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텔로미어 짧으면 뇌질환 위험↑…예방책은 건강한 생활습관"

美 연구팀 "생물학적 노화 징후 있어도 건강 생활습관이 뇌질환 위험 낮춰"

노화 생체지표인 텔로미어(telomere)가 짧아지면 뇌졸중·치매·노년기 우울증 같은 노화 관련 뇌질환 위험이 커지지만, 건강한 생활습관을 유지하면 이 위험을 낮출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하버드 의대 크리스토퍼 앤더슨 교수팀은 12일 미국신경학회(AAN) 저널 신경학(Neurology)에서 영국인 35만여명의 건강 데이터를 분석, 백혈구 텔로미어 길이(LTL) 및 생활습관, 뇌질환 위험 사이에서 이런 연관성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앤더슨 교수는 "이 결과는 이미 생물학적 노화 징후를 보이는 사람도 건강 체중 유지, 음주 제한, 충분한 수면과 운동 등 건강한 생활습관을 통해 뇌질환 위험을 줄일 수 있음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나이가 들면 뇌졸중, 치매, 노년기 우울증 같은 뇌질환 위험이 증가한다. 또 세포 내 염색체 끝에서 보호 캡 역할을 하는 텔로미어는 나이가 들거나 스트레스, 오염 등 부정적 환경에 노출되면 점차 짧아지고 DNA 손상 위험이 커진다.

연구팀은 이 연구에서 노화 관련 뇌질환과 백혈구 텔로미어 길이 사이의 연관성을 밝히기 위해 영국 바이오뱅크(UK Biobank) 참가자 35만6천173명(평균 연령 56세)의 데이터를 분석했다.

이들을 백혈구 텔로미어 길이에 따라 짧은 그룹, 중간 그룹, 긴 그룹으로 나누고, 혈압, 혈당 수치, 콜레스테롤, 생활습관 등 뇌 질환 위험 요인을 평가하는 맥캔스 뇌 건강 점수(BCS)에 따라 뇌 건강이 좋은 그룹과 나쁜 그룹으로 나눈 다음, 7년간 3개 뇌 질환의 발생을 추적 관찰했다.

추적 관찰 기간에 3개 뇌질환 중 하나라도 발병한 사람은 2만5천964명이었다.

발병률은 텔로미어 길이가 짧은 그룹의 경우 1천 인년당(1인년은 한 사람을 1년간 관찰한 값) 5.82건이었고, 텔로미어가 긴 그룹은 1천 인년당 3.92건이었다.

연구팀은 짧은 텔로미어와 노년기 뇌질환 사이에 명확한 연관성이 발견됐다며 나이, 고혈압, 흡연 같은 위험 요인을 고려했을 때 텔로미어가 짧은 그룹은 긴 그룹보다 세 가지 뇌질환 중 하나 이상 발병할 위험이 11% 높았다고 설명했다.

치매 위험은 텔로미어가 짧은 그룹이 긴 그룹보다 19% 높았고, 노년기 우울증과 뇌졸중 위험은 각각 14%와 8% 높았다.

하지만 생활습관 요인 등이 포함된 뇌 건강 점수(BCS)를 반영하면 위험도가 크게 달라졌다. 텔로미어가 짧은 그룹 내에서 BCS가 높은 사람은 뇌졸중과 치매, 우울증 위험이 크게 증가하지 않았다.

연구팀은 건강한 식습관을 유지하고 콜레스테롤과 혈압을 낮게 유지하는 등 건강한 생활습관을 지닌 사람들에게서는 짧은 텔로미어 길이가 3개 뇌 질환 위험으로 이어지는 관계가 발견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논문 제1 저자인 타마라 킴벌 박사는 "이 결과는 과체중, 음주 같은 위험 요인을 줄이고 충분한 수면과 운동을 하는 것이 이미 생물학적 노화 징후를 보이는 사람들에게도 뇌질환 위험을 되돌리는 데 도움이 된다는 것을 보여준다"며 "뇌 건강 돌보기를 시작하기에 너무 늦은 때는 없다"고 말했다.

 

장익상 선임기자(iksang.jang@gmail.com)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뇌처럼 조절하는 '뉴로모픽' 칩으로 실시간 뇌 연결 해석한다
국내 연구팀이 뇌처럼 신호를 조절하는 뉴로모픽(사람의 뇌 구조를 닮은 소자) 시스템을 개발해 기존보다 2만 배 빠른 뇌 연결 분석에 성공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반도체기술연구단 박종길 선임연구원 연구팀이 뇌가 신경세포 간 신호 발생 순서에 따라 연결 강도를 조절하는 원리를 공학적으로 구현해 신경세포 활동 저장 없이 실시간으로 신경망 연결 관계를 학습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일 밝혔다. 뇌 신경망 연결 분석기술은 뇌와 컴퓨터를 연결하는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기술의 핵심이다. 기존 기술은 신경세포 활동 데이터를 오랫동안 저장한 후 통계적 방법으로 신경세포 간 연결 관계를 계산해 왔지만, 신경망 규모가 커질수록 막대한 연산량이 필요해 뇌처럼 수많은 신호가 동시 발생하는 환경에서는 실시간 분석이 불가능했다. 연구팀은 뇌의 학습 원리인 '스파이크 시각 차이 기반 학습'(STDP)을 하드웨어로 구현해 메모리를 줄일 수 있는 새 학습 구조를 고안했다. 이를 통해 각 뉴런에 연결된 이전 뉴런들의 주소 정보를 저장하며 대규모 메모리를 잡아먹는 '역연결 테이블'을 제거해 뉴로모픽 하드웨어에서도 STDP를 구현할 수 있게 됐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이렇게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