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 이식 기증자 간 절제, 개복보다 복강경 만족도 높다"

서울대병원 생체 간 이식 기증자 149명 만족도 조사 결과

 

 복강경을 이용한 간 이식 수술이 배를 가르는 개복 수술보다 만족도가 높다

는 사실이 객관적으로 입증됐다.

 복강경을 이용한 간 절제술은 수술 후 회복과 흉터 등을 고려한 수술법이다. 5곳에 복강경을 넣기 위한 구멍을 뚫어 간을 절제한 뒤 하의로 가려지는 부위를 절개해 적출한다. 수술 후 기증자의 만족도가 높지만 고도의 기술이 요구되기 때문에 여전히 많은 병원이 복부 절개를 시행하고 있다.

 서울대병원 간담췌외과 간이식 팀(서경석·이광웅·이남준·최영록·홍석균·이정무)은 2011∼2017년 생체간이식 기증자 149명의 만족도를 조사해 13일 발표했다.

 연구팀은 기증자의 간을 절개할 때 개복 수술 60명, 상복부 절개술 39명, 복강경 수술 50명으로 나눠 조사했다.

 그 결과 복강경 수술이 개복 수술보다 출혈량과 감염이 적었을 뿐만 아니라 미용 측면에서 기증자의 만족도가 높았다. 그룹별 입원 기간과 재수술, 조기 주요 합병증 여부는 차이가 없었다.

 기존의 복강경 수술 연구는 대부분 개복 수술과 비교해 안전한지에 초점을 맞췄다. 그러나 이번 연구는 복강경이 개복 수술보다 기증자의 만족도가 높다는 사실을 증명한 데 의미가 있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이광웅 교수는 "수술 후 회복 기간이 줄고 상처가 적어 환자 만족도가 상승했다"며 "수술 시간도 점점 줄고 있어 앞으로 복강경 이용이 표준 수술법으로 자리 잡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미국복강경학회지'(Surgical endoscopy) 최근호에 게재됐다.

 서울대병원은 2015년부터 간 기증자에 대해 복강경으로 간 절제술을 시행해 지난해 세계 최초로 300사례를 넘겼다. 현재 생체 간 기증자 85% 이상을 복강경으로 수술하고 있다. 시행 초기 수술 시간은 6시간 이상이었으나 최근에는 평균 4시간으로 개복수술과 비슷하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혁신 신약 개발 플랫폼 '프로탁'이용, 난치성 유방암 치료제 개발
국내 연구진이 혁신적인 신약 개발 플랫폼으로 주목받는 '프로탁'을 이용해 난치성 유방암 치료제를 개발했다. 한국연구재단은 최근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심만규 선임연구원과 건국대 박주호 교수 연구팀이 난치성 유방암인 삼중음성 유방암을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나노 치료제 '나노탁'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나노탁은 프로탁과 나노 의약을 합친 말이다. 프로탁은 질병을 유발하는 표적 단백질의 분해를 유도하는 저분자 화합물로, 최근 임상에서 높은 효과를 보이며 주목받고 있다. 최근 암세포나 암 관련 유전자를 직접 공격하지 않고 면역세포가 암세포를 공격하도록 돕는 면역항암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면역반응이 일어나지 않는 암종에서는 치료 효과가 제한적이라는 한계가 있다. 빛을 쪼여 암세포를 선택적으로 파괴하는 광역학 치료가 면역반응을 높일 수 있다고 알려져 있으나, 삼중음성 유방암 같은 고형암의 저산소 환경에서는 치료 효과가 떨어진다. 연구팀은 프로탁과 암 조직 내 면역반응을 극대화할 수 있는 광감각제(빛에 반응하는 약물)를 결합해 암 조직에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나노 치료제를 개발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나노탁을 삼중음성 유방암 동물 모델에 투여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