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대 무릎관절염 환자, 수면시간 적절치 않으면 통증 1.4배↑"

"수면시간 너무 짧거나 과도하게 길 경우 통증 유병률 높아져"

 50대 이상 무릎관절염 환자 중 수면시간이 6시간 이하로 아주 짧거나 9시간 이상으로 너무 긴 경우 무릎 통증이 더 심해질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자생한방병원 척추관절연구소 조용규 한의사 연구팀은 국민건강영양조사(2010∼2012년) 자료를 바탕으로 50세 이상 9천270명의 수면시간과 무릎 관절염 통증의 상관관계를 분석, 이런 사실을 확인했다고 27일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플로스 원'(Plos One) 최신호에 게재됐다.

 연구팀은 연구 대상자를 수면시간에 따라 ▲ 짧은 수면(6시간 이하) ▲ 적정 수면(7∼8시간) ▲ 과다수면(9시간 이상)으로 나눠 살펴봤다. 관절염 여부는 방사선학적인 진단과 통증을 바탕으로 임상학적 증상과 진단으로 판단했다.

 그 결과 수면시간이 6시간 이하 그룹의 관절염 진단율이 24.1%로 가장 높았다. 9시간 이상 과다 수면 그룹의 관절염 진단율은 21.8%, 7∼8시간 적정 수면 그룹은 17.6%였다.

 무릎 관절염 통증의 유병률은 적절치 않은 수면시간을 가진 환자에게서 높았다.

 무릎 관절염 환자 중에서 수면시간이 6시간 이하인 경우는 적정 시간을 자는 환자보다 통증이 발생할 위험이 1.32배 높았다. 9시간 이상 수면하는 그룹은 적정시간 수면 그룹에 비해 통증 위험이 1.41배에 달했다.

 조 한의사는 "방사선학적 관절염 통증과 임상학적 관절염이 수면시간과 연관돼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50세 이상 관절염 환자의 경우 적절하고 규칙적인 수면시간을 지키는 등 일상에서의 예방과 관리를 치료와 병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심장 내 승모판 역류증, 성별 따라 수술 시점 달라져야"
퇴행성 승모판 역류증은 노화로 인해 심장의 좌심방에서 좌심실로 가는 입구에 위치한 승모판이 완전히 닫히지 않아 혈액이 좌심방으로 역류하는 심장 판막 질환이다. 역류 현상이 지속되면 심장에 과부하가 걸리면서 심부전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치료가 필요한데, 특히 여성이 남성보다 질환 발생 초기부터 사망 위험이 더 높아 성별에 따라 수술 시점을 달리 해야 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서울아산병원 심장내과 김대희 교수, 서울대병원 순환기내과 곽순구·이승표 교수 연구팀은 2006∼2020년 중증 퇴행성 승모판 역류증으로 수술받은 환자 1천686명을 8년간 추적 관찰해 이런 사실을 확인했다고 최근 밝혔다. 현재 중증 퇴행성 승모판 역류증의 표준 치료는 판막 성형술이나 인공 판막치환술과 같은 수술이다. 수술은 좌심실에 들어온 혈액이 대동맥으로 빠져나간 비율을 뜻하는 '좌심실 박출률'을 토대로 좌심실 기능 저하 여부를 판단해 결정한다. 환자에게 뚜렷한 증상이 없더라도 좌심실 박출률이 60% 이하이면 수술을 고려하도록 권고된다. 연구팀이 성별에 따른 좌심실 기능과 사망률 간의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남성은 좌심실 박출률이 55% 이하로 떨어졌을 때만 사망률이 유의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