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했을 때 '비타민B 복합체' 섭취하면 자녀 주의력 향상에 효과"

생후 1년 간 뇌 정보 처리 빨라지고, 7세까지 지속적 주의력 개선
태아기 뇌 신경 보호→인지 기능 손상 완화 효과도
미국 코넬대 연구진, 실험생물학학회 연합회 저널에 논문

 임신한 여성이 콜린(비타민B 복합체) 섭취를 늘리면 취학 연령까지 자녀의 주의력과 기억력 향상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임신부의 풍부한 콜린 섭취는 또 태아의 신경을 보호하고 인지 기능 손상을 완화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신경 발달을 저해하는 요인으론 태아기 스트레스 및 알코올 노출, 자폐증, 간질, 다운 증후군 등이 지목됐다.

 미국 코넬대의 바버라 스트럽(Barbara J. Strupp) 영양학 교수팀이 수행한 이 연구 결과는 지난해 12월 28일 미국 실험생물학학회 연합회(FASEB) 저널에 논문으로 실렸다.

 레시틴 등 인지질의 구성 성분인 콜린(choline)은 간의 중성지방 축적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콜린은 동식물계에 널리 존재하지만, 특히 난황(알의 노른자위), 붉은색 식육, 생선, 콩, 십자화과 채소류 등에 많다.

 그러나 임신부가 먹는 태아기 권장 비타민에 콜린은 들어가 있지 않다.

 그 결과 임신부의 90% 이상이 권장량보다 훨씬 적은 콜린을 섭취한다고 한다.

 논문의 공동 수석저자인 스트럽 교수는 "임신 기간에 섭취하는 표준 비타민에 콜린을 추가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사실, 임신부가 콜린 섭취를 늘리면 장기적으로 자녀의 주의력과 기억력을 개선하는 데 이득이 된다는 건 동물실험을 통해 어느 정도 알려진 사실이다.

 콜린을 충분히 섭취하면 알츠하이머병 유전자(APOE 4) 보유자의 뇌세포 손상이 반전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나왔다.

 이 유전자는 뇌세포의 지질 대사 및 스트레스 반응 능력을 손상하는 분자 경로에 관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미국 MIT 차이 리-후에이 박사팀, 2021년 3월 저널 '사이언스' 논문 참조)

 스트럽 교수팀의 이번 연구는 취학 연령인 만 7세 자녀들을 대상으로 지속적인 주의력 개선 효과를 확인했다.

 그동안 비슷한 연구는 몇 건 있었지만, 자녀가 취학할 때까지 추적한 건 처음이다.

 연구팀은 임신부와 자녀를 두 그룹으로 나눠 시험했다.

 임신 기간의 후반 3개월 내내 한 그룹은 권장량(하루 450㎎)을 약간 초과하는 480㎎, 다른 그룹은 권장량의 두 배가 넘는 930㎎의 콜린을 매입 섭취하게 했다.

 480㎎을 섭취한 여성의 자녀는 만 7세가 됐을 때 지속적 주의력이 있어야 하는 테스트에서 시종일관 정확도가 낮았다.

 930㎎ 섭취 여성의 자녀는 같은 테스트에서 처음부터 끝까지 높은 수준의 정확도를 유지했다.

 이는 새끼 밴 생쥐 암컷과 새끼를 대상으로 콜린 보충의 주의력 개선 효과를 실험한 결과와 유사했다.

 그동안 콜린 섭취를 늘린 암컷의 새끼에게서 반복적으로 확인된 주의력 개선 및 신경 보호 효과가 인간에게도 나타날 수 있다는 걸 시사한다.

 스트럽 교수팀은 같은 실험군을 장기간 관찰하면서 의미 있는 테이터를 많이 축적했다.

 예를 들면 권장량의 두 배로 콜린 섭취를 늘린 여성의 자녀는 태어나서 만 1세가 될 때까지 뇌의 정보 처리 속도가 대조군보다 빨라진다는 걸 확인했다.

 공동 수석저자를 맡은 같은 대학의 리처드 캔필드 교수는 "임신 기간에 섭취한 콜린이 자녀의 유아기 인지 발달 프로그램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걸 시사한다"라고 지적했다.

 결론은, 자녀의 인지 기능이 더 좋아지게 하려면 임신 기간에 콜린을 충분히 섭취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선 임신부의 콜린 보충을 권장하는 가이드라인부터 만들어야 한다고 연구팀은 제안했다.

 현행 가이드라인은 남성의 간 기능 이상을 예방하는 데 필요한 콜린 섭취량을 반영해 1998년에 제정된 것이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질병청 "新 탄저백신, 기존 독소·부작용 없애…올해 비축 시작"
질병관리청은 국내 개발 신규 탄저 백신이 기존 백신과 달리 독소를 포함하지 않아 안전성이 입증됐다며, 올해 내로 생산과 비축을 시작할 것이라고 14일 밝혔다. 질병청은 ㈜녹십자와 협력해 국내 기술로 세계 최초의 유전자 재조합 단백질 방식 흡착 탄저 백신(배리트락스주)을 개발했고 해당 품목은 지난 8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허가를 받았다. 정윤석 질병청 고위험병원체분석과장은 이날 기자단 대상 브리핑에서 신규 백신에 대해 "기존 백신과 가장 큰 차이점은 백신 주원료인 탄저균의 방어 항원 생산 방식"이라며 "기존에는 탄저균 배양액을 정제하다 보니 미량의 독소가 포함돼 부작용 가능성이 있었지만, 이번에는 독소를 생산하지 않는 균주를 사용, 방어 항원만을 순수하게 만들어냈다"고 설명했다. 질병청에 따르면 이렇게 탄저균의 방어 항원 단백질을 유전자 재조합 기술로 제조, 의약품으로 상용화한 사례는 세계 최초다. 흡입 탄저의 경우 치명률이 97%에 달하는 탄저병은 법정 제1급 감염병으로, 그 균은 생물테러에 악용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김갑정 질병청 진단분석국장은 "1997년 기초 연구에 착수해 30년 가까이 준비한 노력이 결실을 보았다"며 "전량 수입에 의존하던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주말에 몰아서 하는 운동, 건강증진 효과는?…"운동량 충분하면 OK"
운동을 매일 하지 않고 주말에 몰아서 하더라도 당뇨병 유병률이 낮아지는 등 건강 증진 효과는 유사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14일 의료계에 따르면 경희의료원 디지털헬스센터 연동건 교수 연구팀은 질병관리청의 지역사회건강조사(2009∼2022년) 데이터를 토대로 성인 242만8천448만명의 당뇨병과 신체활동의 연관성을 분석해 이런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운동량만 충분하다면 운동 빈도 자체는 큰 영향이 없다는 걸 확인한 것으로, 평일에 규칙적으로 하든 주말에 집중적으로 하든 적절한 운동량만 지킨다면 당뇨병 유병률 감소 효과를 낼 수 있다는 의미다. 연구 결과 세계보건기구(WHO)가 권고하는 '일주일에 75∼150분 중강도 또는 75분 이상의 고강도 운동'을 하는 집단의 당뇨병 유병률은 신체활동을 하지 않는 집단에 비해 16%가량 낮았다. 다만 이 수준까지 운동량이 증가하면 당뇨병 유병률이 떨어지지만, 그 이상으로 운동한다고 해서 추가적인 효과가 크게 나타나지는 않았다. 중강도 운동과 고강도 운동을 WHO 권고량 범위 내에서 적절히 병행하는 게 당뇨병 유병률 감소와 가장 크게 연관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주말에 운동을 집중적으로 몰아서 하는 집단과 평일에 규칙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