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부의 점이 암(癌) 되나?...돌연변이 생겨도 암세포 되지 않아

돌연변이 유전자 자극해 암 생기게 하는 ATAD2 단백질 발견
미국 메모리얼 슬론 케터링 연구진, 저널 '사이언스'에 논문

 우리 몸 안엔 누구나 유전자(DNA)에 돌연변이가 생긴 수천 개의 세포가 숨어 있다.

 그러나 이런 돌연변이가 실제로 암을 일으키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암의 잠재적인 씨앗이 몸 안에 있어도 대다수는 이를 품은 채 건강하게 살아간다는 뜻이다.

 왜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어떤 사람에겐 암이 되고, 어떤 사람에겐 그렇지 않을까?

 미국 메모리얼 슬론 케터링(MSK) 암센터 과학자들이 의학계의 이 오랜 수수께끼를 풀어냈다.

 유전자의 돌연변이를 자극해 암으로 번지게 하는, '불쏘시개' 비슷한 단백질이 따로 있었다.

 이 발견으로 암과 돌연변이 유전자를 바라보는 인식의 지형이 많이 바뀔 수 있다.

 아울러 접근 방식이 전혀 다른 획기적인 항암 치료법이 개발될 거라는 기대도 제기된다.

 MSK '암 생물학 유전학 프로그램'의 리처드 화이트 박사 연구팀이 수행한 이 연구 결과는 3일(현지 시각) 저널 '사이언스(Science)'에 논문으로 실렸다.

 같은 돌연변이 유전자 세트(set)가 암을 유발하기도 하고, 그렇지 않기도 하는데 대표적 사례가  피부에 생기는 점과 흑색종(melanoma)이다.

 점을 구성하는 세포는 유전적으로 비정상이며, 특히 BRAF 유전자의 돌연변이를 가진 경우가 많다.

 BRAF 돌연변이가 점 밖의 세포에 발현하면 종종 흑색종(melanoma)이 되기도 한다.

 하지만 점이 암으로 변하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화이트 박사는 이 의문점을 풀기 위해 동료 발달 생물학자인 로렌스 스투더(Lorenz Studer) 박사와 손을 잡았다.

 10여 년의 연구 끝에 비밀을 풀어낸 게 이번 연구 결과다.

 먼저 흑색종의 형성은, 어떤 세포의 DNA 돌연변이와 같은 세포에 켜지는 특정 유전자 세트의 공조 작용으로 나타나는 '종양 형성 능숙도(oncogenic competence)'에 의해 결정됐다.

 흑색종이 되는 세포는, 보통 멜라닌 세포(melanocytes)엔 닫혀 있는 유전자 세트에 접근할 수 있었다.

 멜라닌 세포가 이들 유전자에 접근하려면 폐쇄된 유전자의 문을 여는 단백질이 필요했다.

 다시 말해 멜라닌 세포는 암과 연관된 DNA 돌연변이가 생겨도 이 단백질이 없으면 흑색종으로 변하지 않았다.

 열쇠 역할을 하는 이 단백질이 바로 '염색질 변형 인자(chromatin modifying factor)'로 불리는 ATAD2였다.

 ATAD2는 유전자 근처의 염색체 영역에 결합해 해당 유전자가 켜지게 한다. 이는 단백질 생성 코드로 번역되는 전령 RNA가 전사되게 한다는 의미다.

 ATAD2 같은 단백질은 유전체 자체보다 후생 유전자(epigenome)에 더 많이 작용한다.

 특이하게도 이 단백질을 가진 세포에선, 배아 발달 단계에서만 관찰되는 유전자 세트가 켜진다.

 연구팀은 제브라 피시(zebrafish·열대어의 일종)에 생긴 흑색종을 관찰하다가, 성숙한 멜라닌 세 포보다 배아 단계 세포의 특징을 더 많이 보이는 다수의 유전자 무리를 발견했다.

 그래서 BRAF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생기게 조작한 제프라 피시를 세 그룹으로 나눠 실험했다.

 세포의 발달 단계에 따라 각각 신경관(neural crest), 멜라닌 모세포(melanoblast), 멜라닌 세포일 때 돌연변이 BRAF가 켜지게 하고 이에 맞춰 실험 그룹을 짰다.

