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잠 설치면 두려운 기억 잘 못 잊는다"

꼬박 새우는 것보다 밤잠 절반 줄이는 게 더 나빠
미 피츠버그대 연구진 "렘수면 놓치기 때문"

 충분한 수면은 기억을 강화하는 데 필수적이다. 수면 박탈은 오래전부터 학습과 기억을 방해하는 것으로 여겨졌다.

 그런데 밤잠을 절반으로 줄이면 두려움과 관련된 기억을 잊는 뇌의 능력이 저하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두려운 기억의 망각에 관한 한 이런 수면 제한이, 잠을 하나도 못 자는 수면 박탈보다 더 나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기억이 잘 잊히지 않으면 불안증이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같은 신경정신질환을 유발할 위험이 커진다.

 미국 피츠버그대의 앤 저메인 심리학 교수와 하버드 의대의 에드워드 파체-쇼트 정신의학 조교수가 함께 수행한 이 연구 내용은 최근 미국 '생물학적 정신의학 학회' 저널(Biological Psychiatry: Cognitive Neuroscience and Neuroimaging)에 논문으로 실렸다.

 미국 과학진흥협회(AAAS) 사이트(www.eurekalert.org)에 올라온 논문 개요에 따르면 연구팀은 건강한 성인 지원자 150명을 대상으로 수면 실험을 했다.

 50명씩 세 그룹으로 나눠 한 그룹은 정상적으로 밤잠을 자게 하고, 다른 두 그룹은 각각 밤의 앞부분 절반만 자게 하거나 전혀 못 자게 했다.

 수면 도중 두려움과 관련된 기억을 얼마나 잘 잊는지 보기 위해, 세 가지 색깔을 보여주면서 두 가지 색깔에 전기 충격을 함께 가하는 실험 조건도 부여했다.

 전기 충격이 없는 색깔로 넘어가면서 두려움이 사라질 때 나타나는 뇌 활성 패턴을 관찰하기 위해서다.

 실험 내내 촬영한 기능 자기공명영상(FMRI)을 분석한 결과, 정상적으로 밤잠을 잔 그룹은 감정 제어에 관여하는 전전두엽 피질 등의 영역이 많이 활성화됐다.

 하지만 절반만 잔 '수면 제한' 그룹은 전혀 다른 패턴을 보였다. 두려움과 관련된 뇌 영역이 가장 많이 활성화하고, 감정 제어 영역이 가장 적게 활성화된 것이다.

 놀랍게도 전혀 잠을 못 잔 '수면 박탈' 그룹은, 두려움을 느끼거나 두려움이 사라지는 조건이 부여됐을 때 뇌의 관련 영역이 활성화하지 않았다.

 이 그룹은 12시간이 지나 두려움이 사라진 게 되살아날 때야 정상 수면 그룹과 비슷한 뇌 활성 패턴을 보였다.

 이는 밤잠을 충분히 자지 못하면, 전혀 못 잔 것보다 두려운 기억의 망각에 더 나쁠 수 있다는 걸 시사한다.

 연구팀은 정상 수면의 절반 정도만 밤잠을 자면 안구 운동이 빨라지는 REM 수면을 놓치기 때문일 거로 추정했다.

 기억 강화에 관여하는 REM 수면 단계는 대개 정상 수면기의 종반에 나타난다.

 파체-쇼트 교수는 "의료계 종사자가 군인은 온밤을 꼬박 새우기보다 수면 시간이 짧아지거나 수면을 방해받는 경우가 많다"라면서 "이런 수면 제한이 잦은 사람은 PTSD 같은 두려움 관련 장애에 특히 취약할 수 있다"라고 지적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추석 연휴 해외여행 급증…지역별 감염병 '맞춤 예방' 필수
추석 황금연휴를 맞아 해외로 떠나는 이들이 늘면서 출국 전 올바른 감염병 예방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지난달 부산의 한 병원에서 서아프리카 지역을 여행 다녀온 남성이 고열과 기력 저하 증세로 병원을 찾았다. 검사 결과, 그는 열대열 말라리아에 걸린 것으로 확인됐다. 이 남성은 출국 전 예방약을 복용했지만, 내성이 있는 말라리아균에 감염돼 상태가 급속도로 악화했고 결국 숨졌다. 추석 연휴를 맞아 해외여행객이 증가하는 시기에는 여행지별 유행 질병과 그에 맞는 맞춤형 예방 조치가 중요하다. 국가나 지역마다 감염될 수 있는 질병이 모두 다르며 수돗물, 벌레, 야생 동물과의 접촉 등 예상치 못한 상황에서 감염될 수 있다. 특히 한국인들이 많이 찾는 동남아시아에서는 A·B형 간염, 장티푸스뿐 아니라 모기 매개 감염병인 말라리아, 뎅기열, 지카 바이러스 등이 활발히 퍼지고 있다. 이정규 부산대병원 가정의학과 교수는 "최근 베트남과 몽골에서는 홍역이 유행 중인데, 우리나라 성인 중에는 항체가 없는 경우도 적지 않다"며 "동남아시아에서 소아 치사율 1위인 뎅기열 역시 우리나라에는 없던 병인데 베트남이나 캄보디아에서 걸리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해외 감염병은 현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