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물 전달 막는 혈뇌장벽, 레이저 펄스에 열려...…"뇌종양 치료 등 쓰일 수도"

혈관 주입 금 나노입자로 기계력 생성→혈관 밀착연접 일시 개방

 혈뇌장벽(blood-brain barrier)은 혈액을 통해 운반될 수 있는 병원체나 위험 물질로부터 뇌와 중추신경계를 분리,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사실 혈뇌장벽은 비유적 표현이다.

 실제로 혈뇌장벽은 뇌의 성상교세포 분비 물질에 의해 형성되는 뇌 모세혈관 내피세포의 밀착연접을 말한다.

 고도의 선택적 투과성을 보이는 이 밀착연접은 뇌세포 사이의 용질 이동과 친수성 고분자 물질의 통과를 차단한다.

 따라서 약물 등 수용성 분자가 혈뇌장벽을 통과하려면 특별한 채널이나 단백질 운반체가 필요하다.

 원래 뇌를 지키는 혈뇌장벽이지만, 뇌 조직에 치료 약 등을 전달할 때는 결정적 장애가 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이런 어려움에 봉착한 의사와 환자에게 희소식이 될 만한 연구 결과가 나왔다.

 빛과 나노입자로 잠시 혈뇌장벽을 열어 뇌와 중추신경계 조직에 치료 약을 전달하는 기술이 개발된 것이다.

 미국 텍사스대 댈러스 캠퍼스(University of Texas at Dallas)의 친젠펑(Zhenpeng Qin) 기계공학 부교수 연구팀이 수행한 이 연구 결과는 최근 미국 화학학회(ACS)가 발행하는 저널 '나노 레터스(Nano Letters)'에 논문으로 실렸다.

 15일 미국 과학진흥협회(AAAS) 사이트(www.eurekalert.org)에 공개된 논문 개요 등에 따르면 이 기발한 약물 전달 기술에서 핵심 역할을 하는 건 자체 개발한 광(光) 흡수성 금 나노입자다.

 혈뇌장벽을 표적으로 식별하는 이 금 나노입자를 혈관에 주입한 뒤 두개(머리뼈)를 통해 피코초(picosecondㆍ1조분의 1초) 레이저 펄스를 가하면 혈뇌장벽의 투과성이 일시적으로 높아진다고 한다.

 이렇게 혈뇌장벽이 일시적으로 풀리면 그 틈으로 약물 등이 뇌 조직으로 흘러 들어간다는 것도 동물 실험에서 확인했다.

 레이저 펄스로 금 나노입자를 활성화하면 혈뇌장벽의 밀착연접을 느슨하게 만들 정도의 미세한 기계력(mechanical force)이 생긴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그러나 혈뇌장벽의 손상은 거의 일어나지 않았다.

 이는 자연스러운 혈관 운동이나 뇌혈관 구조를 심각하게 교란하지 않으면서도 혈뇌장벽의 투과성을 조절할 수 있다는 뜻이다.

 연구팀은 유전자 편집 요소를 싣는 데 쓰이는 바이러스 매개체와 항체, 지방소체(liposome) 등을 혈뇌장벽 너머로 운반하는 동물 시험에도 성공했다.

 이렇게 혈뇌장벽의 투과성을 높이는 기술은 중추신경계 질환 치료제의 효능을 높이는 데 필수적이라고 과학자들은 강조한다.

 논문의 공동 교신저자인 친 교수는 "뇌종양과 루게릭병(근 위축성 축삭 경화증) 치료, 뇌졸중 회복 관리, 유전자 치료 요소 운반 등에 쓰일 수 있다"라면서 "하지만 인간에게 적용하려면 연구과 시험이 더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친 교수팀은 5년 전부터 텍사스 암 예방 연구소(CPRIT)의 자금 지원을 받아 혈뇌장벽의 투과성 조절 방법을 연구해 왔다.

 지난 8월에는 교아종(glioblastoma) 치료에 이 방법을 적용할 수 있는지 확인하는 데 쓸 4번째 연구 자금을 받았다.

 교아종은 성인에게 가장 흔히 발생하는 악성 뇌종양으로 꼽힌다.

 친 교수팀은 자기장으로 나노입자를 자극해 혈뇌장벽을 교란하는 모델을 개발하는 걸 목표로  삼고 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삼성서울병원 선정
최중증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를 진료할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과 삼성서울병원이 선정됐다고 보건복지부가 1일 밝혔다. 이번에 새롭게 도입되는 중증 모자의료센터는 최종 전원기관으로서 모자의료 전달체계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간 정부는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 진료를 위해 신생아 집중치료 지역센터와 고위험 산모·신생아 통합치료센터를 지정해 운영해왔는데, 센터간 역량 차이와 지역별 인프라 연계 부족 등으로 중증 환자 진료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있었다. 이에 정부는 중증도에 따라 진료가 이뤄지도록 중증 모자의료센터와 권역 모자의료센터, 지역 모자의료센터 등으로 모자의료 전달체계를 개편했다. 이번에 선정된 2곳은 산과, 신생아과뿐 아니라 소아청소년과 세부 분과 및 소아 협진진료과 진료역량도 갖춰 고위험 산모·신생아와 다학제적 치료가 필요한 중환자에게 전국 최고 수준의 치료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복지부는 설명했다. 이들 의료기관은 24시간 진료체계 유지와 예비병상 운영 등을 통해 다른 병원들에서 응급환자 치료가 어려운 경우 최대한 환자를 수용·치료하게 된다. 정부는 이를 위해 두 병원에 시설·장비비 10억원과 운영비 12억원을 지원한다. 정통령 복지부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