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정 유형의 백혈구 항원 소유자, 감기 앓고나면 코로나19 면역 생긴다"

면역 손상 혈액암 환자도 효과, 표적 백신 개발 가능성 '주목'
일본 이화학연구소, 저널 '커뮤니케이션 바이올로지'에 논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SARS-CoV-2)와 감기 바이러스는 같은 코로나 계열 바이러스다.

 '코로나'라는 이름은, 스파이크 돌기가 표면에 뻗어 나온 바이러스 입자의 모양이 왕관과 비슷해서 붙었다.

 지금까지 인간에게 감염병을 일으키는 것으로 확인된 코로나바이러스는 신종 코로나를 비롯해 사스(중증 급성호흡기증후군ㆍSARS-CoV),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ㆍMERS-CoV), 계절성 인간 코로나(HCoVs) 4종까지 모두 7종이 있다.

 이 가운데 '계절성 인간 코로나'가 흔히 말하는 감기 바이러스다.

 신종 코로나가 나타나기 오래전부터 인간은 같은 코로나 계열 바이러스, 즉 감기 바이러스에 노출돼 왔다는 얘기다.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팬데믹이 터지자 많은 과학자가 신종 코로나와 감기 코로나의 '교차 면역' 가능성에 주목한 이유가 여기에 있다.

 물론 감기를 앓은 사람이라고 너나없이 코로나19에 대한 면역력이 생기는 건 아니다.

 그렇다면 어떤 사람이 이런 교차 면역의 효과를 크게 볼 수 있을까.

 특정 유형의 백혈구 항원(HLA)을 가진 사람이 감기를 앓고 나면 코로나19에 대해 면역 반응이 강하게 나타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 유형의 항원 보유자가 코로나19에 걸리면 감염 세포를 파괴하는 킬러 T세포가 왕성한 반응을 보였다.

 이런 킬러 T세포는 감기 코로나의 특정 스파이크 단백질 부위에 반응하는 면역 기억이 있었다.

 감기 바이러스에 감염됐던 면역 기억이 킬러 T세포를 자극해 코로나19에 대응하게 했다는 의미다.

 이 연구는 일본 이화학연구소(RIKEN) 통합 의학 센터의 후지 신이치로 박사팀이 수행했다.

 관련 논문은 네이처 리서치에서 발행하는 오픈 액세스 저널 '커뮤니케이션 바이올로지(Communications Biology)'에 내달 2일 실린다.

 28일 미국 과학진흥협회(AAAS) 사이트(www.eurekalert.org)에 미리 공개된 논문 개요 등에 따르면 연구팀은 일본 등 몇몇 아시아 국가에서 흔한 A24형 HLA 보유자에 초점을 맞췄다.

 아시아 국가 주민이 상대적으로 신종 코로나 감염에 강한 이유를 밝히려는 목적도 있었다.

 유전자에 의해 유형이 결정되는 HLA는 인간의 주조직 적합성 항원(histocompatibility antigen) 중 하나다.

 장기 이식을 할 때 거부반응을 피하려면 우선 HLA 항원이 일치해야 한다.

 연구팀은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A24형 HLA와 잘 결합할 거로 보이는 항원 결정기(epitope) 6개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의 스파이크 단백질에서 찾아냈다.

 항원 결정기란 면역세포가 반응하는 아미노산 염기서열을 말한다.

 이어 신종 코로나에 감염된 적이 없는 A24형 HLA 보유자의 말초 면역세포 반응을 관찰했다.

 A24형 HLA 보유자의 면역세포는 감염 전력이 없어도 'QYI 항원 결정기'라는 단일 펩타이드에 강하게 반응했다.

 놀랍게도 이 펩타이드를 기억하는 A24형 보유자의 킬러 T세포는, 다른 코로나 계열 바이러스의 항원 결정기에도 '교차 반응(cross-reactivity)'을 보였다.

 이들 항원 결정기는 계절 감기 바이러스 등 인간 코로나바이러스에 잘 보존된 것들이었다.

 이런 교차 반응은 혈액암 환자에게도 나타났다.

 면역체계가 심하게 손상된 혈액암 환자가 코로나19에 걸리면 위중증으로 진행할 위험이 매우 크다.

