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중환자병상 가동률 83%…병상대기 836명

4일 이상 대기자 122명, 404명은 70세 이상으로 대부분 와상환자
수도권에 남은 중환자병상 총 116개, 전국에는 총 348개 남아

 수도권을 중심으로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속출하면서 병상 배정을 하루 이상 기다리는 대기자 수가 836명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23일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수도권 1일 이상 병상 배정 대기자는 총 836명이다.

 병상 대기자가 사상 최다였던 전날(907명)보다는 71명 줄었지만 4일 이상 대기자가 122명에 달하는 등 코로나19 환자 입원 업무에 걸린 부하가 해소되지 않고 있다.

 그 밖의 대기자의 대기시간을 구분해보면 1일 이상 319명, 2일 이상 257명, 3일 이상 138명이다.

 중수본은 수도권 환자를 인근 비수도권의 병원으로 이송하고, 병원 내 인력 재배치를 통해 코로나19 병상을 최대한 가동하는 방식으로 대기자 수를 일단 줄일 수 있었으나, 중증 확진자가 늘고 있어 의료 부담은 가중될 것으로 전망했다.

 지난 14일부터 일주일간 입원 대기 중 사망한 코로나19 환자는 3명이다. 병상 배정 전 사망(확진 후 24시간 이내)이 2명, 배정 중 사망(확진 후 24시간 이후)이 1명이다.

 박향 중수본 방역총괄반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행정명령을 내린 준증증 병상 확보에 속도를 내고, 병원 내 인력 재조정뿐만 아니라 중수본을 통해서도 인력을 지원하면서 의료 여력을 확보하겠다"고 밝혔다.

 대기자 중 70세 이상 고령자는 404명, 중증난치 질환자는 1명, 와상·장애 환자는 4명, 임신부는 2명, 고혈압·당뇨 등 기타 질환자는 425명이다. 비수도권에서는 현재 1일 이상 대기자가 없다.

 중수본은 "70세 이상 대기자는 집이나 요양시설의 와상환자(누워서 지내는 환자)여서 적절한 병상을 찾아 배정하고 있다"면서 "고령층 기저질환자와 와상환자가 늘어나면서 문진 난도가 높아지고 입원 결정에 걸리는 시간도 길어져 병상 대기자가 늘어나고 있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보건소는 병상을 하루 이상 대기하는 환자에게는 코로나19 전담병원이나 재택협력병원을 연결해 입원 전까지 건강 상태 모니터링을 한다. 모니터링에서 긴급 입원 사유가 생기면 병원으로 긴급 이송한다.

 수도권의 병상은 유형별로 가동률이 80%를 넘어서거나 80%에 근접하면서 병상 여력이 한계에 다다르고 있다.

 전날 오후 5시 기준으로 수도권 중환자 병상 가동률은 83.3%(694개 중 578개 사용)로 전날과 같았다.

 지역별로 보면 서울이 84.3%(345개 중 291개 사용), 경기 81.6%(270개 중 221개 사용), 인천 83.5%(79개 중 66개 사용)였다.

 수도권에 남은 중환자 병상은 서울 54개, 경기 49개, 인천 13개 등 총 116개뿐이다.

 전국 중환자 병상 가동률은 69.3%(1천134개 중 786개 사용, 잔여 348개)로 전날(66.6%)보다 0.2%포인트 떨어졌다.

 경북 지역에서는 확보된 병상 3개 모두가 사용 중으로 남은 병상이 없고, 대전·세종·광주에는 각각 3개, 4개, 6개의 병상이 남아있다.

 이날 코로나19 위중증 환자는 549명으로 역대 최다다. 나흘 연속 500명 이상의 위중증 환자가 발생해 중환자 병상이 더욱 빠르게 소진될 것으로 전망된다.

 중증에서 상태가 호전되거나 중증으로 악화 가능성이 높은 환자가 치료를 받는 준중환자 병상 가동률은 수도권 81.2%(324개 중 263개 사용)로 전날보다 조금 높아졌고, 전국적으로는 67.8%(503개 중 341개 사용)다.

 감염병 전담치료병상 가동률은 전국 66.5%(1만291개 중 6천840개)다.

 무증상·경증 환자가 격리 생활을 하는 생활치료센터 가동률은 이날 0시 기준 수도권 71.6%, 전국 59.2%다.

 재택치료 대상자는 현재 총 5천689명이다. 재택치료자 대부분은 서울(2천776명)과 경기(2천305명), 인천(231명) 등 수도권에 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기대수명 증가로 더 많은 질병 노출…소비자·보험사 준비해야"
고령자 사망률이 개선되고 기대수명이 증가함에 따라 노후 건강과 의료비 부담이 늘어나므로 소비자와 보험사가 이에 적절히 대응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김규동 보험연구원 연구위원은 25일 '사망률 개선이 노후 건강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서 "사망률 개선은 수명 연장보다는 노후 건강과 의료비 부담 증가 측면에서 의미가 더 크다"면서 이처럼 밝혔다. 작년 12월 보험개발원이 발표한 10회 경험생명표에서는 남성 평균수명이 86.3세, 여성은 90.7세로 지난 생명표보다 각 2.8세, 2.2세 늘어났다. 경험생명표는 보험사의 통계를 기초로 사망, 암 발생, 수술 등에 대해 성별, 연령 등을 고려해 보험개발원이 산출하는 보험료율의 집합으로, 통상 3∼5년 주기로 개정된다. 연구원에 따르면 고령자의 사망률이 개선되면 연령별 질병 발생률이 동일하더라도 노후에 질병이 발생할 가능성은 더 커진다. 여성의 경우 50세 이후 암 발생률이 개선돼 90세 이후에는 개선 폭이 10% 이상으로 확대되지만, 누적 암 발생자 수는 90세 이후에 오히려 증가하는데 이는 사망률 개선 효과 때문이다. 연구원은 "이는 기대수명이 증가하면서 건강수명과 기대수명 차이가 확대되는 현상과 유사하다"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