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품 부작용 피해 보상액 6년만에 감소…작년 18억원 그쳐

피해구제 부담금 징수액 47.5억원의 38.7% 불과…전년대비 18.3% 감소

 작년 의약품 부작용으로 피해를 본 국민을 구제하기 위해 지급된 보상금액이 6년 만에 처음으로 감소했다.

 27일 식품의약품안전처와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에 따르면 작년 의약품 부작용 피해구제 부담금은 760개소로부터 약 47억5천300만원 징수됐다.

 피해구제 부담금 지급액이 전년 22억5천만원에 비해 4억1천100만원(18.3%) 감소했다.

 지급액이 전년 대비 감소한 것은 2018년 이후 6년 만에 처음이다.

 지급액은 2017년 14억2천600만원에서 2018년 13억2천700만원으로 줄어든 이후로는 2023년까지 5년 연속 증가했다.

 작년 징수액 대비 지급액 비율도 38.7%로 전년(41.3%)보다 떨어졌다. 이 비율은 2021년 46.1%에서 3년 연속 하락세를 유지했다.

 작년 지급액이 큰 폭으로 줄어든 것은 상대적으로 금액이 큰 사망 보상금이 줄어든 점과 함께 의약품 부작용 피해구제에 대한 국민 인지도가 낮은 점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과거 식약처의 의약품 부작용 피해구제 제도 대국민인지도 조사에서 해당 제도를 '모른다'고 한 응답자 비율이 87.5%에 달하기도 했다. 60대 이상의 인지도는 6.5%에 불과했다.

 사업관리와 의약품 부작용 심의위원회 운영 등을 맡은 주관기관 식약처와 피해구제 신청 접수, 피해조사, 피해구제 급여 지급관리 등을 책임진 운영기관 의약품안전관리원이 대국민 홍보를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의약품안전관리원장을 역임한 박병주 의학한림원 부원장은 "2012년 사업이 시작돼 13년이 지난 만큼 사업이 활성화돼야 하는데 지급액이 늘지 않아 안타깝다"며 "한정된 예산으로 인지도를 높이기가 쉽지는 않지만 병원과 의료진, 약국 등을 통해서라도 열심히 홍보하고 적극적으로 피해 보상을 해줘야 한다"고 말했다.

 대한약사회 이정민 지역의약품안전센터 팀장도 "관련 회의 때 홍보가 부족한 만큼 많이 알려야 된다는 얘기가 자주 나온다"며 "인과관계 증명이 어렵고 피해구제 대상이 복잡한 경우에 대한 개선 방법 등을 의사, 약사, 간호사 협의체를 통해 고심 중"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식약처는 피해구제 부담금 지급 유형 중 진료비 건수가 전년 대비 증가했지만 사망 건수가 줄어든 점이 작년 지급액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며 "전체 지급 건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표] 의약품 부작용 피해구제 부담금 징수·지급 현황 (단위: 개소, 백만원)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납부자 737 723 740 747 750 766 760
징수액 48.59 51.10 54.60 46.46 50.06 54.49 47.53
지급액 13.27 17.60 19.74 21.40 22.14 22.50 18.39

 

(자료: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혁신 신약 개발 플랫폼 '프로탁'이용, 난치성 유방암 치료제 개발
국내 연구진이 혁신적인 신약 개발 플랫폼으로 주목받는 '프로탁'을 이용해 난치성 유방암 치료제를 개발했다. 한국연구재단은 최근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심만규 선임연구원과 건국대 박주호 교수 연구팀이 난치성 유방암인 삼중음성 유방암을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나노 치료제 '나노탁'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나노탁은 프로탁과 나노 의약을 합친 말이다. 프로탁은 질병을 유발하는 표적 단백질의 분해를 유도하는 저분자 화합물로, 최근 임상에서 높은 효과를 보이며 주목받고 있다. 최근 암세포나 암 관련 유전자를 직접 공격하지 않고 면역세포가 암세포를 공격하도록 돕는 면역항암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면역반응이 일어나지 않는 암종에서는 치료 효과가 제한적이라는 한계가 있다. 빛을 쪼여 암세포를 선택적으로 파괴하는 광역학 치료가 면역반응을 높일 수 있다고 알려져 있으나, 삼중음성 유방암 같은 고형암의 저산소 환경에서는 치료 효과가 떨어진다. 연구팀은 프로탁과 암 조직 내 면역반응을 극대화할 수 있는 광감각제(빛에 반응하는 약물)를 결합해 암 조직에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나노 치료제를 개발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나노탁을 삼중음성 유방암 동물 모델에 투여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