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닥터헬기 응급환자도 이송…중대형서 중형으로 기종 변경

 (수원=휴먼메디저널) 박희수 기자 = 중증외상 환자를 이송하는 닥터핼기(응급의료 전용헬기)가 올해부터 일반 응급환자도 이송하게 된다.

 경기도는 닥터헬기 기종을 종전 중대형(H225)에서 중형(AW169) 으로 변경하고, 종전에 이송하던 중증외상환자·급성 심·뇌혈관질환 이외에도 의식 상실 등 응급환자도 이송이 가능해졌다고 5일 밝혔다. 

 의료진은 전문의 1명과 간호사 1명으로 구성된 1개 반이 탑승하되 야간(일몰~일출)에는 소방헬기가 대체 운항한다.

 지난해까지 아주대병원이 운항사 선정을 맡았으나 올해부터는 국립중앙의료원이 운항사 선정을 맡았다. 이에 따라 운항사가 종전 한국항공우주산업(KAI)에서 유아이헬리제트로 변경됐다.

 기종 변경과 함께 이송환자 범위를 확대해 운항 횟수를 늘릴 계획이다.

 이와 별도로, 도는 추가로 도내에 닥터헬기를 배치할 병원 1곳을 이달 14일까지 공모한다.

 추가 배치는 보건복지부 사업계획에 따라 전국에 걸쳐 진행하는 것으로, 도가 공모해 신청하면 복지부가 최종 선정할 예정이다.

 전국에서는 총 7대의 닥터헬기가 운항 중이며, 2018년 8월 말부터 운항을 시작한 경기도 닥터헬기는 2019년 26건, 2020년 66건, 지난해에는 12월 25일까지 82건을 이송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복지장관, 자살대응 현장 실무자 간담회…"예방센터 보강"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은 "자살예방센터를 보강하겠다"고 밝혔다. 정 장관은 지난 8일 서울 중구 정신건강복지센터에서 자살 예방 분야 현장 실무자 간담회를 열어 자살 예방 사업 현황과 애로 사항 등을 논의한 뒤 이같이 말했다. 정 장관은 "자살은 조용한 재난"이라며 "고립의 사회에서 연결의 사회로 나아갈 수 있도록 현장의 신속한 위기 대응과 정부의 정책 지원이 함께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자살예방센터는 자살 예방을 위한 교육·홍보, 고위험군 발굴, 자살 시도자 등의 위기 지원, 자살 사망 사후 대응 등의 사업을 수행하는 기관이다. 전국에 255개소가 있지만, 예산 부족 등으로 인해 55개소만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있고 나머지는 정신건강복지센터에 소속된 팀 등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고 한다. 복지부는 자살 사망자 유족에 대한 원스톱 심리·법률·일시 주거·행정 처리 지원 서비스 지역을 9개에서 12개 시도로 확대했으며 전국 확대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배활립 서울 중구 정신건강복지센터장은 "관련 인력이 자살예방센터 1개소당 3.6명으로 열악해 고위험군을 밀착 관리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박준희 서울 노원경찰서 형사와 홍승택 서울시 소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