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 스트레스 태아에 전달...젖니에 생생한 흔적 남긴다"

임신 기간 우울증 겪은 여성의 자녀, 젖니 생장선 더 넓어
나이테와 비슷한 젖니 생장선, 아동 정신 건강 지표로 개발
미국 하버드 의대 등 연구진, 미국 의사협회 저널에 논문

 여성이 임신 기간 심리ㆍ사회적 스트레스에 시달리면 태아는 물론 출산한 아기의 건강에도 나쁜 영향을 미친다.

 태아가 엄마를 통해 간접적으로 겪는 이런 스트레스는 성인이 됐을 때까지 건강의 위험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태아가 모체(母體) 내에서 경험하는 이런 '역경(early-life adversity)'의 흔적이 유치(乳齒), 즉 젖니의 생장선(growth lines)에 남는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과학자들은 젖니의 생장선 너비를 체계적으로 분석하면, 나중에 우울증 등 정신 건강 질환을 일으킬 수 있는 아동을 미리 진단하는 데 도움이 될 거로 기대한다.

 이 연구는 미국 하버드 의대의 최대 교육병원인 매사추세츠 제너럴 호스피털(MGH) 과학자들이 수행했다.

 관련 논문은 지난 9일(현지 시각) 미국 의사협회 저널인 '자마 네트워크 오픈(JAMA Network Open)'에 실렸다.

 이 발견이 주목받는 이유는 우울증ㆍ불안증 등의 위험 요인을 가진 아동에게 예방 치료를 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줬기 때문이다.

 현재는 이런 목적에 쓸 만큼 효과적인 진단 도구가 개발돼 있지 않다.

 논문의 수석저자인 MGH 소아 신경발달 유전학 유닛(unit)의 에린 던(Erin C. Dunn) 박사는 태아가 어떤 시점에 이런 스트레스를 받는지, 그리고 태아기 스트레스가 아동 발달 과정에서 특별히 해롭게 작용하는 때가 언제인지 등을 연구해 왔다.

 던 박사는 인류학 분야의 치아 연구 성과를 접하고 이번 연구의 아이디어를 얻었다.

 인간의 치아가 '다양한 인생 경험의 항구적 기록'이라는 걸 깨달은 것이다.

 예컨대 영양 부족이나 질병으로 신체적 스트레스를 받으면 치아의 법랑질(에나멜질) 형성에 문제가 생기고, 이는 치아 내부에 선명한 생장선을 만든다.

 '스트레스 선(stress lines)'이라고도 하는 이 치아 생장선은, 수목이 얼마나 오래됐는지 보여주는 나이테와 비슷한 속성을 가졌다.

 나이테를 보면 형성 시기의 기후 조건을 짐작할 수 있듯이, 젖니의 생장선을 보면 태아가 자궁 안에서(출생 직후 포함) 어떤 환경에 처해 있었는지 알 수 있다는 것이다.

 던 박사는 첫 번째 생장선인 '신생아 선(neonatal line)'의 너비가 하나의 지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했다.

 산모가 임신 기간과 출산 직후에 심한 스트레스를 겪었는지 여부가 신생아 선에 나타날 거로 짐작했다.

 던 박사팀은 이 가설을 입증하기 위해 영국의 '에이번 부모ㆍ자녀 종단 연구(ALSPAC)'로부터 만 5∼7세 아동 70명의 뾰족한 앞니를 지원받았다. 부모가 저절로 빠진 자녀의 젖니를 연구용으로 기증한 것이었다.

 이들 어린이의 엄마는 아동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진 4가지 요인에 관한 설문 조사에 참여했다.

 여기엔 출산 전 스트레스, 심리학적 병력(病歷), 경제적 궁핍도, 사회적 지원 수준 등에 관한 질문이 포함됐다.

 젖니의 현미경 측정 결과와 설문 조사 결과를 비교 분석했더니, 몇 가지 명확한 패턴이 드러났다.

 임신 32주 차에 우울증 또는 불안증을 겪었거나, 우울증 등 정신과 질환을 평생 심하게 앓았던 여성의 자녀에게 위험 징후가 나타났다.

 이런 여성의 자녀는 젖니의 신생아 선 폭이 그렇지 않은 여성의 자녀보다 넓은 경향을 보였다.

 반대로 임신 직후부터 사회적 지원을 많이 받은 여성의 자녀는 신생아 선의 폭이 대체로 좁았다.

보통 신생아 선의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여겨지는 다른 요인, 다시 말해 임신 중 철분 보충, 잉태 연령(gestational ageㆍ임신부터 출산까지 걸린 시간), 산모의 비만 여부 등을 고려해도 이런 결과는 손상되지 않았다.