 그런데 혈액암 환자에게 강한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핫스팟(hotspot)'이 신종 코로나의 스파이크 단백질에 존재했다.

 QYI 항원 결정기 주변에 위치한 27번 아미노산이 바로 그 자리였다.

 실험 결과, 미감염 혈액 기증자는 100%가, 혈액암 환자는 65%가 이 핫스팟에 반응했다.

 이는 혈액암 환자와 같은 면역 손상 감염자에게 면역 반응을 증폭하는 백신 개발도 가능하다는  걸 시사한다.

 하지만 이번 연구의 최대 목표는, 코로나19 사망자를 줄이는 방법을 찾아내는 것이라고 한다.

 후지 박사는 "신종 코로나 감염자의 체내에서 표적화된 T세포 반응을 강하게 자극하는 백신을 개발했으면 한다"라면서 "적어도 A24형 HLA 보유자에겐 이것이 가능하다는 걸 확인했다"라고 강조했다.

 연구팀은 조만간 다른 유형의 HLA 보유자에 대한 연구를 시작할 계획이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혈관스텐트 수가 2배 인상…필수의료 분야 '공정한 보상' 확대
중증심장질환 환자의 혈관스텐트 시술에 대한 수가(의료행위에 대한 대가)를 최대 2배로 높이는 등 정부가 필수의료 분야의 '공정한 보상'을 확대한다. 이와 함께 정부는 의대 교수들의 정기적인 주 1회 휴진 등 집단행동이 확산하자 의료대응인력을 추가로 파견하기로 했다. ◇ '중중 심장질환 중재시술' 보상 강화…6월부터 적용 정부는 지난달 29일 정부 세종청사에서 주재한 의사 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회의에서 중증 심장질환 중재시술 보상 강화방안을 논의했다. 이날 논의된 심장혈관 중재시술은 급성 심근경색 등 중증 심장질환자에게 긴급하게 시행해야 하는 대표적인 필수의료 행위다. 정부는 의료 난이도 등이 수가에 합리적으로 반영될 수 있도록 심장혈관 중재술에서 인정하는 혈관 개수를 확대하고, 보상 수준을 인상한다. 우선 상급종합병원에서 4개 심장혈관에 스텐트 삽입 등 중재술을 시행할 경우 시술 수가가 현행 대비 2배 이상으로 인상된다. 기존에는 총 4개의 심장혈관 중 2개 이상에 시술하고도 2개까지만 수가가 산정됐으나, 앞으로는 모든 혈관 시술에 수가를 산정한다. 시술 수가도 기존 최대 130%에서 최대 270%로 인상한다. 이렇게 되면 상급종합병원에서 4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버려지던 치아로 임플란트에 쓰이는 골이식재 개발 추진
대구시가 의료폐기물로 버려지던 사랑니 등 인체 치아를 이용해 골이식재를 개발하는 사업을 추진한다. 골이식재는 임플란트 시술 때 잇몸뼈 재건 등에 사용된다. 이 사업은 동구 신서혁신도시 등 대구 이노-덴탈 특구가 규제자유특구로 지정되면서 가능해졌다. 정부는 30일 규제자유특구위원회를 열고 대구 이노-덴탈 특구를 다른 4개 지역과 함께 규제자유특구로 신규 지정했다고 대구시가 밝혔다. 인체 치아를 활용해 골이식재를 개발하는 사업에는 2030년까지 국비 70억원을 포함해 총 156억원이 투입된다. 경북대학교치과병원,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대구테크노파크,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덴티스, ㈜코리아덴탈솔루션 등 6개 기관·업체가 참여한다. 골이식재는 의료기기로 분류되며 주로 사람이나 동물의 뼈, 합성소재를 원료로 제작하고 있다.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는 실정이다. 대구시에 따르면 현재 치료를 위해 뽑는 치아는 연간 1천380만개 정도로 추정된다. 지금까지 이들 치아는 의료폐기물로 재활용이 금지돼 전량 폐기돼 왔다. 대구시는 이번 사업으로 인체 치아 골이식재가 개발되면 수입 대체효과와 글로벌 시장 선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이번 사업은 2030년까지 국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