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품 부작용 피해 보상액 6년만에 감소…작년 18억원 그쳐

피해구제 부담금 징수액 47.5억원의 38.7% 불과…전년대비 18.3% 감소

 작년 의약품 부작용으로 피해를 본 국민을 구제하기 위해 지급된 보상금액이 6년 만에 처음으로 감소했다.

 27일 식품의약품안전처와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에 따르면 작년 의약품 부작용 피해구제 부담금은 760개소로부터 약 47억5천300만원 징수됐다.

 피해구제 부담금 지급액이 전년 22억5천만원에 비해 4억1천100만원(18.3%) 감소했다.

 지급액이 전년 대비 감소한 것은 2018년 이후 6년 만에 처음이다.

 지급액은 2017년 14억2천600만원에서 2018년 13억2천700만원으로 줄어든 이후로는 2023년까지 5년 연속 증가했다.

 작년 징수액 대비 지급액 비율도 38.7%로 전년(41.3%)보다 떨어졌다. 이 비율은 2021년 46.1%에서 3년 연속 하락세를 유지했다.

 작년 지급액이 큰 폭으로 줄어든 것은 상대적으로 금액이 큰 사망 보상금이 줄어든 점과 함께 의약품 부작용 피해구제에 대한 국민 인지도가 낮은 점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과거 식약처의 의약품 부작용 피해구제 제도 대국민인지도 조사에서 해당 제도를 '모른다'고 한 응답자 비율이 87.5%에 달하기도 했다. 60대 이상의 인지도는 6.5%에 불과했다.

 사업관리와 의약품 부작용 심의위원회 운영 등을 맡은 주관기관 식약처와 피해구제 신청 접수, 피해조사, 피해구제 급여 지급관리 등을 책임진 운영기관 의약품안전관리원이 대국민 홍보를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의약품안전관리원장을 역임한 박병주 의학한림원 부원장은 "2012년 사업이 시작돼 13년이 지난 만큼 사업이 활성화돼야 하는데 지급액이 늘지 않아 안타깝다"며 "한정된 예산으로 인지도를 높이기가 쉽지는 않지만 병원과 의료진, 약국 등을 통해서라도 열심히 홍보하고 적극적으로 피해 보상을 해줘야 한다"고 말했다.

 대한약사회 이정민 지역의약품안전센터 팀장도 "관련 회의 때 홍보가 부족한 만큼 많이 알려야 된다는 얘기가 자주 나온다"며 "인과관계 증명이 어렵고 피해구제 대상이 복잡한 경우에 대한 개선 방법 등을 의사, 약사, 간호사 협의체를 통해 고심 중"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식약처는 피해구제 부담금 지급 유형 중 진료비 건수가 전년 대비 증가했지만 사망 건수가 줄어든 점이 작년 지급액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며 "전체 지급 건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표] 의약품 부작용 피해구제 부담금 징수·지급 현황 (단위: 개소, 백만원)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납부자 737 723 740 747 750 766 760
징수액 48.59 51.10 54.60 46.46 50.06 54.49 47.53
지급액 13.27 17.60 19.74 21.40 22.14 22.50 18.39

 

(자료: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정책결정 과정에 의대생도 참여시켜야"…의협 세미나서 주장
이번 대선에 출마한 주요 후보들의 보건의료 공약이 구체성이 떨어지고 정부 개입 확대 등 '큰 정부'를 시사한다는 평가가 나왔다. 이런 점을 극복하려면 정부가 '지휘'(control)가 아닌 '조율·조정'(coach) 역할을 해야 하고 정책 결정 과정에 의대생도 참여시키는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의협이 주최한 세미나에서 한 의대 교수의 주장이다. 주효진 가톨릭관동대 의대 교수(한국정책학회 연구부회장)는 27일 서울 용산구 의협회관에서 열린 의협·한국정책학회 공동 기획 세미나에서 대선 후보자의 보건의료 정책 공약 분석·평가를 주제로 발표했다. 주 교수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지역·필수·공공의료를 강화하고 국민 참여 공론화위원회를 통한 의료 개혁을 공약으로 제시하며 민주성과 공공성을 강조했다.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는 "윤석열 정부의 의료 개혁을 원점 재검토하고 전문가 중심의 협의체 구성을 대표 공약으로 내세웠다"고 소개했다. 이어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는 보건부 독립과 응급의료체계 재설계 등을 공약하고 보건 행정의 전문성과 정부 조직 구조 개편을 강조했다"고 말했다. 주 교수는 "그러나 후보자들 공약에는 실현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구체적인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아주대 "생체환경 내 약물 방출시간·위치 제어기술 개발"
아주대학교는 생체 환경에서 화합물인 '비스하이드록시 트랜스 사이클로옥텐'(C2TCO)을 활용해 약물의 방출 시간과 위치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을 교내 연구팀이 개발했다고 27일 밝혔다. 이번 연구 성과는 체내에서 정해진 두 물질끼리만 결합하도록 하는 '생물직교성 클릭 화학' 기술과 연관돼 있다. 아주대 첨단바이오융합대학·대학원 분자과학기술학과 소속 김은하·김욱·유태현 교수 공동 연구팀은 해당 기술을 구현하기 위한 여러 방식 가운데 '클릭 투 릴리즈'(click-to-release)라는 기법을 더욱 단순하고 효율적인 방식으로 구현하는 데 중점을 뒀다. 이 기법을 활용하면 설계자가 원하는 반응을 통해 약물이나 형광물질 등을 원하는 시점과 장소에 떨어뜨려 방출할 수 있다. 항체에 약물을 달아 주사한 뒤 이 약물이 암 조직 주변에 도달했을 때 다른 약물을 복약하도록 하면 두 물질이 활성화되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과거 이 기법에는 '트랜스 사이클로옥텐'(TCO)을 활용했는데, 연구팀은 이 물질의 개량형인 생체적합성 링커 화합물 '비스하이드록시 트랜스 사이클로옥텐'을 간단하고 안정적인 방식으로 합성하는 데 성공했다. 아울러 이러한 합성 기술을 토대로 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