 
뇌 기능과 기분 조절에 관여하는 장 미생물

 과학자들은 젖니의 신생아 선이 어떤 요인으로 생기는지 아직 모른다.

 하지만 아기를 가진 여성에게 우울증이나 불안증이 생기면 '스트레스 호르몬' 코르티솔(cortisol) 분비가 늘어나 치아의 법랑질 생성 세포를 교란할 수 있다고 과학자들은 말한다.

 임부(妊婦)의 전신 염증 반응도 여기에 개입할 수 있는 요인으로 꼽힌다.

 연구팀은 앞으로 신생아 선 등 젖니의 성장 흔적을 아동의 정신 건강 지표로 쓸 수 있다고 믿는다.

 어떤 어린이가 태아기(수정 2개월 후부터 출산까지 기간)와 출생 직후, 엄마의 스트레스에 간접적으로 노출됐는지 가려낼 수 있다는 얘기다.

 하버드 의대 소아청소년과 교수인 던 박사는 "가능하면 이른 시기에 그런 어린이를 치료적 개입과 연계해 정신 건강 질환이 생기는 걸 막을 수 있을 것"이라 말했다.

 다만, 이 지표를 실제로 쓰려면 한 가지 전제 조건이 충족돼야 한다.

 던 박사팀이 개발한 진단법이 실제로 효과적이라는 걸 더 큰 규모의 연구를 통해 검증하는 것이 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지역·필수의료 시니어의사 본격 모집…사회적 협의는 '난항'
정부가 두 달째 이어지는 의료 공백 상황에서 지역·필수의료 분야에서 일할 시니어 의사 모집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정부가 의료 공백을 메우고자 비상진료체계를 운영 중인 가운데 의료개혁을 위한 사회적 협의는 '험로'가 예상된다. 17일 정부와 의료계에 따르면 보건복지부는 전날 오후 서울 중구 소재 국립중앙의료원에서 '시니어의사 지원센터'의 문을 열었다. 센터는 대학병원 등에서 근무한 경험이 많은 퇴직 의사 혹은 퇴직을 앞둔 의사들이 지역·필수의료 분야나 공공의료기관에서 계속 근무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을 맡는다. 앞으로 센터는 필수의료 분야 진료·연구에 경험이 있는 시니어 의사를 현장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의사 모집, 인력 풀(pool) 구축·관리, 의료기관 연계, 지역 필수의료 교육 등을 수행한다. 복지부 관계자는 "대한의사협회(의협), 국립중앙의료원과 함께 사업을 하고 있었지만,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센터를 열었다"며 "비활동 50∼60대 의사가 4천여명이고, 상반기 기준 대학병원의 퇴직 의사는 130여명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조규홍 복지부 장관은 "시니어 의사 활용은 정부와 의료계가 지역·필수의료 분야 의사 부족 문제 해소를 위해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인공눈물 투여 후 15분 지나서 렌즈 착용해야"
봄철 건조한 날씨로 인공눈물 사용이 늘어나는 가운데 인공눈물 투여 후 렌즈를 착용해야 한다면 최소 15분은 기다려야 한다. 일부 인공눈물 성분이 렌즈에 달라붙을 수 있기 때문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인공눈물의 올바른 사용 정보를 안내했다. 인공눈물은 눈의 건조 증상을 완화하고 자극을 일시적으로 줄이는 데 도움을 주는 의약품으로, 카르복시 메틸셀룰로스 나트륨, 카보머, 포비돈, 폴리 소르베이트, 히프로 멜로스 등을 주성분으로 하는 제품은 처방전 없이 약국에서 구매 가능하다. 인공눈물은 직접 눈에 1~2 방울 떨어뜨리며 성분에 따라 1일 2~5회 사용할 수 있는데, 인공눈물을 사용하기 전 눈에 통증이 심하거나 안약에 의한 알레르기 증상을 경험한 경우, 의사 치료를 받는 경우, 임부나 소아에 사용할 경우에는 의사 또는 약사와 상의해야 한다. 또 인공눈물 성분이 렌즈에 흡착될 수 있어서 렌즈 착용은 피하는 것이 좋은데, 특히 벤잘코늄 염화물을 보존제로 포함하는 인공눈물이 그렇다. 만약 렌즈를 착용해야 한다면 투여 후 15분 이상 기다렸다 끼는 것이 좋다. 인공눈물을 사용하면서 안약이나 안연고를 추가로 사용해야 하는 경우에는 5분 이상 간격을 두는 것이 권장된다. 특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