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스마트폰 과의존이 부르는 뜻밖의 결과…"치아 손상"

중고생 5만여명 분석…"산만함 심해 넘어지거나 부딪혀 치아 깨짐 많아"

 요즘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과의존 현상이 갈수록 심각해지는 추세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최근 내놓은 디지털 정보격차·웹 접근성·스마트폰 과의존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고위험군 및 잠재적 위험군) 비율은 42.6%로, 전년 대비 2.5%포인트 증가했다.

 청소년 5명 중 2명 이상이 스마트폰에 과도하게 의존하고 있고 그 정도도 점점 심해지고 있다는 것이다.

 스마트폰 화면에 과도하게 집중하는 데서 비롯되는 안구건조증이나 시력 저하 등의 눈 건강은 물론 거북목증후군, 비만, 수면 부족, 중독, 골절, 손·어깨 통증 등이 지금까지 연구에서 스마트폰 과의존과 연관성이 큰 것으로 확인된 질환이다.

 최근에는 이에 더해 스마트폰을 과도하게 사용하는 청소년에게서 치아 손상 발생률이 높다는 연구 결과도 제시됐디.

 경희대치과병원 소아치과 연구팀(채용권·남옥형·이효설·최성철 교수, 류성원 전공의)은 2023년 한국청소년건강행태조사(KYRBS)에 참여한 전국 중고생 5만2천875명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청소년기 스마트폰 과다 사용이 외상성 치아 손상(파절)의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28일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소아치과학술지'(International Journal of Paediatric Dentistry) 최신호에 실렸다.

 파절은 외부 충격으로 인해 치아 일부가 깨지는 것을 말한다.

 연구팀은 청소년의 스마트폰 사용 시간이 치아 파절에 미치는 영향을 보기 위해 연구 대상 청소년들의 성별, 스마트폰 사용 시간, 운동 빈도, 경제·사회적 배경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했다.

치아 파절

 그 결과 스마트폰 사용 시간이 길수록 치아 파절을 경험한 비율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하루 평균 스마트폰 사용 시간에 따라 총 4개 그룹으로 나눴을 때 치아 파절 경험률은 사용 시간이 가장 짧은 그룹(하루 평균 2시간 4분 미만)에서 9.3%였지만 사용 시간이 가장 긴 그룹(하루 평균 8시간 9분 초과)은 13.6%로 1.5 배가량 많았다.

 연구팀은 스마트폰 사용 시간과 치아 파절 사이에 이런 연관성이 관찰되는 건 스마트폰 과의존으로 인한 낙상이나 충돌 등의 외상 사고가 그만큼 자주 발생하기 때문으로 추정했다.

 특히 청소년의 경우 스마트폰을 사용할 때 산만함이 심해 넘어지거나 부딪히는 과정에서 치아 파절과 같은 신체적 손상으로 이어질 위험이 더 크다는 게 연구팀의 지적이다.

 남옥형 교수는 "과도한 스마트폰 사용이 집중력 저하나 정서적인 문제를 넘어 시각적, 청각적 주의력에 영향을 미쳐 낙상, 충돌 등의 외상 사고로 인한 치아 파절 발생 위험을 높일 수 있음을 보여주는 연구 결과"라고 설명했다.

 이어 "청소년기에 발생한 치아 파절은 성장기에 (음식물을 씹는) 저작 기능 약화 등 구강건강에 장기적으로 나쁜 영향을 줄 수 있다"며 "외상 위험을 줄이기 위해서라도 청소년기 스마트폰 사용을 줄이고 건강한 사용 습관을 기르도록 가정과 학교 등 사회 전반의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숨찬 증상에 노화 탓만?…생명 위협하는 의외의 병일 수도
70대 A씨는 얼마 전 갑작스럽게 숨이 차올라 응급실에 실려 갔다. 검사 결과는 '폐색전증'. 한 달 전 다리 골절로 침대에만 누워 지내던 중 생긴 혈전(피떡)이 폐혈관을 막은 것이다. 의료진은 조금만 늦었더라면 목숨을 잃을 수 있는 상황이었다고 했다. A씨가 진단받은 폐색전증은 심장병, 뇌졸중만큼 잘 알려진 병은 아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이들 질환 못지않게 치명적이다. 특히 초고령사회에 접어든 이후 노인들에게서 발병률이 꾸준히 오르고 있어 경각심이 필요하다. 이 질환은 혈액 찌꺼기가 응고되면서 만들어진 혈전이 혈류를 타고 이동하다가 폐혈관을 막으면서 발생한다. 호흡을 통해 우리 몸에 들어온 산소는 폐포에서 폐혈관으로 옮겨가 적혈구를 타고 각 신체 기관에 전달되는데, 폐혈관이 막히면서 산소 공급이 끊겨 갑작스러운 호흡곤란과 흉통이 발생하는 것이다. 대부분의 경우 혈전은 다리의 심부정맥에서 시작돼 폐로 이동한다. 드물게 신체 다른 부위의 정맥에 혈전이 만들어지는 경우도 있는데, 보통 하나 이상의 심부정맥에 혈전이 만들어지면 '심부정맥혈전증'(DVT)이라고 한다. 폐색전증의 대표 증상인 호흡곤란은 쉬는 동안에도 발생하며, 신체 활동을 하면 악화한다. 또한 심호흡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