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돼지 설사 코로나바이러스,잠재적 인간 감염 위험"

미 노스캐롤라이나대 연구진, 미 국립과학원회보에 논문

 새끼 돼지에 감염하면 치사율이 90%에 달하는 '돼지 급성 설사 증후군 코로나바이러스(SADS-CoV)'가 잠재적으로 인간에게 감염할 위험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인간의 기도와 장에서 떼어낸 첫 세대 세포(primary cell)에 실험한 결과, 이 바이러스 입자가 효율적으로 복제됐다는 것이다.

 미국 노스캐롤라이나대 채플 힐 캠퍼스 의대의 랠프 바릭 전염병학 교수 연구팀은 최근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에 관련 논문을 발표했다.

 미국 과학진흥협회(AAAS) 사이트(www.eurekalert.org)에 올라온 논문 개요 등에 따르면 박쥐에서 유래한 SADS-CoV는 2016년 중국에서 처음 발견됐다.

 베타(betacoronavirus) 계열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는 감염증(코로나19) 환자에게 주로 호흡기 질환을, 알파(alphacoronavirus) 계열인 SADS-CoV는 돼지에게 위장 질환을 일으킨다.

 SADS-CoV는 같은 알파 계열인 인간 감기 바이러스 2종(HCoV-229E, HCoV-NL63)과도 확연히 구분된다.

 연구팀은 여러 유형의 포유류 세포를 합성 SADS-CoV에 감염시킨 뒤 바이러스 입자가 얼마나 늘어나는지 관찰했다.

 이 실험에서 넓은 범위의 포유류 세포가 이 바이러스 감염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엔 인간의 폐와 장 세포도 들어 있었다.

 SADS-CoV 입자는 폐 세포를 주로 공격하는 신종 코로나와 달리 인간의 장 세포에서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또한 인간은 SADS-CoV에 대해 '교차 방어(Cross-protective) 집단면역'을 갖고 있지 않다는 것도 확인됐다.

 동물에게서 발견되는 다수의 코로나바이러스가 인간한테 감염하지 못하는 건 교차 방어 집단면역이 작용하기 때문이다.

 논문의 제1 저자인 케이틀린 에드워즈 연구원은 "SADS-CoV나 박쥐 코로나바이러스(HKU2)가 인간에게 감염할지를 확실히 예측하는 건 불가능하다"라면서 "하지만 실험 결과는 SADS-CoV가 잠재적으로 인간과 많은 동물에 감염할 위험이 있다는 걸 보여준다"라고 말했다.

 지금까지 SADS-CoV는 인간에게 감염하지 못하는 것으로 여겨졌다.

 하지만 코로나19가 세계적으로 유행하면서 동물에게서 발견되는 다수의 코로나바이러스가 인간에게 옮겨지는 이른바 '파급효과'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월급 2천만원대도 의사 못 구해" 의료취약지 응급실 문 닫을 판
인구 3만여명이 사는 충북 보은지역의 유일 응급의료기관인 보은한양병원이 전담의사를 구하지 못해 응급실 문을 닫아야 할 처지에 놓였다. 사직 전공의의 수련병원 복귀 등으로 시골병원 인력난이 극심해지고 있어서다. 이 병원에 따르면 지난 달까지 4명의 전담의사로 응급실을 운영했지만, 이 중 3명이 최근 수련병원에 복귀하거나 근무조건이 더 좋은 곳으로 이직했다. 24시간 응급실을 정상적으로 운영하려면 적어도 4명의 의사가 있어야 한다. 병원 측은 내년 초 입대 예정인 전공의 1명과 다른 병원 의사 3명을 시간제로 고용해 가까스로 응급실을 가동하는 상황이다. 병원 관계자는 "여러 차례 모집 공고를 냈지만 연락오는 의사가 한 명도 없다"며 "어렵사리 응급실 문을 열고 있지만 언제까지 버틸지 기약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응급실 전담의사 모시는 게 '하늘의 별따기'가 되면서 몸값도 치솟아 경영에 큰 부담이 된다"며 "세후 월급이 1천500만원에서 2천만원대로 올라서는 데 채 1년도 걸리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의료취약지 응급실 인력난이 어제오늘의 일은 아니지만, 의정 갈등을 겪으면서 더욱 심화했다는 게 의료계 분석이다. 사직 전공의가 한꺼번에

학회.학술.건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