적인 관리 전략을 세워야 한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메이요 클리닉 회보'(Mayo Clinic Proceedings) 최근호에 실렸다.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오랜만에 만난 부모님 '이 증상' 보인다면…"서둘러 병원 방문"
명절에 오랜만에 만난 부모님이 평소와 다르게 이상 증세를 보인다면 가벼운 것이라도 놓치지 말고 병원에 방문해 보는 것이 좋다. 갑자기 표정이 어색해지거나 말이 어눌해지는 경우, 기침이나 다리 부종 같은 흔한 증상도 심각한 질환의 신호가 될 수 있다. 골든타임이 특히 중요한 질환으로는 뇌혈관질환이 있다. 서울아산병원에 따르면 뇌졸중은 뇌의 일부분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이 막히거나 터져서 뇌 조직이 손상되는 질환이다. 혈관이 막혀 뇌가 손상되면 뇌경색이고 결국 혈관이 터지면 뇌출혈이다. 둘을 합쳐서 뇌졸중이라고 한다. 뇌졸중은 55세 이후로 발병률이 높아지는데, 연령이 10세 증가할 때마다 뇌졸중 발생률은 약 2배씩 늘어난다. 고령자일수록 더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이유다. 또한 급성 뇌경색의 경우 발병 직후 최대 3시간 안에 막힌 혈관을 뚫어 줘야 뇌 손상률을 낮출 수 있다. 따라서 고령자의 뇌졸중 증상을 미리 식별해 조기에 치료를 받게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서울아산병원 신경과 김범준 교수는 "대한뇌졸중학회에서는 국민들이 뇌졸중 의심 증상을 조기에 감별할 수 있도록 '이웃손발시선'이라는 식별법을 개발해 홍보하고 있다"며 이를 소개했다. 이웃손발시선 식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