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찐 사람이 오래 산다?...'비만의 역설' 근거 없는 얘긴 아니다

지방 조직이 심장에 보내는 '위험 신호' 체계 발견
단기·중기 심장병 예후, 비만한 사람이 더 좋을 수도
미국 텍사스대 연구진, 저널 '셀 머태볼리즘'에 논문

 '비만의 역설'(obesity paradox)이란 말이 있다.

 보통은 '살찐 사람이 마른 사람보다 오래 산다'는 속설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는 의학계도 주목하는 현상이다.

 단기 또는 중기적으론 비만한 사람의 심장 질환 예후(豫後)가 마른 사람보다 좋을 수 있다는 것이다.

 물론 장기적으로 보면 비만한 사람의 심장병 위험이 더 큰 게 사실이다.

 직관적으로 선뜻 받아들이기 어려운 '비만의 역설'이 실제로 가능할 수도 있다는 걸 보여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지방 조직이 심장으로 '위험 신호'를 보내 비만이 유발하는 심장 조직 손상을 줄이게 한다는 게 요지다.

 이 신호 체계에도 미토콘드리아가 관여한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미국 텍사스대의 사우스웨스턴 메디컬 센터(UT Southwestern) 과학자들이 수행한 연구 결과는 20일(현지 시각) 저널 '셀 머태볼리즘'(Cell Metabolism) 온라인판에 논문으로 실렸다.

백색지방의 뉴런

 비만으로 대사 스트레스(metabolic stress)가 쌓이면 서서히 지방 조직 기능에 이상이 생겨 '세포 발전소' 미토콘드리아가 쭈그러들어 죽게 된다.

 결국 이런 지방 조직은 음식물의 과도한 칼로리를 축적하는 능력을 상실하고, '지방 독성'(lipotoxicity) 효과로 다른 기관에 해를 끼친다.

 심장을 비롯한 일부 기관은 선제적 방어에 나서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런 기관들이 지방 조직의 기능 이상을 어떻게 감지하는지는 지금까지 알지 못했다.

UT 사우스웨스턴 연구팀은 먼저, 생쥐 모델의 유전자를 조작해 미토콘드리아의 변형과 기능 상실을 유도했다.

 이런 생쥐에 고지방 먹이를 먹여 살을 찌웠더니, 죽어가는 미토콘드리아 조각이 가득 찬 '세포 외 소포'(extracellular vesicles)가 지방 세포에서 배출되기 시작했다.

 미토콘드리아 조각 중 일부는 혈류를 타고 심장으로 이동해 산화 스트레스를 유발했다.

 이런 상태로 몰리면 세포는 유해한 유리기(遊離基), 즉 자유라디칼(free radical)을 생성하게 된다.

 그런데 심장 세포는 이런 스트레스에 대응해 다량의 항산화 분자를 만들어 냈다.

 이 반발 작용의 효과는 매우 강력했다.

 미토콘드리아 조각이 든 세포 외 소포(小胞)를 생쥐에게 주입하고 심장마비를 일으키자 그렇게 하지 않은 생쥐보다 확연히 작은 조직 손상이 생겼다.

지방조직 염증

 이번 연구에선 또 비만 환자의 지방 세포도 이런 세포 외 소포를 배출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생쥐 실험에서 확인된 지방 세포의 '위험 경보' 효과가 인간에게도 나타날 수 있다는 걸 시사한다.

 그러나 '비만의 역설'이 끝까지 통하는 건 아니라고 연구팀은 강조했다.

 결국 비만한 사람은 심장 등의 기관에 지방 독성의 타격이 누적돼 한꺼번에 여러 가지 질환을 앓을 수 있다는 것이다.

 연구에 참여한 과학자들은 현실적인 응용 가능성에 관심을 두고 있다.

 이번에 확인된 심장의 방어 메커니즘을 인공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면, 비만의 부정적인 결과를 완화하는 치료법 개발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성공하기만 하면 이 치료법은 마른 사람의 심장 손상을 예방하는 데도 도움이 될 수 있다고 한다.

 논문의 제1 저자인 클레어 크루(Clair Crewe) 박사는 "지방 조직의 위험 신호 체계를 더 깊이 이해하면 비만한 사람이든, 그렇지 않은 사람이든 심장 건강을 개선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삼성서울병원 선정
최중증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를 진료할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과 삼성서울병원이 선정됐다고 보건복지부가 1일 밝혔다. 이번에 새롭게 도입되는 중증 모자의료센터는 최종 전원기관으로서 모자의료 전달체계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간 정부는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 진료를 위해 신생아 집중치료 지역센터와 고위험 산모·신생아 통합치료센터를 지정해 운영해왔는데, 센터간 역량 차이와 지역별 인프라 연계 부족 등으로 중증 환자 진료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있었다. 이에 정부는 중증도에 따라 진료가 이뤄지도록 중증 모자의료센터와 권역 모자의료센터, 지역 모자의료센터 등으로 모자의료 전달체계를 개편했다. 이번에 선정된 2곳은 산과, 신생아과뿐 아니라 소아청소년과 세부 분과 및 소아 협진진료과 진료역량도 갖춰 고위험 산모·신생아와 다학제적 치료가 필요한 중환자에게 전국 최고 수준의 치료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복지부는 설명했다. 이들 의료기관은 24시간 진료체계 유지와 예비병상 운영 등을 통해 다른 병원들에서 응급환자 치료가 어려운 경우 최대한 환자를 수용·치료하게 된다. 정부는 이를 위해 두 병원에 시설·장비비 10억원과 운영비 12억원을 지원한다. 정통령 복지부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