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폐증 생물표지는 뇌에서 분비되는 바소프레신 호르몬 결핍"

 자폐스펙트럼장애(자폐증)의 생물표지는 뇌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인 바소프레신(vasopressin) 결핍이라는 새로운 연구 결과가 나왔다.

 바소프레신은 뇌 시상하부의 신경세포에서 만들어지는 펩타이드 호르몬으로 부모의 보살핌, 친구 사이의 유대 관계 등 여러 형태의 사회적 기능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미국 스탠퍼드대학 사회신경과학연구 프로그램(Social Neurosciences Research Program) 실장 카렌 파커 교수 연구팀은 자폐증 진단을 받은 아이는 생후 1년이 되기 전인 영아기에 뇌척수액(CSF: cerebrospinal fluid)의 바소프레신 수치가 정상아보다 현저히 낮게 나타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메디컬 익스프레스(MedicalXpress)가 28일 보도했다.

 뇌 감염 진단을 위해 913명의 영아로부터 채취해 검사에 사용하고 남아 냉동 보관되고 있는 뇌척수액 샘플을 이용, 바소프레신 수치를 측정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이 아이들 중 12세 이전에 자폐증 진단을 받은 아이(11명)는 다른 아이들에 비해 뇌척수액의 바소프레신 수치가 상당히 낮았다.

 바소프레신은 앞서 동물실험에서 포유동물의 사회적 행동을 촉진하는 것으로 밝혀진 바 있다.

연구팀은 이 아이들의 뇌척수액 샘플에서 뇌에서 분비되는 또 다른 호르몬인 옥시토신(oxytocin) 수치도 측정했다.

 그러나 옥시토신 수치는 자폐아와 정상아 사이에 차이가 없었다.

 이는 옥시토신이 자폐아의 사회성 결핍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는 일부 연구 결과들과는 배치되는 것이다.

 옥시토신은 인간과 척추동물에서 자연 분비되는 호르몬으로 사회적 교감, 부부애, 모성본능을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사랑의 호르몬'으로 불리고 있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roceedings of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최신호(4월 27일 자)에 실렸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의사 엄융의의 'K-건강법'…무엇을, 어떻게 먹을까
◇ 의학계의 화두, 장내 세균 지난 칼럼에 언급한 대로 현대인은 실질적인 영양 부족에 시달리고 있다. 따라서 영양이 풍부한 건강한 음식을 찾아 먹는 것이 중요하다. 그럼 무엇이 좋은 음식이고, 어떤 음식을 찾아 먹어야 할까? 결론은 장내세균이 좋아하는 음식을 먹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상하지 않은가. 왜 내가 아닌 장내세균이 좋아하는 음식을 먹어야 할까. 여기에 답을 하려면 우선 장내세균이 무엇이고, 장내세균이 왜 중요한가에 대해 알아야 한다. 흔히 장내세균, 즉 우리 장 속에 있는 세균이라고 하면 대장균을 떠올릴 것이다. 대장균 하면 어떤 생각이 드는가. 여름철 식중독, 설사, 구토 등을 유발하는 나쁜 세균으로 생각한다. 대장균은 흔히 위생 상태가 나쁜 곳에서 발견되는 균으로 인식된다. 하지만 이런 생각은 일부만 맞다. 어떤 음식에 대장균이 있다는 것은 본래는 동물의 대장에 있어야 할 대장균이 대변을 통해 그 음식으로 들어갔다는 말이므로 위생 상태가 좋지 않음을 뜻하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대장균은 장내세균의 극히 일부에 불과하다. 장내세균은 우리에게 엄청나게 중요한 균이다. 수십조 마리의 장내세균이 우리 몸속에서 살아가며 우리 몸의 건강과 면역기능 수행에

메디칼산업

더보기
온코닉, 위식도역류질환약 자큐보정 위궤양 적응증 승인
온코닉테라퓨틱스는 '칼륨 경쟁적 위산 분비 억제제'(P-CAB) 기전 위식도역류질환 치료 신약인 '자큐보정(성분명 자스타프라잔시트르산염)'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위궤양 치료제 적응증을 추가 승인받았다고 최근 밝혔다. 이번 승인으로 제37호 국산신약인 자큐보정은 미란성 위식도역류질환에 이어 위궤양 치료에도 단독 처방이 가능한 복수 적응증 치료제가 됐다. 자큐보정의 위궤양 임상 3상 시험은 고려대 구로병원 소화기내과 박종재 교수를 책임연구자로 해 전국 39개 주요 의료기관에서 329명의 위궤양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연구는 무작위 배정과 이중 눈가림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피험자에게 자스타프라잔 20㎎ 또는 대조약인 란소프라졸 30㎎을 1일 1회, 4주 또는 8주간 투여해 유효성과 안전성을 비교 분석했다. 임상 결과, 8주차 내시경 평가 기준 누적 치유율은 자스타프라잔군이 100%를 기록하며 자스타프라잔의 비열등성이 입증됐다. 또한 치료 4주차 시점에서 측정된 삶의 질(QoL) 평가에서 자스타프라잔 투여군은 '불안 및 우울'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개선 효과를 보여 전반적인 치료 경험 개선에도 기여할 가능성을 입증했다. 의약품 시장조사기관 유비스트(UB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