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역에 중요한 비타민 A, 장(腸)에서 어떻게 흡수될까

장 골수세포의 레틴올 흡수 돕는 LRP 1 수용체 발견
미국 텍사스의대 연구진, 저널 '사이언스'에 논문

 

 비타민 A는 인체의 모든 조직에 필요하지만, 특히 적응 면역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적응 면역은 면역 기억을 기반으로 특정 병원체에 반응하는 걸 말한다. 예컨대 어떤 질병에 노출되거나 백신을 맞으면 적응 면역이 생긴다.

 그런데 비타민 A가 몸 안에서 쓰이려면 레틴올을 거쳐 레틴올 산(酸)으로 변해야 한다.

 레틴올을 레틴올 산으로 바꾸는 건 장(腸)의 면역 골수 세포(myeloid cells)다.

 미국 텍사스 의대 과학자들이 마침내 이 과정에 관여하는 메커니즘을 상세히 밝혀냈다.

 콜레스테롤 대사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진 LRP 1 수용체가 레틴올을 골수세포 내로 운반한다는 게 핵심이다.

 텍사스대 사우스웨스턴 메디컬 센터(UT Southwestern)의 로라 후퍼 면역학 석좌교수 연구팀이 수행한 이 연구 결과는 최근 저널 '사이언스(Science)'에 논문으로 실렸다.

 최근 미국 과학진흥협회(AAAS) 사이트(www.eurekalert.org)에 공개된 논문 개요 등에 따르면 연구팀이 주목한 건 SAA로 알려진 혈청 전분질 A 단백질(serum amyloid A proteins)이다.

 이 단백질은 감염이 진행되는 동안 일부 기관에서 만들어지는 레티놀 결합 단백질의 한 계열(family)이다.

 이번 연구엔 방예지(Ye-Ji Bang) 박사후연구원이 논문의 제1 저자로 참여했다.

 방 박사는 2014년 서울대에서 박사 학위를 받은 뒤 후퍼 교수 랩(lab)에서 비타민 A 대사와 관련된 SAA의 생리 기능 등을 연구해 왔다.

 연구팀은 먼저 SAA가 LDL(저밀도 지단백) 수용체 연관 단백질 1, 약칭 LRP 1과 결합한다는 걸 확인했다.

 LRP 1은, UT 사우스 웨스턴의 중개 신경 퇴행 연구 센터 소장인 요아힘 헤르츠(Joachim Herz) 분자 유전학 교수가 30여 년 전에 처음 발견했다.

 헤르츠 교수 랩(lab)은 그 후 LDL 수용체 유전자 그룹이 뇌와 혈관 벽에서 신호 전달 및 식(食) 작용 수용체로 기능하는 분자 메커니즘을 밝혀내는 데 주력했다.

 이 연구는 같은 대학 동료인 마이클 S. 브라운, 조지프 골드스타인 두 교수의 1985년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에 도움을 줬다.

 이번 연구에선 LRP 1이 장의 골수세포 표면에 존재하며, 레틴올의 세포 내 이동에 관여한다는 사실이 새로이 밝혀졌다.

 실제로 생쥐의 LRP 1 유전자를 제거해 골수세포가 레틴올을 흡수하지 못 하게 하면 장의 적응 면역계가 전혀 작동하지 않았다.

 이런 생쥐는 적응 면역에 핵심 역할을 하는 T세포, B세포, 면역글로불린 A 등이 확연히 감소해 살모넬라균 감염에 금방 취약함을 드러냈다.

 LRP 1 수용체가 레틴올을 골수세포 안으로 운반하는 이 경로를 차단할 수 있으면, 염증성 장 질환(IBD)이나 크론병(Crohn's disease) 등의 과도한 면역 반응을 억제하는 데 도움이 될 거로 보인다.

 반대로 LRP 1의 활성도를 높이면 면역력이 강해져, 경구(經口) 백신 등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고  과학자들은 말한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삼성서울병원 선정
최중증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를 진료할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과 삼성서울병원이 선정됐다고 보건복지부가 1일 밝혔다. 이번에 새롭게 도입되는 중증 모자의료센터는 최종 전원기관으로서 모자의료 전달체계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간 정부는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 진료를 위해 신생아 집중치료 지역센터와 고위험 산모·신생아 통합치료센터를 지정해 운영해왔는데, 센터간 역량 차이와 지역별 인프라 연계 부족 등으로 중증 환자 진료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있었다. 이에 정부는 중증도에 따라 진료가 이뤄지도록 중증 모자의료센터와 권역 모자의료센터, 지역 모자의료센터 등으로 모자의료 전달체계를 개편했다. 이번에 선정된 2곳은 산과, 신생아과뿐 아니라 소아청소년과 세부 분과 및 소아 협진진료과 진료역량도 갖춰 고위험 산모·신생아와 다학제적 치료가 필요한 중환자에게 전국 최고 수준의 치료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복지부는 설명했다. 이들 의료기관은 24시간 진료체계 유지와 예비병상 운영 등을 통해 다른 병원들에서 응급환자 치료가 어려운 경우 최대한 환자를 수용·치료하게 된다. 정부는 이를 위해 두 병원에 시설·장비비 10억원과 운영비 12억원을 지원한다. 정통령 복지부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