척수손상 장애인 앉은키 8~9㎝ 작아…"휠체어 등 제품 설계 배려 필요"

국표원, 사이즈코리아 성과 발표회…휠체어 사용 장애인 338명 인체치수 조사
"승강기·버스정류장 등 시설 적용 노력도 필요"

 

 척추 손상으로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의 앉은키가 비장애인보다 8∼9㎝가량 작고, 상체 둘레는 더 크지만 하체 둘레는 더 작은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데이터를 장애인을 위한 제품, 공간, 서비스 설계에 활용하고 각종 시설에 유니버설 디자인 적용을 확대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제언이 나온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국표원)은 장애인의 날을 앞두고 지난 17일 서울 광진구 장애인복지관에서 '사이즈코리아 성과 발표회'를 열고 이 같은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29개 항목에 대한 직접측정과 45개 문항에 대한 심층 설문조사를 통해 앉은키, 앉은 눈높이, 앉은 배꼽 수준 허리둘레, 앉은 장딴지 둘레, 몸무게 등에 대한 조사가 이뤄졌다.

 조사 결과 척수 손상 장애인의 앉은키는 남성의 경우 비장애인보다 8.4㎝, 여성의 경우 9.4㎝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앉은 눈높이도 남성과 여성이 각각 7.4㎝, 9.2㎝씩 낮았다.

인체치수 조사결과 발표 카드뉴스

 상체 둘레 항목인 앉은 배꼽 수준 허리둘레는 남녀가 비장애인보다 각각 10.0㎝, 7.3㎝씩 컸고, 하체 둘레 항목인 앉은 장딴지 둘레는 남녀가 각각 7.0㎝, 4.9㎝씩 작았다.

 비만도는 비장애인에 비해 낮은 경향을 보였다.

 척수 손상 장애인들은 단독 외출 가능 여부에 따라 근력과 신체 치수에서 차이가 났다.

 단독 외출이 가능한 장애인은 단독 외출이 불가능한 장애인보다 쥐기 근력, 측면 집기 근력 등이 모두 더 강하게 측정됐으며, 전방으로 뻗은 주먹 길이, 어깨 사이 너비, 위팔 사이 너비 등도 모두 더 길어 가동성이 보다 큰 것으로 조사됐다.

인체치수 조사결과 발표 카드뉴스

 심층 설문조사에서는 휠체어 사용자의 70.5%(전동휠체어)∼79.1%(수동휠체어)가 만족한다고 답했다.

 휠체어 사용으로 불편을 느끼는 신체 부위는 엉덩이(31.9%), 어깨(19.6%), 팔(14.5%), 허리(10.7%) 순으로 나타났다.

 김대자 국표원장은 "이번 조사는 장애인을 위한 제품·공간·서비스 설계에 직접 활용 가능한 기초데이터를 확보한 것에 그 의미가 있다"면서 "장애인 접근권 개선을 위해 확보된 인체 데이터가 휠체어, 보조 기기뿐 아니라 승강기, 버스정류장 등 더 다양한 제품과 시설에 적용되도록 노력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김 원장은 "향후 실시될 9차 인체치수 조사 사업에서는 장애 유형을 더 다양화하고 조사 대상을 늘려 나가겠다"고 밝혔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복지부, 내달 23일까지 양·한방 협진 5단계 사업 참여기관 공모
보건복지부는 다음 달 23일까지 양·한방(의한) 협진 5단계 시범사업에 참여할 기관을 공모한다고 30일 밝혔다. 환자가 한 날에 같은 질환으로 의과, 한의과 진료를 모두 받을 때 후행 진료는 전액 본인이 부담하는데, 시범사업을 통해 후행 진료도 통상적인 건강보험 본인 부담률을 적용받을 수 있게 된다. 시범사업 참여 기관은 최초 협진 시 '1차 협의 진료료'를 받고, 이후 경과 관찰이 필요해 진료를 이어가면 '지속 협의 진료료'를 받는다. 협의 진료료란 의사와 한의사가 협의해서 하는 진료행위에 대한 수가(의료서비스 대가)로, 1회에 1만5천원∼2만1천원가량이 의과·한의과에 각각 산정된다. 협의 진료료 대상 상병은 대상포진, 2형 당뇨병, 치매, 협심증, 뇌경색증 등 총 41개다. 5단계 시범사업 신청 대상 기관은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 중 의과·한의과 진료과목을 동시에 개설·운영하는 기관, 또는 동일 대표자가 개설한 동일 소재지의 의과·한의과 기관으로 의·한 협진이 가능한 진료체계를 갖춘 기관이다. 5단계 시범사업 참여를 원하는 기관은 모집 공고를 참고해 5월 23일까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신청서와 관련 서류 등을 제출하면 된다. 복지부의 선정위원회 평가를 통해

학회.학술.건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