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내장 치료제 비마토프로스트, 동물실험서 탈모 개선 효과"

'비마토프로스트' 제제 개선해 피부 조직 투과성 증진

 녹내장 치료제 '비마토프로스트'가 탈모 증상을 개선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는 동물실험 결과가 나왔다.

 중앙대학교병원 피부과 김범준 교수와 목포대학교 약학과 박진우 교수 연구팀은 특수 고안된 혼합 용매를 이용한 비마토프로스트 제제의 탈모 개선 효과를 확인했다고 26일 밝혔다.

 비마토프로스트는 안압을 떨어뜨리는 효과를 내 녹내장 치료제로 쓰인다. 치료 과정에서 속눈썹이 길어지는 부작용이 확인돼 피부과 분야에서는 속눈썹 증모제로도 활용돼왔다.

 비마토프로스트가 '안드로젠 탈모'의 새로운 치료제가 되지 않겠느냐는 기대도 있었지만, 두피에 도포했을 때 약물이 충분히 흡수되지 않는 탓에 실제 효과는 크지 않았다.

 안드로젠 탈모는 흔히 '남성형 탈모'로 불린다. 유전적 원인 등에 의해 앞이마가 점차 뒤로 밀려나고 정수리의 모발이 점차 가늘어지며 나타난다.

 이에 연구팀은 휘발성 및 비휘발성 용매, 확산제, 항산제 등을 비마토프로스트에 혼합해 새로운 제제를 만든 뒤 피부 조직 투과성과 탈모 개선 효과를 파악했다.

 그 결과 비마토프로스트 혼합제제는 인체 조직 투과성이 우수했을 뿐만 아니라 세포 실험에서 모발의 핵심 세포인 '모유두세포'를 증식하는 효과도 냈다. 기존 안드로젠 탈모 치료에 사용하던 국소 치료제인 '미녹시딜'과 비교했을 때도 우수했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또 안드로젠 탈모를 유도한 실험용 쥐에 비마토프로스트 혼합제제를 도포한 동물실험 결과, 털의 생장률과 모낭 수와 모닝 직경 크기가 증가하는 효과 등이 확인됐다.

 김 교수는 "안드로젠 탈모에서 비마토프로스트 혼합제제의 우수한 조직 투과성과 모발 생장 효과를 확인했다"며 "향후 탈모 치료를 위한 과학적 근거로 활용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약물 전달'(Drug Delivery)에 게재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추석 연휴 해외여행 급증…지역별 감염병 '맞춤 예방' 필수
추석 황금연휴를 맞아 해외로 떠나는 이들이 늘면서 출국 전 올바른 감염병 예방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지난달 부산의 한 병원에서 서아프리카 지역을 여행 다녀온 남성이 고열과 기력 저하 증세로 병원을 찾았다. 검사 결과, 그는 열대열 말라리아에 걸린 것으로 확인됐다. 이 남성은 출국 전 예방약을 복용했지만, 내성이 있는 말라리아균에 감염돼 상태가 급속도로 악화했고 결국 숨졌다. 추석 연휴를 맞아 해외여행객이 증가하는 시기에는 여행지별 유행 질병과 그에 맞는 맞춤형 예방 조치가 중요하다. 국가나 지역마다 감염될 수 있는 질병이 모두 다르며 수돗물, 벌레, 야생 동물과의 접촉 등 예상치 못한 상황에서 감염될 수 있다. 특히 한국인들이 많이 찾는 동남아시아에서는 A·B형 간염, 장티푸스뿐 아니라 모기 매개 감염병인 말라리아, 뎅기열, 지카 바이러스 등이 활발히 퍼지고 있다. 이정규 부산대병원 가정의학과 교수는 "최근 베트남과 몽골에서는 홍역이 유행 중인데, 우리나라 성인 중에는 항체가 없는 경우도 적지 않다"며 "동남아시아에서 소아 치사율 1위인 뎅기열 역시 우리나라에는 없던 병인데 베트남이나 캄보디아에서 걸리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해외 감염병은 현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