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학연 "한약재 인삼·현초·건칠의 항암 효과 확인"

"세포실험 통해 면역관문 억제제 활용 가능성 제시"

 한약재 인삼, 현초(이질풀), 건칠(옻나무 수액 말린 것)이 암세포 때문에 떨어진 면역 기능이 회복되도록 돕는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한국한의학연구원은 정환석 박사 연구팀이 인삼, 현초, 건칠이 암세포가 면역반응을 피하기 위해 활용하는 '면역관문'을 차단한다는 사실을 규명했다고 4일 밝혔다.

 면역관문은 면역세포가 자신의 건강한 세포를 공격하지 못하도록 활성을 떨어뜨리는 기전이다. 암세포는 이러한 기전을 역이용해 면역관문 단백질을 자극, 인체의 면역기능을 억제하며 성장하는 특성이 있다.

 최근 이 같은 암세포의 면역반응 회피 신호를 차단해 면역세포가 암세포를 공격할 수 있도록 돕는 면역관문 억제제(면역항암제)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지만, 효과가 제한적이고 비용이 많이 든다는 문제가 있다.

 이 때문에 면역 과민 반응이 적으면서도 저렴하고 효능이 우수한 신소재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연구팀은 1천여 종의 한의소재를 세포실험을 통해 탐색한 결과 인삼, 건칠, 현초가 면역관문을 자극하는 단백질의 결합을 억제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단백질 간 결합을 발광을 통해 측정하는 방법인 '경쟁적 효소결합면역측정법'을 이용해 실험한 결과, 인삼 내 사포닌 대사체의 일종인 'Rg3'와 '컴파운드 케이'(C-K)가 면역관문 단백질 'PD-1'의 분자 결합을 최대 67%까지 억제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현초 역시 PD-1의 분자 결합을 60%까지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건칠은 면역관문 단백질 'CTLA-4'를 차단하는 효과를 보였다.

 정환석 박사는 "이들 한약재의 암세포 사멸 효과가 아닌 면역세포 강화 효과를 확인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차세대 면역항암제 개발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깜깜이' 병원평가…"'데이터 통합'으로 기준 바로 세워야"
A병원의 '의사 1인당 병상수'는 1.5명, B병원은 2.0명. 언뜻 B병원의 인력이 더 우수해 보이지만, 이는 착시일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의료기관 평가 지표는 이름만 같을 뿐, 20개에 달하는 평가 제도마다 계산 방식이 제각각이기 때문이다. 이처럼 기준이 통일되지 않은 평가는 결국 국민이 내는 건강보험 재정이 진정으로 의료의 질이 높은 병원에 보상으로 가지 못하게 하는 '깜깜이 평가'라는 지적이 나왔다. 보건복지부 의뢰로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이 최근 수행한 '건강보험 성과보상 근거 마련을 위한 의료기관 평가체계 개편 기반 연구'보고서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파편화된 현재의 평가 방식을 버리고 '표준화된 원자료(raw data)'를 기반으로 한 통합 평가체계 구축을 시급한 과제로 제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국내 의료기관은 상급종합병원 지정, 의료 질 평가, 적정성 평가 등 20개의 각기 다른 평가를 받고 있으며, 여기에 사용되는 지표만 1천개가 넘는다. 이로 인해 병원들은 유사한 자료를 평가 기관마다 다른 양식으로 반복 제출해야 하는 행정 낭비에 시달리고 있다. 하지만 더 큰 문제는 평가 결과의 신뢰성이다. 보고서는 평가지표 이름이 동일하거나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