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생한방 "목 통증에 진통제·물리치료보다 '추나요법' 효과적"

통증 절반 감소까지 추나요법 5주…진통제·물리치료는 26주

 자생한방병원은 추나요법이 목 통증 환자 치료에 있어 진통제, 물리치료보다 더 효과적이라는 사실을 임상 연구를 통해 확인했다고 24일 밝혔다.

 추나요법은 한의사가 손으로 밀고 당겨 잘못된 자세나 사고로 어긋나거나 비틀린 척추·관절·근육·인대 등이 제자리를 찾아가게 해주는 치료법이다. 2019년부터 일부 환자에 한해 건강보험 급여가 적용되고 있다.

 자생한방병원 척추관절연구소는 2017년 10월부터 2019년 6월까지 자생한방병원(강남·대전·부천·해운대)과 강동경희대학교 한방병원에서 3개월 이상 만성 목 통증을 겪고 있는 만 19세 이상 60세 이하 환자를 대상으로 추나요법의 임상적 효과를 평가했다.

 연구는 추나요법을 받은 환자 54명, 진통제 처방과 물리치료 등 일반치료를 받은 환자 54명에게 5주간 주 2회, 총 10회 치료를 시행한 후 비교하는 식으로 진행됐다.

 그 결과 모든 지표에서 추나요법군이 일반치료군보다 효과가 좋았다.

 주관적인 통증의 강도를 평가하는 'VAS 통증평가척도'(Visual Analogue Scale·시각아날로그척도)를 측정하자 추나요법군은 치료 전 59.5에서 치료 후 26.1로 감소했다. VAS는 환자가 느끼는 통증을 100㎜ 선상에 표시하는 것으로, 숫자가 클수록 통증이 심하다는 의미다.

 반면 일반치료군의 목 통증 VAS 지수는 치료 전 60.6에서 치료 후 43.3으로 감소하는 데 그쳤다.

통증 정도를 강도에 따라 0∼10 숫자로 표현한 통증 숫자평가척도(Numeric Rating Scale, NRS) 지표에서도 추나요법군의 개선세가 두드러졌다.

 1년간의 통증 누적치를 분석한 결과 NRS의 경우 처음 시점과 비교해 통증이 절반으로 줄어드는 데 추나요법군은 5주가 소요됐지만 일반치료군은 26주가 걸렸다.

 이진호 자생한방병원장은 "연구를 통해 목 통증 환자에게 추나요법이 통증과 기능, 삶의 질을 효과적이고 빠르게 개선할 수 있는 과학적·객관적 치료법으로 입증됐다"며 "추나요법의 근거 수준을 더욱 높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미국의학협회(AMA) 저널 중 하나인 'JAMA 네트워크 오픈'(JAMA Network Open) 7 월호에 게재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바이오시밀러 개발 간소화로 최대 3천억원 절감…韓 기업 수혜"
바이오시밀러(바이오의약품 복제약) 개발 과정이 간소화되면 미국에서만 최대 2억2천500만달러(약 3천300억원)가 절감되고 개발 기간도 1∼2년 단축할 수 있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5년 2분기 바이오시밀러 시장 보고서'를 발간했다. 최근 미국과 유럽 등 주요 국가 규제 기관은 바이오시밀러 개발 절차를 간소화하는 추세다. 대표적 사례가 '비교 임상 효능연구'(CES) 필요성에 대한 재검토에 나선 것이다. CES는 2개 이상 치료제의 임상적 효능 등을 비교해 치료제 간 효과, 안전성 등이 비슷한지 평가하는 과정이다. 분석 및 약동학 데이터를 통해 대조약과의 생물학적 동등성이 충분히 확립된 데다 작용 기전이 잘 알려진 바이오시밀러의 경우 CES를 거칠 필요가 없다고 규제 기관은 보고 있다. 약동학은 약물의 흡수·분포·대사 등을 다루는 분야다. 예컨대 미국 식품의약품청(FDA)은 지난해 발표한 지침에서 경우에 따라 분석 및 약동학 데이터가 비교 임상 연구 없이도 충분한 동등성 근거를 제공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이달 FDA에 바이오시밀러 승인을 간소화하도록 장려하는 내용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