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내장 치료제 비마토프로스트, 동물실험서 탈모 개선 효과"

'비마토프로스트' 제제 개선해 피부 조직 투과성 증진

 녹내장 치료제 '비마토프로스트'가 탈모 증상을 개선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는 동물실험 결과가 나왔다.

 중앙대학교병원 피부과 김범준 교수와 목포대학교 약학과 박진우 교수 연구팀은 특수 고안된 혼합 용매를 이용한 비마토프로스트 제제의 탈모 개선 효과를 확인했다고 26일 밝혔다.

 비마토프로스트는 안압을 떨어뜨리는 효과를 내 녹내장 치료제로 쓰인다. 치료 과정에서 속눈썹이 길어지는 부작용이 확인돼 피부과 분야에서는 속눈썹 증모제로도 활용돼왔다.

 비마토프로스트가 '안드로젠 탈모'의 새로운 치료제가 되지 않겠느냐는 기대도 있었지만, 두피에 도포했을 때 약물이 충분히 흡수되지 않는 탓에 실제 효과는 크지 않았다.

 안드로젠 탈모는 흔히 '남성형 탈모'로 불린다. 유전적 원인 등에 의해 앞이마가 점차 뒤로 밀려나고 정수리의 모발이 점차 가늘어지며 나타난다.

 이에 연구팀은 휘발성 및 비휘발성 용매, 확산제, 항산제 등을 비마토프로스트에 혼합해 새로운 제제를 만든 뒤 피부 조직 투과성과 탈모 개선 효과를 파악했다.

 그 결과 비마토프로스트 혼합제제는 인체 조직 투과성이 우수했을 뿐만 아니라 세포 실험에서 모발의 핵심 세포인 '모유두세포'를 증식하는 효과도 냈다. 기존 안드로젠 탈모 치료에 사용하던 국소 치료제인 '미녹시딜'과 비교했을 때도 우수했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또 안드로젠 탈모를 유도한 실험용 쥐에 비마토프로스트 혼합제제를 도포한 동물실험 결과, 털의 생장률과 모낭 수와 모닝 직경 크기가 증가하는 효과 등이 확인됐다.

 김 교수는 "안드로젠 탈모에서 비마토프로스트 혼합제제의 우수한 조직 투과성과 모발 생장 효과를 확인했다"며 "향후 탈모 치료를 위한 과학적 근거로 활용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약물 전달'(Drug Delivery)에 게재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작년 봉급 인상 직장인, 다음달 건강보험료 더 내야 한다
작년에 봉급 등이 오르거나 호봉승급, 승진으로 소득이 증가한 직장인은 다음 달에 건강보험료를 더 내야 한다. 22일 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건강보험법에 근거해 매년 4월이면 연례행사처럼 직장인을 대상으로 건보료 연말정산을 한다. 건보공단은 2000년부터 직장 가입자 건보료는 전년도 보수총액을 기준으로 우선 부과하고, 실제 받은 보수총액에 맞게 보험료를 재산정해서 이듬해 4월분 보험료에 추가 부과 또는 반환하는 정산 절차를 거치고 있다. 정산과정에서 작년 임금인상 등으로 소득이 오른 직장인은 더 내지 않았던 건보료를 추가로 납부해야 하지만, 봉급 인하 등으로 소득이 감소한 직장인은 더 많이 냈던 건보료를 돌려받는다. 건보료 정산은 실제 보수에 따라 작년에 내야 했던 건보료를 다음 연도 4월까지 유예했다가 나중에 내는 것으로, 보험료를 일률적으로 올리는 건보료 인상과는 성격이 다르다. 그렇지만 연말 정산한 지 얼마 되지 않아 건보료를 정산하다 보니, 추가로 정산보험료를 내야 하는 직장인에게는 보험료 인상으로 받아들여져 해마다 4월이면 '건보료 폭탄' 논란이 벌어진다. 지난해의 경우 월급 등 보수가 늘어난 1천11만명은 1인당 평균 약 21만원을 추가로 냈다. 반면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의·정갈등 장기화, 약업계 '불똥'…"매출·임상 차질 불가피"
정부의 의대 정원 증원 방침에 반발한 전공의 이탈이 장기화하자 제약업계에서는 원내 처방 의약품 매출 하락, 임상 시험 환자 모집 감소 등 관련 여파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제약업계에 따르면 전공의 파업으로 환자 진료·수술 건수가 줄어들며 항생제·수액제·주사제 등 원내 의약품 매출에 일부 영향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따라 종합병원을 대상으로 진행하던 의약품 영업·마케팅 전략을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은 병원으로 전환하려는 움직임도 보인다. 전문의약품이 매출 대부분을 차지하는 한 제약사 관계자는 "수술 환자가 줄어들다 보니 수액 등 원내 의약품 매출에 영향이 있는 건 사실"이라며 "당장 큰 타격은 없지만 장기화하면 2분기께 타격이 있을 수 있어 사태가 빨리 끝나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어 "종합병원에 있던 환자가 클리닉(병상 30개 미만 의원)이나 일반 병원으로 전환하는 사례가 점점 많아지는 만큼 해당 분야로 영업 전략을 바꿔나가는 것을 검토하는 중"이라고 덧붙였다. 특히 암 검사 등 고위험 질환에 대해 전공의들이 맡아온 역할이 크기 때문에, 전공의 파업으로 관련 환자가 감소할 경우 의약품 매출뿐 아니라 임상 시험 등에도 차질이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