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도 막는 폐 특유의 면역계, 작동 원리 알아냈다

폐 조직 상피세포가 MHC-Ⅱ 이용해 '상주 기억 T세포' 제어
미국 보스턴의대 연구진, 저널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 논문

 폐의 면역계는 각종 폐 질환을 퇴치하는 데 꼭 필요하다.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는 물론이고 폐렴, 폐암, 천식 등도 예외가 아니다.

 그런데 폐 면역은 전신 면역(systemic immunity)과 다르며, 폐 면역의 생성과 조절이 어떻게 이뤄지는지에 대해선 밝혀진 게 별로 없다.

 보통 생물의학 연구의 초점은 전신 면역에 맞춰지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베일에 싸였던 폐 면역계의 작동 메커니즘을 미국 보스턴의대(BUSM) 과학자들이 밝혀냈다.

 전체적으로 폐 면역을 조직하는 건 폐 조직의 상피세포였다.

 이 과정에서 MHC-Ⅱ(주조직 적합성 복합체 Ⅱ형)가 폐 안에 상주하는 기억 T세포(TRM)의 위치와 기능을 제어하는 데 핵심 역할을 했다.

 MHC는 관련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유전자군을 말하며, 인간은 누구나 서로 다른 MHC 대립형질을 갖고 있다.

 MHC 단백질은 크게 Ⅰ형과 Ⅱ형 두 가지로 나누는데, T세포는 모든 세포 표면에 나타나는 MHC-Ⅰ형 단백질을 보고 자기 세포인지, 침입 세포인지를 식별한다.

 MHC-Ⅱ형 단백질은 B세포, 대식세포 등 특정 면역세포에만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예컨대 대식세포는 침입 항원을 삼켜 없앤 뒤 남은 찌꺼기를 MHC-Ⅱ형 단백질로 보여주며, B세포나 헬퍼 T세포(helper T cell)는 이를 보고 침입 항원을 식별한다.

 조지프 미즈거드(Joseph Mizgerd) 의학 미생물학 생화학 교수 연구팀이 수행한 이 연구 결과는 5일(현지 시각) 저널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Nature Communications)'에 논문으로 실렸다.

 논문의 교신저자인 미즈거드 교수는 "일반적으로 폐의 상피세포는 호흡 기능을 지지하는 것으로 여겨지고, MHC-Ⅱ는 면역세포와 면역세포를 중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라면서 "폐 상피세포의 MHC-Ⅱ가 TRM 세포의 위치와 역할을 지시한다는 건 전혀 예상하지 못했다"라고 말했다.

 연구팀은 인간과 동물 모델의 폐 상피세포를 체계적으로 분석했다.

 이를 통해 실험한 모든 유형의 세포에 MHC-Ⅱ 단백질이 나타나고, 감염이 생기면 그 발현도가 높아진다는 걸 확인했다.

 지금까지 MHC-Ⅱ는 CD4(세포 표면 항원 무리 4) 양성 T세포의 학습에 관여한다는 정도만 알려졌다.

 CD4는 헬퍼 T세포, 대식세포, 단핵구, 수지상세포 등과 같은 면역세포 표면에 존재하는 당단백질을 말한다.

 그런데 배양 세포에 실험해 보니, 폐 상피세포는 MHC-Ⅱ를 이용해 T세포에 어떤 행동을 할지 지시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감염을 일으킬 수 있는 미생물에 미리 반응하는 것이었다.

 폐 상피세포에서 MHC-Ⅱ의 발현을 차단하면 폐에 나타나야 할 CD4 양성 T세포의 수와 유형, 위치 등에 교란이 생겼다.

 하지만 혈액에선 이런 T세포 교란이 관찰되지 않았다.

 이는 특정 폐 세포, 즉 폐 상피세포가 폐의 전체 면역 작용을 지휘한다는 걸 시사한다.

 논문의 제1 저자인 아누쿨 쉐노이 박사후연구원은 "폐 상피세포는 CD4 양성 TRM 세포의 적절한 위치와 감염 퇴치 등을 지시하는 일종의 게이트키퍼 역할을 한다"라고 설명했다.

 이 발견은 여러 가지 폐 질환의 치료와 예방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거로 기대된다.

 폐에 상주하는 기억 T세포는 폐렴 차단 외에도 암을 퇴치하고 천식을 촉발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이번 연구에선 부수적으로 몇 가지 의미 있는 사실이 밝혀지기도 했다.

 첫째는 폐의 다른 면역 관련 분자들이 MHC-Ⅱ에 의존해 상피세포 표면에 도달한다는 것이다.

 이들 분자는 세포 표면에서 다른 세포들과 상호작용해야 면역계의 지시를 이행할 수 있다.

 둘째는 폐 상피세포에서 MHC-Ⅱ가 결핍되면 폐 면역계에 변화가 생겨 일명 '면역 관문 억제 치료(checkpoint inhibitor therapies)'에 심각한 결과를 초래한다는 것이다.

 이는 MHC-Ⅱ에 의존해 세포 표면으로 이동하는 분자 가운데 하나가 이 면역치료의 표적이 될 수 있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미즈거드 교수는 "면역 관문 치료의 부작용이, 폐 상피세포의 면역세포 유도가 억제되는 것에서 비롯된다는 걸 시사한다"라고 지적했다.

 폐 상피세포의 이런 면역 조절 능력은 당연히 효과적인 예방 및 치료 표적이 될 수 있다고 과학자들은 말한다.

 암이나 폐렴 환자는 TRM 세포의 방어 기능을 가동하고, 천식 환자는 필요한 만큼 중지하는 방식 의 접근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삼성서울병원 선정
최중증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를 진료할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과 삼성서울병원이 선정됐다고 보건복지부가 1일 밝혔다. 이번에 새롭게 도입되는 중증 모자의료센터는 최종 전원기관으로서 모자의료 전달체계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간 정부는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 진료를 위해 신생아 집중치료 지역센터와 고위험 산모·신생아 통합치료센터를 지정해 운영해왔는데, 센터간 역량 차이와 지역별 인프라 연계 부족 등으로 중증 환자 진료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있었다. 이에 정부는 중증도에 따라 진료가 이뤄지도록 중증 모자의료센터와 권역 모자의료센터, 지역 모자의료센터 등으로 모자의료 전달체계를 개편했다. 이번에 선정된 2곳은 산과, 신생아과뿐 아니라 소아청소년과 세부 분과 및 소아 협진진료과 진료역량도 갖춰 고위험 산모·신생아와 다학제적 치료가 필요한 중환자에게 전국 최고 수준의 치료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복지부는 설명했다. 이들 의료기관은 24시간 진료체계 유지와 예비병상 운영 등을 통해 다른 병원들에서 응급환자 치료가 어려운 경우 최대한 환자를 수용·치료하게 된다. 정부는 이를 위해 두 병원에 시설·장비비 10억원과 운영비 12억원을 지원한다. 정통령 복지부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