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감 백신 접종, 코라나 감염 위험 커지지 않아

지난해 백신 접종 4천138명, 미접종 9천82명과 비교 분석
미 클리블랜드 클리닉 연구진, '임상·중개 과학 저널'에 논문

 원래 계절 독감(인플루엔자)은 변이 유형을 예측하기가 매우 어렵다.

 해마다 백신이 나와도 중증 호흡기 감염으로 병원 치료를 받는 독감 환자가 많은 이유가 여기에 있다.

 특히 올가을과 겨울의 독감 백신 접종엔 예년보다 훨씬 많은 관심이 쏠려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과 독감의 동반 유행(twindemic) 가능성이 엄존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코로나19와 관련해 독감 백신의 안전성을 어느 정도 뒷받침하는 미국 과학자들의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인플루엔자(독감) 백신을 맞아도 신종 코로나 감염 위험이 커지지 않고, 감염증(코로나19)의 병세가 나빠지거나 사망률이 높아질 위험도 없다는 것이다.

 미국 오하이오주 소재 학술 의료센터인 '클리블랜드 클리닉(Cleveland Clinic)' 연구진은 21일(현지시간) '동료 검토' 공개 학술지 '임상·중개 과학 저널(Journal of Clinical and Translational Science)'에 관련 논문을 발표했다.

기도(氣道) 세포의 수용체와 결합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호흡기 질환 전문가인 조 제인 박사 연구팀은 지난 3월 초부터 4월 중순까지 이 센터에서 코로나19 검사를 받은 양성 또는 음성 판정 피검자 1만3천여 명을 분석했다.

 이 가운데 4천138명은 지난해 가을·겨울 시즌에 독감 백신을 맞았고, 나머지 9천82명은 맞지 않았다.

 분석 결과, 독감 백신을 맞은 피험자 군에서 코로나19 발병이나 중증 사례가 늘어났다는 연관성은 발견되지 않았다.

 제인 박사는 "올해 인플루엔자 시즌이 (병원 및 의료 자원 측면에서) 코로나19 감염과 감염 취약성 등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알 수 없다"라면서 "그래도 글로벌 인플루엔자 백신 전략을 예년처럼 유지해야 한다는 걸 보여줬다"라고 말했다.

 1921년 설립된 클리블랜드 클리닉은 새롭게 유행하는 질병에 대한 데이터 레지스트리(등록소)와 바이오뱅크를 초창기에 개설한 기관 중 하나다.

 이 센터에 축적된 데이터는 이미 신종 코로나 양성 판정 예측 모델 등 주요 코로나19 연구에 활용 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AI 활용해 모기 발생 실시간 분석한다…스마트 감시체계 구축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확대된 모기 등 매개체 전파 감염병 위협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방역당국이 중장기 대책을 마련했다. 질병관리청은 지난 11일 충북 청주시 오송청사에서 제2회 건강 브리핑을 열고 '감염병 매개체 감시·방제 중장기 계획'(2025∼2029)을 발표했다. 감염병 매개체란 바이러스나 세균, 기생충 등 감염병 병원체를 보유하거나 획득해 사람이나 동물과 같은 숙주에게 전파하는 생물학적 운반체다. 모기, 참진드기, 털진드기가 대표적이다. 최근 기온 상승과 강수량 변화, 겨울철 온난화 등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감염병 매개체의 서식지와 활동기간이 늘어나면서, 일본뇌염, 말라리아, 쓰쓰가무시증,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등 매개체 전파 감염병 위험이 증가하고 있다. 실제로 2015∼2024년 평균 기온이 약 1.4도 오르면서 일본뇌염 주의보 발령 시기가 16일가량 빨라졌다. 모기와 진드기의 활동기간은 봄부터 늦가을까지 확장됐다. 이에 질병청은 ▲ 국가 매개체 감시 체계 고도화 ▲ 기후변화 대응 매개체 감시 강화 ▲ 매개체 감시·방제 인프라 확충 ▲ 감시와 방제 연계 강화 등 4가지 전략을 통해 감염병 매개체에 대한 감시·방제 체계를 구축하겠다고

학회.학술.건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