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중환자병상 가동률 83%…병상대기 836명

4일 이상 대기자 122명, 404명은 70세 이상으로 대부분 와상환자
수도권에 남은 중환자병상 총 116개, 전국에는 총 348개 남아

 수도권을 중심으로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속출하면서 병상 배정을 하루 이상 기다리는 대기자 수가 836명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23일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수도권 1일 이상 병상 배정 대기자는 총 836명이다.

 병상 대기자가 사상 최다였던 전날(907명)보다는 71명 줄었지만 4일 이상 대기자가 122명에 달하는 등 코로나19 환자 입원 업무에 걸린 부하가 해소되지 않고 있다.

 그 밖의 대기자의 대기시간을 구분해보면 1일 이상 319명, 2일 이상 257명, 3일 이상 138명이다.

 중수본은 수도권 환자를 인근 비수도권의 병원으로 이송하고, 병원 내 인력 재배치를 통해 코로나19 병상을 최대한 가동하는 방식으로 대기자 수를 일단 줄일 수 있었으나, 중증 확진자가 늘고 있어 의료 부담은 가중될 것으로 전망했다.

 지난 14일부터 일주일간 입원 대기 중 사망한 코로나19 환자는 3명이다. 병상 배정 전 사망(확진 후 24시간 이내)이 2명, 배정 중 사망(확진 후 24시간 이후)이 1명이다.

 박향 중수본 방역총괄반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행정명령을 내린 준증증 병상 확보에 속도를 내고, 병원 내 인력 재조정뿐만 아니라 중수본을 통해서도 인력을 지원하면서 의료 여력을 확보하겠다"고 밝혔다.

 대기자 중 70세 이상 고령자는 404명, 중증난치 질환자는 1명, 와상·장애 환자는 4명, 임신부는 2명, 고혈압·당뇨 등 기타 질환자는 425명이다. 비수도권에서는 현재 1일 이상 대기자가 없다.

 중수본은 "70세 이상 대기자는 집이나 요양시설의 와상환자(누워서 지내는 환자)여서 적절한 병상을 찾아 배정하고 있다"면서 "고령층 기저질환자와 와상환자가 늘어나면서 문진 난도가 높아지고 입원 결정에 걸리는 시간도 길어져 병상 대기자가 늘어나고 있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보건소는 병상을 하루 이상 대기하는 환자에게는 코로나19 전담병원이나 재택협력병원을 연결해 입원 전까지 건강 상태 모니터링을 한다. 모니터링에서 긴급 입원 사유가 생기면 병원으로 긴급 이송한다.

 수도권의 병상은 유형별로 가동률이 80%를 넘어서거나 80%에 근접하면서 병상 여력이 한계에 다다르고 있다.

 전날 오후 5시 기준으로 수도권 중환자 병상 가동률은 83.3%(694개 중 578개 사용)로 전날과 같았다.

 지역별로 보면 서울이 84.3%(345개 중 291개 사용), 경기 81.6%(270개 중 221개 사용), 인천 83.5%(79개 중 66개 사용)였다.

 수도권에 남은 중환자 병상은 서울 54개, 경기 49개, 인천 13개 등 총 116개뿐이다.

 전국 중환자 병상 가동률은 69.3%(1천134개 중 786개 사용, 잔여 348개)로 전날(66.6%)보다 0.2%포인트 떨어졌다.

 경북 지역에서는 확보된 병상 3개 모두가 사용 중으로 남은 병상이 없고, 대전·세종·광주에는 각각 3개, 4개, 6개의 병상이 남아있다.

 이날 코로나19 위중증 환자는 549명으로 역대 최다다. 나흘 연속 500명 이상의 위중증 환자가 발생해 중환자 병상이 더욱 빠르게 소진될 것으로 전망된다.

 중증에서 상태가 호전되거나 중증으로 악화 가능성이 높은 환자가 치료를 받는 준중환자 병상 가동률은 수도권 81.2%(324개 중 263개 사용)로 전날보다 조금 높아졌고, 전국적으로는 67.8%(503개 중 341개 사용)다.

 감염병 전담치료병상 가동률은 전국 66.5%(1만291개 중 6천840개)다.

 무증상·경증 환자가 격리 생활을 하는 생활치료센터 가동률은 이날 0시 기준 수도권 71.6%, 전국 59.2%다.

 재택치료 대상자는 현재 총 5천689명이다. 재택치료자 대부분은 서울(2천776명)과 경기(2천305명), 인천(231명) 등 수도권에 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추석 연휴 해외여행 급증…지역별 감염병 '맞춤 예방' 필수
추석 황금연휴를 맞아 해외로 떠나는 이들이 늘면서 출국 전 올바른 감염병 예방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지난달 부산의 한 병원에서 서아프리카 지역을 여행 다녀온 남성이 고열과 기력 저하 증세로 병원을 찾았다. 검사 결과, 그는 열대열 말라리아에 걸린 것으로 확인됐다. 이 남성은 출국 전 예방약을 복용했지만, 내성이 있는 말라리아균에 감염돼 상태가 급속도로 악화했고 결국 숨졌다. 추석 연휴를 맞아 해외여행객이 증가하는 시기에는 여행지별 유행 질병과 그에 맞는 맞춤형 예방 조치가 중요하다. 국가나 지역마다 감염될 수 있는 질병이 모두 다르며 수돗물, 벌레, 야생 동물과의 접촉 등 예상치 못한 상황에서 감염될 수 있다. 특히 한국인들이 많이 찾는 동남아시아에서는 A·B형 간염, 장티푸스뿐 아니라 모기 매개 감염병인 말라리아, 뎅기열, 지카 바이러스 등이 활발히 퍼지고 있다. 이정규 부산대병원 가정의학과 교수는 "최근 베트남과 몽골에서는 홍역이 유행 중인데, 우리나라 성인 중에는 항체가 없는 경우도 적지 않다"며 "동남아시아에서 소아 치사율 1위인 뎅기열 역시 우리나라에는 없던 병인데 베트남이나 캄보디아에서 걸리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해외 감염병은 현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