 수개월이 지나자 신경관과 멜라닌 모세포 단계의 물고기는, 돌연변이 BRAF 유전자가 활성화해 종양이 생겼지만, 마지막 멜라닌 세포 단계의 물고기는 종양 대신 점이 생겼다.

 연구팀은 인간 다능성 줄기세포(hPSCs)에서 배양한 세 단계의 세포를 생쥐 모델에 이식한 실험에서 동일한 결과를 확인했다.

 이어 제브라 피시 종양과 인간 줄기세포 유래 종양의 유전자 활성도를 비교 분석해 보니, ATAD2 단백질이 종양의 형성 여부를 결정한다는 게 드러났다.

 임상 데이터 분석 결과, ATAD2의 발현 수위가 높은 암 환자는 생존 예후가 극히 나빴다.

 화이트 박사는 "지난 수십 년간 암을 가져오는 DNA 돌연변이로 두 가지 유형, 즉 발암 유전자가 활성화하거나 종양 억제 유전자에 이상이 생기는 것만 생각했다"라면서 "이번에 확인한 종양 형성 능숙도를 세 번째 유형으로 추가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응급실 뺑뺑이' 수용의무 지침, 17개 시도 중 11개 시도 '외면'
'응급실 뺑뺑이'로 인한 비극이 반복되고 있음에도 17개 시도 가운데 11개 시도는 관련 지침에 응급환자 '수용 의무'를 명시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급환자가 늘어나는 추석 연휴를 앞둔 상황에서 계속되는 비극을 막기 위한 실질적인 조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김선민 의원이 보건복지부에서 최근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현재 17개 광역자치단체 모두 응급환자에 대한 이송·수용 지침을 수립해 현장에 적용 중이다. 그러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응급환자 수용 의무 조항을 지침에 포함한 시도는 대구, 인천, 광주, 경기, 강원, 경남 등 6곳뿐이다. 응급환자 수용 지침은 2022년 12월부터 시행된 개정 응급의료법, 이른바 '동희법'의 후속 조치다. 2019년 10월 응급실 뺑뺑이 끝에 숨진 4세 김동희 어린이의 비극을 막기 위해 응급의료기관이 응급환자 수용 능력 확인 요청을 받은 경우 정당한 사유 없이 응급의료를 거부 또는 기피할 수 없도록 했다. 이후 복지부는 지난해 17개 시도에 '응급실 수용곤란 고지 관리 표준지침'과 '응급환자 이송지침 가이드라인'을 배포하고 지역 실정에 맞는 지침 마련을 주문했다. 복지부의 지침엔 응급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지나친 저염 식단, 신장 손상 환자 회복에 악영향"
신장 기능이 악화한 사람이 과도하게 염분 섭취를 제한하면 오히려 신장 회복에 방해가 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삼성서울병원은 신장내과 장혜련·전준석·이경호 교수 연구팀은 최근 허혈성 급성 신장 손상 후 회복기의 식이 조절과 회복 연관성에 관한 논문을 학술지 '세포 및 발달 생물학 프런티어스'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신장이 손상된 생쥐를 이용해 고염식과 저염식, 고단백식과 저단백식, 고지방식과 저지방식 등 다양한 조합의 식이가 회복에 주는 영향을 비교·분석했다. 연구 결과, 회복기 지속적인 저염 식이는 염증성 변화를 유도하고 신장의 섬유화를 악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GF-β와 같은 신호 물질이 과활성화돼 신장 회복이 더뎌질 수밖에 없는 환경이 조성됐다는 설명이다. 저지방·저단백 식이도 염분 섭취와 무관하게 염증 반응을 유도하고 치유를 저해했다. 고염식도 신장 회복에 악영향을 주기는 마찬가지였다. 연구팀은 "만성 신장질환 환자에게는 저염 및 저단백 식단이 종종 권장되지만, 이런 식단은 염증 반응을 유발하고 신장 섬유화를 촉진해 허혈성 급성 신손상의 회복을 저해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장 교수는 "식이요법은 환자가 직접 조절할 수 있는 비약물 치료 전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