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사와 환자 간 상호작용이 침 치료 효과 높인다

 

 한의사가 침 치료를 하는 과정에서 환자와의 활발한 상호작용이 치료 효과를 높이는 데 도움을 준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한국한의학연구원은 미국 하버드의대와 공동 임상 시험으로 근육통 환자에게서 치료자 간 상호작용이 침 치료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규명했다고 밝혔다.

 임상 시험에는 1년 이상 섬유근육통을 앓아온 환자 23명과 침 치료자 22명이 참여했다.

 연구팀은 환자에 통증을 유발한 뒤 통증 개선과 관련이 있는 혈 자리인 양구혈과 혈해혈에 전침 자극을 가했다.

 이어 환자와 치료자에게 각각 자기공명영상장치(MRI)를 설치한 뒤 뇌 상태 변화를 동시에 측정했다.

 실험 결과 침 치료로 환자의 통증은 개선됐으며, 치료자가 얼굴 표정을 밝게 하거나 마주 보는 횟수를 높이는 등 피드백을 활발하게 할수록 환자가 느끼는 통증은 더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환자와 치료자의 뇌 활성화 모습

 연구팀은 TPJ와 함께 통증과 관련이 있는 뇌 부위인 전전두피질이 활성화되면서 진통 효과를 중재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정창진 선임연구원은 "앞으로 종단적 연구 방법을 통해 환자와 치료자의 상호작용과 치료 효과 와의 관계를 추적하는 연구를 추가로 진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오랜만에 만난 부모님 '이 증상' 보인다면…"서둘러 병원 방문"
명절에 오랜만에 만난 부모님이 평소와 다르게 이상 증세를 보인다면 가벼운 것이라도 놓치지 말고 병원에 방문해 보는 것이 좋다. 갑자기 표정이 어색해지거나 말이 어눌해지는 경우, 기침이나 다리 부종 같은 흔한 증상도 심각한 질환의 신호가 될 수 있다. 골든타임이 특히 중요한 질환으로는 뇌혈관질환이 있다. 서울아산병원에 따르면 뇌졸중은 뇌의 일부분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이 막히거나 터져서 뇌 조직이 손상되는 질환이다. 혈관이 막혀 뇌가 손상되면 뇌경색이고 결국 혈관이 터지면 뇌출혈이다. 둘을 합쳐서 뇌졸중이라고 한다. 뇌졸중은 55세 이후로 발병률이 높아지는데, 연령이 10세 증가할 때마다 뇌졸중 발생률은 약 2배씩 늘어난다. 고령자일수록 더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이유다. 또한 급성 뇌경색의 경우 발병 직후 최대 3시간 안에 막힌 혈관을 뚫어 줘야 뇌 손상률을 낮출 수 있다. 따라서 고령자의 뇌졸중 증상을 미리 식별해 조기에 치료를 받게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서울아산병원 신경과 김범준 교수는 "대한뇌졸중학회에서는 국민들이 뇌졸중 의심 증상을 조기에 감별할 수 있도록 '이웃손발시선'이라는 식별법을 개발해 홍보하고 있다"며 이를 소개했다. 이웃손발시선 식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