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경 전 유방암 환자, 항암치료 후 '뼈건강' 더 신경써야"

서울아산병원 유방암 910명 분석…"화학항암치료가 골손실 가속화"

 유방암으로 화학적 항암치료를 받으면 폐경기에 접어들지 않은 여성도 골밀도가 줄어들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서울아산병원 유방외과 김희정 교수팀은 유방암 수술에 이어 보조항암치료를 받은 19∼55세 폐경 전 여성 910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화학적 항암치료와 골밀도 사이에 이런 연관성이 관찰됐다고 16일 밝혔다.

 보조항암치료는 유방암 수술 후 재발 우려를 낮추기 위해 진행된다. 조기 유방암에 해당하는 '0기' 환자는 대개 치료 없이 종양 크기 변화만 관찰하지만, 이외 환자는 수술 후 종양 상태에 따라 화학적 치료나 유방암 치료약물(타목시펜) 복용, 난소억제주사제 투여 등 처치를 받는다.

 연구팀은 연구대상자를 ▲ 관찰군(58명) ▲ 약물군(130명) ▲ 화학요법군(69명) ▲ 화학요법 후 약물복용군(346명) ▲ 난소억제주사제와 약물복용 병행군(304명) 등으로 나눠 요추와 대퇴골의 골밀도 변화를 분석했다.

 그 결과 여러 보조항암치료 가운데 화학적 항암치료를 받은 환자에서 유독 1년 내 골 손실이 가장 큰 것으로 확인됐다. 골밀도 감소량은 관찰군과 약물군이 평균 0.03g/㎠이었지만, 화학적 항암치료군은 이보다 3.3배 높은 0.1g/㎠에 달했다.

 다만 화학요법 후 유방암 치료약물을 추가로 복용한 환자는 화학요법으로만 치료한 환자보다 골 손실이 상대적으로 적었다. 이는 화학요법이 뼈 건강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타목시펜 성분의 약물이 다소 완화해주기 때문으로 연구팀은 분석했다.

 김희정 교수는 "50대 이하의 젊은 유방암 환자는 암의 완치를 넘어 유방암 극복 이후 삶의 질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며 "젊은 환자라도 보조항암치료 과정에서 골밀도 감소라는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는 사실이 이번 연구로 밝혀진 만큼 힘든 항암치료를 잘 이겨냈다면 뼈건강 회복에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말했다.

 골밀도 개선을 위해서는 정기적으로 골밀도 검사를 받으면서 뼈건강에 좋은 운동과 영양섭취를 꾸준히 해야 한다고 김 교수는 조언했다.

 이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유방암 연구와 치료'(Breast Cancer Research and Treatment) 최근호에 발표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건보 피부양자, 내국인은 15% 줄었지만 외국인은 19만명대 유지
최근 5년간 건강보험 직장 가입자의 피부양자 중 내국인은 15% 가까이 감소했으나 외국인은 19만여명 수준을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각에서는 외국인 피부양자의 경우 소득·재산 심사를 하기 어려워서 '건강보험 무임승차'가 계속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하지만 실제 외국인 건강보험 재정수지는 흑자를 이어가는 중인 데다가 외국인 인력의 필요성을 고려했을 때 무임승차 등 부작용을 섣불리 판단해서는 안 된다는 목소리도 있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김미애 의원실이 최근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외국인 직장 가입자의 배우자나 자녀 등 피부양자는 2020년 말 19만5천423명에서 지난해 말 19만5천201명으로 소폭 줄긴 했으나 비슷한 규모를 유지했다. 국민건강보험법에서는 사업장 근로 여부, 체류자격, 체류 기간 등 일정한 요건을 충족하는 경우 외국인에게 건강보험 수급 자격을 주고, 배우자 등은 건강보험공단에 신청해 피부양자가 될 수 있게 한다. 반면 내국인 직장 가입자의 피부양자는 저출생·고령화의 영향으로 같은 기간 1천840만5천명에서 1천568만7천명으로 14.8% 감소했다. 직장 가입자의 피부양자는 그 자격을 얻기 위해 일정 소득·재산 요건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