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상포진 항바이러스치료, 심뇌혈관 합병증 위험 낮춘다

강남세브란스병원, 8만4천명 분석결과…"항바이러스제 치료 중요"

  대상포진 발병 후 적극적인 항바이러스제 치료를 하면 뇌졸중, 심근경색 등 중증 합병증의 위험을 낮출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연세대 강남세브란스병원 신경과 이경열 교수와 용인세브란스병원 김진권 교수 공동 연구팀은 2003∼2014년 대상포진으로 진료받은 8만4천993명을 항바이러스제 치료 그룹(7만6천910명)과 비치료 그룹(8천83명)으로 나눠 심뇌혈관질환 합병증 발생 비율을 분석한 결과 이런 연관성이 관찰됐다고 12일 밝혔다.

 대상포진은 전 인구의 20% 이상에서 발생하는 질환으로, 2∼10세 때 수두를 일으키는 바리셀라 조스터 바이러스가 원인이다. 어릴 때 수두를 앓고 나면 이 바이러스가 신경세포에 잠복하게 되는데, 신체 면역력이 떨어지면 활동을 재개해 신경 주변으로 퍼지면서 대상포진을 일으킨다.

 흔히 피부발진과 극심한 통증을 일으키는 질환으로 알려져 있으나, 대상포진 바이러스가 뇌혈관에 직접 침투하면 뇌졸중이나 심근경색 등의 중증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연구 결과 대상포진 진단 후 조기에 항바이러스제 치료를 받은 환자 그룹은 그렇지 않은 그룹에 견줘 심근경색 발생 위험도가 11% 낮았다. 뇌졸중 발생 위험 역시 같은 조건에서 20% 줄어든 것으로 확인됐다.

 김진권 교수는 "항바이러스제가 대상포진에 따른 피부병변이나 신경통의 합병증을 효과적으로 예방한다고 알려져 있었지만, 대상포진과 연관된 심뇌혈관질환 합병증을 감소시키는지는 잘 알려지지 않았다"면서 "이번 연구로 효과를 확인한 데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경열 교수는 "대상포진이 나타났을 때 단순한 통증이나 피부질환으로만 치부하지 말고 적극적인 항바이러스제 치료를 통해 이후 나타날 수 있는 중증 합병증을 예방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권고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임상감염병'(Clinical Infectious Diseases) 최근호에 발표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질병청 "新 탄저백신, 기존 독소·부작용 없애…올해 비축 시작"
질병관리청은 국내 개발 신규 탄저 백신이 기존 백신과 달리 독소를 포함하지 않아 안전성이 입증됐다며, 올해 내로 생산과 비축을 시작할 것이라고 14일 밝혔다. 질병청은 ㈜녹십자와 협력해 국내 기술로 세계 최초의 유전자 재조합 단백질 방식 흡착 탄저 백신(배리트락스주)을 개발했고 해당 품목은 지난 8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허가를 받았다. 정윤석 질병청 고위험병원체분석과장은 이날 기자단 대상 브리핑에서 신규 백신에 대해 "기존 백신과 가장 큰 차이점은 백신 주원료인 탄저균의 방어 항원 생산 방식"이라며 "기존에는 탄저균 배양액을 정제하다 보니 미량의 독소가 포함돼 부작용 가능성이 있었지만, 이번에는 독소를 생산하지 않는 균주를 사용, 방어 항원만을 순수하게 만들어냈다"고 설명했다. 질병청에 따르면 이렇게 탄저균의 방어 항원 단백질을 유전자 재조합 기술로 제조, 의약품으로 상용화한 사례는 세계 최초다. 흡입 탄저의 경우 치명률이 97%에 달하는 탄저병은 법정 제1급 감염병으로, 그 균은 생물테러에 악용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김갑정 질병청 진단분석국장은 "1997년 기초 연구에 착수해 30년 가까이 준비한 노력이 결실을 보았다"며 "전량 수입에 의존하던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주말에 몰아서 하는 운동, 건강증진 효과는?…"운동량 충분하면 OK"
운동을 매일 하지 않고 주말에 몰아서 하더라도 당뇨병 유병률이 낮아지는 등 건강 증진 효과는 유사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14일 의료계에 따르면 경희의료원 디지털헬스센터 연동건 교수 연구팀은 질병관리청의 지역사회건강조사(2009∼2022년) 데이터를 토대로 성인 242만8천448만명의 당뇨병과 신체활동의 연관성을 분석해 이런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운동량만 충분하다면 운동 빈도 자체는 큰 영향이 없다는 걸 확인한 것으로, 평일에 규칙적으로 하든 주말에 집중적으로 하든 적절한 운동량만 지킨다면 당뇨병 유병률 감소 효과를 낼 수 있다는 의미다. 연구 결과 세계보건기구(WHO)가 권고하는 '일주일에 75∼150분 중강도 또는 75분 이상의 고강도 운동'을 하는 집단의 당뇨병 유병률은 신체활동을 하지 않는 집단에 비해 16%가량 낮았다. 다만 이 수준까지 운동량이 증가하면 당뇨병 유병률이 떨어지지만, 그 이상으로 운동한다고 해서 추가적인 효과가 크게 나타나지는 않았다. 중강도 운동과 고강도 운동을 WHO 권고량 범위 내에서 적절히 병행하는 게 당뇨병 유병률 감소와 가장 크게 연관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주말에 운동을 집중적으로 몰아서 하는 집단과 평일에 규칙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