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양 공격 세포에 열(熱) 가열로 '치료 큰 효과'..."항암치료 혁명"

약점이던 고형암 무반응, 광열 '원격 제어'로 보강
미국 조지아 공대, '네이처 바이오메디컬 엔지니어링' 논문

 CAR-T세포를 이용하는 항암 면역치료법은 처음 등장했을 때 종양학(oncology)의 지형을 바꿀 만큼 혁명적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그런데 이 치료법은 근본적인 한계를 안고 있다.

  백혈병 같은 혈액암엔 효과가 있지만, 육종(sarcoma)이나 상피암(carcinoma) 같은 고형암엔 잘 듣지 않는 것이다.

 주요 원인으로 CAR-T세포에 대한 종양 미세환경의 면역 억제 등이 꼽힌다.

 미국 조지아 공대(약칭 Georgia Tech) 과학자들이 CAR-T세포의 약점을 보완하고 고형암에 대한 공격력도 대폭 증강한 '업그레이드' 치료법을 개발했다

 T세포에 유전자 분자 스위치를 달아 원하는 종양 부위를 공격하게 유도하는 원격 '광열 제어(photothermal control)' 기술이 동원됐다.

 조지아 공대의 게이브 광(Gabe Kwong) 생물의학 공학과 부교수 연구팀은 관련 논문을 저널 '네이처 바이오메디컬 엔지니어링(Nature Biomedical Engineering)'에 지난 12일(현지 시각) 발표했다.

  CAR-T세포는 CAR(chimeric antigen receptor), 즉 키메라 항원 수용체가 발현하는 T세포를 말한다.

 환자 본인에게서 분리한 T세포에 새로운 유전자를 삽입, 암 종양의 특정 부위를 찾아내 파괴하도록 재설계한 게 바로 CAR-T세포다.

 이렇게 '맞춤형'으로 강화된 T세포를 환자에게 다시 투입하는 CAR-T세포 치료는 현재 전세계에서 500여 건의 임상 시험이 진행되고 있을 만큼 주목을 받는다.

광 교수팀이 개발한 원격 제어 시스템은, 종양 내 특정 부위에 집적된 열(熱)로 T세포를 활성화해 종양 미세환경의 면역 억제를 극복한다.

 암에 걸린 생쥐를 향해 레이저를 조사(照射)하면 종양 내에 미리 넣어 놓은 금 소재 나노막대(nanorod)가 빛을 모아 해당 부위의 온도를 섭씨 40~42도로 올렸다.

 이어 열의 자극을 받은 T세포는 '온 스위치(on-switch' 상태로 변해 암 공격에 관여하는 단백질의 발현도를 높였다.

 치료 효과는 확실했다.

 생쥐의 종양은 눈에 띄게 작아졌고, 다시 자라지도 않았다. 이는 장기 생존에 중요한 요건이다.

연구팀이 진짜 중요한 성과로 보는 건, 당장 임상 시험에 쓸 수 있는 수준의 유전자 조작 CAR-T세포를 만들어낸 부분이다.

 광 교수는 "이들 항암 단백질은 CAR-T세포를 자극하는 데 능한데 전신 전달용으론 독성이 너무 강했다"라면서 "하지만 우리가 개발한 방법을 쓰면 원하는 부위에만 안전히 집중되게 할 수 있다"라고 말했다.

 연구팀의 다음 목표는 T세포의 맞춤 방식을 다양화하고, 종양 내 열 집적 방법을 개선하는 것이다.

 인간에겐 레이저 대신 '집중 초음파(focused ultrasound)'를 쓰는 걸 검토 중이다.

 광 교수는 "완벽하게 비침습적(non-invasive)이고 몸 안 어떤 부위든 쓸 수 있는 게 집중 초음파"라면서 "레이저는 여러 가지 한계를 안고 있는데 그중 하나는 인체의 깊숙한 부위에 도달하지 못한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삼성서울병원 선정
최중증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를 진료할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과 삼성서울병원이 선정됐다고 보건복지부가 1일 밝혔다. 이번에 새롭게 도입되는 중증 모자의료센터는 최종 전원기관으로서 모자의료 전달체계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간 정부는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 진료를 위해 신생아 집중치료 지역센터와 고위험 산모·신생아 통합치료센터를 지정해 운영해왔는데, 센터간 역량 차이와 지역별 인프라 연계 부족 등으로 중증 환자 진료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있었다. 이에 정부는 중증도에 따라 진료가 이뤄지도록 중증 모자의료센터와 권역 모자의료센터, 지역 모자의료센터 등으로 모자의료 전달체계를 개편했다. 이번에 선정된 2곳은 산과, 신생아과뿐 아니라 소아청소년과 세부 분과 및 소아 협진진료과 진료역량도 갖춰 고위험 산모·신생아와 다학제적 치료가 필요한 중환자에게 전국 최고 수준의 치료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복지부는 설명했다. 이들 의료기관은 24시간 진료체계 유지와 예비병상 운영 등을 통해 다른 병원들에서 응급환자 치료가 어려운 경우 최대한 환자를 수용·치료하게 된다. 정부는 이를 위해 두 병원에 시설·장비비 10억원과 운영비 12억원을 지원한다. 정통령 복지부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